한국염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대표는 7일 "농어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 아래 진행되고 있는 `농촌총각 장가보내기 지원사업'은 농촌의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한 대표는 이날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에서 열린 `농어민 국제결혼비용 지원사업,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에서 "장가보내기 사업은 이농과 저출산 등 농어촌 문제의 심각성을 간과한 실적 중심의 발상에서 비롯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그는 "농촌총각이 결혼을 못하는 이유는 가부장적 가족구조로 남아선호사상을 부추기는 한국사회 탓"이라며 "한국여성도 기피하는 자리에 아시아 여성으로 대체하려는 정책은 인종차별적 발상"이라고 비난했다.
한 대표는 "기초자치단체들은 장가보내기 사업을 추진하기보다 농어촌의 경제개발 및 활성화, 삶의 질향상 등을 도모해야 한다"며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다문화가족지원법'과 `이주민가족지원법' 등의 법안을 다문화적이고 인권 지향적으로 구체화해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사회 통합을 지원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engin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