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네이버의 뉴스편집 삼성이 직접 하나

삼성 측 반론이 나오면서 메인에 배치했다


한창 삼성 X파일 문제로 민주노동당의 노회찬 의원이 폭로하고 있을 당시, 의원실에서 전화가 온 적이 있다. 노회찬 의원에 대해서는 당시 포털이 매우 우호적인 상황이었는데, 이상하게 네이버에서 노의원의 삼성비판이 실린 기사 배치가 안 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노회찬 의원실에서는 네이버의 삼성 지분을 조사했는데, 삼성 SDS가 약 2.5% 정도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다. 네이버 최대 주주인 이해진 전 대표의 지분 약 5.5%인 점을 감안하면 그리 큰 지분도 적은 지분도 아니다.

그러나, 네이버가 삼성 SDS 사내 번체기업이었다는 점에서 특수관계는 고려할 수밖에 없다. 이해진 전 대표가 삼성 출신이고, 김범수 전 대표도 삼성출신으로서 약 2.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네이버의 마케팅을 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일기획이 전담했고, 네이버 대표모델 역시, 삼성 애니콜 모델을 겸한 바 있는 전지현이었다.

포털이 스스로도 밝힌 바, 포털 뉴스서비스는 철저히 비즈니스에 입각해서 배치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포털의 뉴스편집과 사업과의 유착은 논쟁거리도 아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네이버와 삼성의 대표모델인 전지현의 결혼사건 당시, 네이버 측에서 유례없이 전지현의 반론글을 직접 실은 건이다.

포털 측은 늘 기사의 사실확인을 할 수 없다고 주장했으나, 네이버 측에서는 전지현 결혼 기사가 나가자마자, 전지현 측의 반론글을 매체를 통하지 않고 그대로 실었다. 미디어다음 역시 비슷한 편집을 한 적이 있다. 다음의 이재웅 대표가 바다이야기 관련 구설수에 올랐을 때, 미디어다음 측은 관련 기사를 4시간 만에 내렸다. 다음의 해명은 "이재웅 전 대표가 관련이 없다는 점을 밝혔고, 이를 보도한 SBS에 소송을 걸었기 때문에 기사를 내렸다"는 것이었다.

필자는 훗날 미디어다음 측과 사적으로 이와 관련 언쟁을 벌인 바 있다. 언제 포털이 기사의 진위를 확인하여, 기사를 내리곤 했던가. 민간인이나 연예인 관련해서는 확인 안 된 기사를 무차별적으로 메인에 올리다가, 자사의 사장과 관련된 기사에 대해서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기사를 내려버린 것이다.

이번 네이버의 삼성 비자금 폭로 관련 기사 역시 이러한 편집방향을 그대로 따랐다. 네이버는 여타의 포털과 달리, 한겨레 측의 보도를 메인에 올리지 않았다. 그러다 삼성 측의 반론이 나오면서부터, 이 둘을 함께 메인에 올렸다. 특히 지난 토요일에는 삼성 측의 장문의 반론문 세편 전문을 올리기도 했었다. 이렇게 삼성측 반론문 전체를 다 올려준 포털은 네이버가 유일하다.

양 측의 주장이 엇갈리는 상황이라면, 당연히 비판하는 측과 반론하는 측의 주장을 함께 올리는 것이 언론편집의 정석이다. 즉 삼성을 비판하는 기사가 있다면 삼성의 반론도 있어야 한다. 문제는 언제 포털이 그렇게 친절하게 반론을 함께 올려주었냐는 것이다. 일단 사실이든 아니든 네티즌의 관심을 끌만한 사안이라면 올려놓고 보는 게 그간의 포털 편집이 아니었던가.

현재 오전 11시 48분, 네이버 메인의 기사는 <떡값 검사 명단 공개 연기, 물증 공개 왜 미루나>이다. 김용철 변호사와 정의구현사제단이 기자회견에서 핵심은 검찰이 아니라 삼성이고, 어차피 검찰에 고소할 바에야, 떡값 검사 명단은 중요하지 않다고 밝힌 뒤 하루만의 일이다. 삼성 측은 삼성의 비자금 논란보다는 떡값 검사의 명단으로 논점이 옮겨가기를 바랄 것이다. 네이버의 오늘 편집 또한 삼성의 이해와 정확히 일치한다.

또 다른 대기업 SK 계열의 포털 엠파스의 메인에 <삼성 두둑한 해명자료, 헛점 많아> 기사가 올라가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국경제 미디어연구소의 최진순 기자는 네이버의 친이명박 편집이 논란이 되자, "대선에 한정해서 정치기사 편집을 전명 중단하는 것을 고려하자"는 의견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포털은 정치기사만 편집하는 게 아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 영역의 이슈를 포털이 정하고 있다.

대선 관련하여 편집의 편파성이 문제가 된다면, 경제, 사회, 문화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오히려 포털 입장에서는 간접적으로 포털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권력 보다도, 포털과 직접적인 사업관계를 맺고 있는 경제와 문화관련 기사에 더 민감하다.

네이버는 최근 KT와 함께 IPTV사업 제휴를 맺었다. 그리고 이런 KT는 삼성과 또 다른 제휴를 맺었다. 수많은 기업들과 제휴를 맺을 수밖에 없는 포털의 특성 상, 특수관계 회사에 대한 뉴스는 다르게 배치될 수밖에 없다. 삼성도 삼성이지만, IPTV사업의 주요파트너인 KT 관련 해서 네이버가 불리한 뉴스를 집중 배치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다.

미디어다음은 JYP엔터테인먼트의 대주주였다. 그래서 그런지, 박진영, 비, GOD 관련 기사가 메인에 집중 배치되었다. 포털의 뉴스 편집을 철저히 비즈니스에 이용하는 것이다.

한국의 신문법에서 30대 대기업의 신문 소유경영을 금지한 이유는, 바로 자본의 의한 여론조작과 언론과 사업의 유착을 막기 위해서이다. 그런 측면에서, 삼성과 특수관계인 네이버가 한국 언론을 장악한 것은 한국의 언론법의 원칙을 어기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삼성과 대기업의 언론장악을 비판한 진보진영에서, 네이버와 미디어다음 등이 언론권력을 비즈니스에 이용하는 것을 비판하지 않는 것은 직무유기이자 유착이다.

이제껏 보수진영은 포털이 친노무현 편집을 해왔다고 비판했다. 그러다 최근 진보진영은 포털이 친이명박 편집을 한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두 가지 시각의 근본은 똑같다. 포털의 언론권력은 무조건 권력과 자본을 따라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포털이 정치권력을 추종한다면, 경제권력과 문화권력을 추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포털 측에서는 천부당만부당하다며 반론하지만, 그렇게 자신있다면서, 왜 자신들의 뉴스편집기록을 공개하지 않는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네이버와 포털이 비밀스런 자신들의 뉴스편집행위를 중단하지 않으면, 포털의 뉴스편집의 권력과 자본의 유착 문제는 끝까지 논란이 될 것이다.

필자는 보수단체의 포털 토론회에서, "불투명한 포털 뉴스편집의 특성 상, 청와대가 직접 편집하고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라는 발언을 한 적이 있다. 솔직히, 편집장도 공개되지 않고, 편집팀원도 공개되지 않는 네이버 뉴스편집의 특성 상, 삼성직원이 직접 네이버 뉴스편집을 하고 있을지,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