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한겨레 ‘도청 녹취록 보도 의혹’은 제2의 초원복집 사건?

정수장학회 논란과 별도로 번지는 ‘도청 의혹’ 대선정국에 영향 미치나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와 MBC간부들의 만남을 둘러싼 한겨레신문 보도와 관련해 도청의혹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는 가운데 MBC와 방문진 안팎에서는 이번 사건이 과거 부산 초원 복집 사건과 비슷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부산 초원 복집 사건’이란 지난 1992년 12월 14대 대통령 선거를 일주일 앞두고 부산의 ‘초원복집’에서 부산지역 기관장들이 모여 당시 민자당 김영삼 후보를 위해 은밀히 선거대책을 논의한 사실이 국민당측의 도청에 의해 폭로됐던 사건이었다.

하지만 김영삼 후보측은 이 사건을 음모라고 규정짓고 "주거침입에 의한 불법도청이 더 큰 문제"라며 불청도청 문제를 적극 제기했다. 이로 인해 예상과 달리 국민당이 오히려 여론의 역풍을 맞아 결과적으로 김영삼 후보에 대한 영남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김 후보는 이 악재를 딛고 제 14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이번 한겨레신문 보도와 관련한 도청의혹 파문은 당시 초원 복집 사건과는 다른 사안이지만, 결과적으로 사건이 비슷한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를 겨냥해 민주통합당 등이 정수장학회 공세를 취해도 도청 의혹 파문이 반대급부로 커질 수 있고, 이는 박 후보에 악재로 작용하리라는 예상과 달리 오히려 여당 후보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여당 후보 결집은 이번 대선이 3자 구도로 갈 경우 큰 파급 효과를 낳을 수 있다.

실제로 새누리당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회 위원장은 16일 SBS 라디오 '서두원의 시사초점'에 출연해 "사실관계에 대한 빠른 조사가 필요하다. 도청이 사실이라면 굉장히 중대한 문제"라며 "도청을 꼭 해서 할 만한 공익적 가치가 있는지 생각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안 위원장은 "도청은 특히 국민들이 아주 싫어하는 법치국가 원리를 훼손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증거를 위해서 위법행위를 하는 것을 좋아하는 국민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 도청 내용을 폭로했다 역풍을 맞았던 초원 복집 사건을 시사하는 듯한 뉘앙스를 풍겼다.

MBC의 한 관계자도 “(한겨레 보도와 관련) 누군가 녹음을 했다는 얘기 아니겠나. 누가 녹음했을까만 남지 않았겠느냐”면서 “과거 초원 복집 사건과 동시에 놓고 볼 필요가 있다. 그 때 도청이 성공을 했나?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또 “MBC 사장과 기획홍보본부장의 동선은 자주 노출됐다. 도덕적으로 MBC 간부들에 대한 사생활 침범 문제가 충분히 제기될 수 있다”면서 “비밀회담이란 말도 언어장난에 불과하다. 그런 식으로 따진다면 모든 사람과의 만남이 비밀회담이 되는 것이냐”고 했다.

방문진의 한 관계자 역시 “(보도내용은) 공익성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명확한 통신비밀보호법 위반 사안”이라며 “이번 일은 과거 부산 초원 복집 사건과 똑같다”고 말했다.

방문진의 또 다른 관계자는 “한겨레의 보도는 표현방식이나 모든 것이 녹취가 아니면 불가능한 보도”라면서 “비밀회동이었다면 담당 실무 부장을 대동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그 자리는 공적인 자리이고, 자신들이 만난다는 이야기들을 공개할 필요가 없는 자리였기 때문이지 비밀회동도 아니고 업무와 관련성이 없는 회동도 아닌 정상적인 자리였던 만큼 부적절하거나 잘못된 논의를 한 것도 없다고 본다”면서 특히 “(이번 파문은) 김재철 사장 해임 안건과는 전혀 별개의 문제”라고 밝혔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