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도청 의혹’에 대한 한겨레의 ‘딴 소리’

“언론·정치권은 ‘내가 당하면 불법, 남이 당하면 공익’ 이중잣대 버려야”

한겨레신문이 도청의혹이 제기된 정수장학회 최필립 이사장과 MBC 간부진간의 만남 관련 보도에 대해 연일 정당성을 강조하는 기사를 쏟아내고 있다.

“도청이 사실이라면 중대한 범죄”라고 발언한 안대희 새누리당 정치쇄신특별위원장에 대해 18일 기사를 통해 “뚜렷한 근거 없이 <한겨레> 보도를 불법도청으로 몰아붙이면서 보도할 가치가 없다는 식으로 깎아내린 것”이라며 공익적 가치가 있음을 강조했다.

또 앞서 15일 기사에서도 대화록을 보도하게 된 이유에 대해 “이날 대화에서 오간 내용의 중대성과 사안의 공공성에 비춰 보면, 대화 내용 공개가 공익적 가치에 부합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한겨레는 제기된 도청 의혹에 대해선 “도청은 아니다”면서도 쟁점이 된 도청 의혹에 대해선 뚜렷한 설명 없이 “필요하다면 적절한 시기에 취재 과정을 공개할 수 있다”는 입장만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친야 성향의 언론으로 평가받는 한겨레는 과거 민주통합당 등의 도청 의혹 제기에 대해선 어떤 입장을 보였을까? 비슷한 사례로, 작년 KBS 수신료 문제와 관련, 민통당 비공개 회의를 도청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던 KBS와 연루 의혹을 샀던 새누리당 한선교 의원의 경우를 보면 현재 모습과 판이하게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민통당 역시 당시 도청 의혹에 관해 대단히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민통당은 원내지도부가 한나라당과 KBS수신료 인상안 처리에 합의했다가 시민단체 등의 반발에 부딪히자 한나라당과의 약속을 완전히 뒤집었었다. 이에 한선교 의원이 다음날 녹취록을 공개하는 일까지 벌어지자 도청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한겨레, ‘한선교 도청 연루 의혹’ 과거 보도에선 “문제는 이 녹취록이 도청 결과물이었다는 점” 주장

먼저 한겨레는 작년 7월 2일자 사설 를 통해 “이번 사안의 본질은 한국방송이 민주당의 회의 내용을 부적절한 방식으로 취득해 한나라당에 넘겼느냐의 여부”라며 “그런데 한국방송은 이런 본질을 은근슬쩍 건너뛴 채 쟁점을 다른 방향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도청 의혹을 받았던 KBS 기자의 ‘벽치기(바깥벽에 귀를 대고 취재하는 방식)’주장에 대해서도 “벽치기 취재를 통해 토씨 하나 틀리지 않게 녹취록을 작성할 수 있었는지도 의문이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런 ‘적극적인 취재’의 결과물을 어떻게 활용했느냐”라며 “이 대목에 대해 한국방송은 뚜렷한 태도를 밝히지 않고 있다”고 힐난했다.

이어 “한국방송은 지금이라도 자체 진상조사위원회를 구성해 도청 의혹 연루 여부를 명백히 규명해야 한다”며 “그리고 정말 결백을 자신한다면 “도청사건 연루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김인규 사장이 옷을 벗겠다”는 선언을 해야 옳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런 명쾌한 길을 놓아두고 계속 딴소리를 하는 것은 의혹만 더욱 증폭시킬 뿐”이라며 “한국방송은 이번 사건의 진상이 밝혀지지 않고 유야무야 넘어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지 모르지만 그런 기대는 착각임을 알았으면 한다”고 거듭 비판했다.

2012년 7월 5일자 기사에서도 한겨레는 도청 문제로 한선교 의원의 문방위 위원장 내정을 문제 삼았다. <‘도청연루’ 한선교, 문방위원장 내정> 기사는 “한 의원은 문방위 간사이던 지난해 6월, 상임위 전체회의에서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 문제를 다룬 민주당 비공개 최고위원회 녹취록을 공개했다”면서 “문제는 이 녹취록이 도청 결과물이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 기사에서는 민통당이 “도청을 한 사람도, 내용을 공개한 사람도 중형에 처하도록 되어 있다”며 한 의원을 통신비밀보호법으로 고발했던 사실과, 당시 정성호 민통당 대변인이 “언론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 결여되고, 18대 국회에서 불법적 행동으로 물의를 일으킨 사람이 문방위원장이 되는 것은 야당과 언론을 무시하는 일”이라며 한 의원의 위원장 내정을 반대한 사실도 언급돼 있다.

이에 대해 양영태 자유언론인협회장은 “이중잣대가 정치권과 언론의 가장 큰 문제”라며 “도청 문제만 해도 ‘내가 당하면 불법, 남이 당하면 공익’이란 태도는 버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