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대주주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25일 열린 임시 이사회에서 김재철 사장 해임안을 철회함으로써, 김 사장 해임 문제는 일단 대선 전까진 사실상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됐다.
김재철 사장 해임을 추진했던 방문진 최강욱·선동규·권미혁 야당 추천 이사들이 이날 해임안을 철회한 배경에는 여권 이사들 설득작업에 실패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방문진 이사진 구성은 정부·여당 대 야당이 6:3 비율로 돼 있다. 김 사장을 해임시키기 위해선 이사 9명 중 5명이 찬성표를 던져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여권 이사 중 최소 2명의 확실한 찬성표가 필요한 것. 그렇기 때문에 야당측 이사들이 해임안을 철회한 데에는 찬성표 2표를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표결을 강행했을 경우 부결됐을 때 후폭풍을 우려한 때문이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야당측 최강욱 이사는 해임안 철회 이유에 대해 “그동안 여러 이사들의 의견을 접해본 결과 아직 해임안이 통과되기에는 요건이 불충분하다고 판단했다”면서 “최근 있었던 정수장학회 소유 MBC 지분 매각 추진, 민영화 등의 해임사유들도 보강할 필요가 있어 안건을 다시 내기로 했다”고 언론을 통해 밝혔다.
하지만 야당측 이사가 추가 해임 사유를 보강해 재상정 하겠다고 했지만,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문진의 한 이사는 “야권 이사측에선 5명의 동의를 확보해 표결처리를 통해 해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됐을 때 해임안이 다시 제출될 수 있겠지만, 제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11월 1일 상정될 가능성은 10%미만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해임안이 철회됐고, 내용적으로도 다시 상정될 가능성이 없다”며 “부결 되도 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해임안이 상정되거나, 여권 이사 두 명을 극적으로 설득한다면 가능성이 있지만, 현재로선 그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본다. 김 사장 해임 문제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지 않았다는 노조 주장만 남았을 뿐, 이제는 실종된 이슈”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가결을 전제로 해서 (해임안이) 올라올 가능성은 대선전에는 없다고 본다”며 “대선까지는 이대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그는 “그러나 대선 결과에 따라 김 사장 해임 문제는 다시 수면 위로 떠올라 휘몰아 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