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 양문석 상임위원이 외압 받은 당사자로 지목한 방문진 김충일 이사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그 사람이 사건의 전말도 모르고 자기 추측으로 그런 주장을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이사는 8일 폴리뷰와의 통화에서 “자기가 (외압 받았다는) 그걸 어떻게 아나? 증거를 제시해야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이사는 “그 사람은 내가 임명장 받을 때 얼굴 한번 본 이후로 본적도 없고 전화 한 통화도 한 적 없는 모르는 사람”이라며 “이걸 갖고 말을 해본적도 없다”고 밝혔다.
김 이사는 양 위원이 어떤 근거로 외압 주장을 하는 것 같으냐는 질문에 “모르겠다. 나도 한 번 물어보고 싶다”며 “(양문석 위원이) 사실 관계를 확인해서 시정하는 발언을 해야 된다. 여야 이사들이 김재철 사장 퇴진에 합의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김 사장과 노조위원장의 동반 사퇴를 촉구하고 상호간 고소를 취하한다는 방문진 이사 전원 찬성 결의문을 추진했던 김 이사는 “야권이 안 되는 해임안만 갖고 나오니 제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김 사장만 해임시킨다고 MBC 사태가 해결이 되느냐, 한쪽은 ‘정권의 나팔수’ 한쪽은 ‘노영방송’ 양쪽이 왔다갔다 하면서 시청자와 국민 신뢰를 잃고 있는데, 김 사장만 날리면 노조의 승리가 되고, 정복자가 되고 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또 이 사태에 대해 노조도 당연히 책임져야 하고, 김 사장도 썩 잘했다 볼 수 없으니 동반 퇴진이 바람직하다는 뜻에서 그쪽으로 내가 의견을 모아보겠다고 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결의문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반대 의견이 나오고 전원 찬성이 안됐는데 내가 그걸 어떻게 제출하겠느냐”며 “방문진 9명 전원 찬성이 안 되기 때문에 졸업을 했지(추진을 그만뒀지로 해석된다)”라고 덧붙였다.
김 이사는 “그런 의미로 ‘해임안 내지 말고 있어봐라’ 한 것이고, 철회했다가 이번에 다시 낸 것 아니냐”며 “나는 이사 전원의 뜻을 모아보겠다는 말을 했을 뿐, 해임시킨다는 말을 한 적이 없다. 완전한 왜곡”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단순히 얘기한 것을 마치 내가 압력을 받아 한 것처럼 주장하는 건 완전히 사실 왜곡이자 언론플레이”라고도 했다.
앞서 양문석 위원은 이날 서울 세종로 방통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와대와 새누리당이 (MBC 사태에) 개입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하금열 대통령실장과 김무성 새누리당 총괄선대본부장이 김충일 방문진 이사에게 전화를 해 김 사장을 유임시키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s.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