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영태 자유언론인협회장이 9일 야권 단일화방식을 놓고 여론조사와 함께 거론되는 국민경선이나 배심원단 투표 등의 방식에 대해서 “현 시점에서 거의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양 회장은 이날 MBN 뉴스투데이에 출연해 “시간이 급박하기 때문에 가장 유효한 실질적인 방법이 여론조사”라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지더라도 양 후보 모두가 수긍할 수 있고,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단일화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 회장은 언론 등이 안철수 후보와 문재인 후보 간의 ‘국민연대’에 대한 해석을 신당창당이냐, 연합이냐를 두고 가능성을 점치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신당창당은 불가능하다”며 “두 세력의 지지층을 보면 민주당층, 중도층, 무당파 이 세층을 한 묶음으로 묶는 게 국민연대인데, 신당창당이 중요한 게 아니라 캠프가 호양정신이 필요하다. 정권교체에 충실해야지, 사욕이나 탐욕이 앞서면 단일화를 하지 않는 것보다 못하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두 후보의 단일화 회동과 그 이후 실무진간의 불협화음 조짐이 보이는 점에 대해 “‘새 정치 공동 선언문’의 새정치라는 것은 안 후보의 워딩이다. 판단하건데 안 후보의 입김이 많이 들어가고 문 후보가 많이 양보를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 “마찰이란 부분에서 유민영 대변인이 두 후보가 만나 협의한 내용 외에 왜 자꾸 다른 말들이 나와 자극시키느냐고 민주당을 비판했다. 이런 말들은 단일화 초기단계에서 일을 어렵게 만드는 것으로, 책임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말을 조심해야 한다. 단일화라는 게 상생을 위한 것인데 서로 자극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다.
양 회장은 안 후보가 문 후보보다 나이가 어리다는 점 때문에 일각에서 ‘안철수 양보론’이 나오고 있는 데 대해선 “그런 얘기가 나오는 것도 사실이지만, 지난 서울시장 때와 비교해보면 상황이 전혀 다르다”고 분석했다.
양 회장은 “그 당시 안철수 교수는 서울시장 출마 선언을 한 적이 없다. 양보만 했을 뿐”이라며 “지금은 거대권력을 놓고 단일화를 논의하는 것이다. 두 후보 뒤엔 거대 캠프가 구성돼 있고, 그 캠프는 자신들의 후보가 대통령이 돼야 실익이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바로 그 점이 단일화를 어렵게 하는 요소다. 그래서 양 쪽 모두가 단일화의 초기의 목적, (정권교체라는) 근본적인 목적에 충실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양 회장은 이번 야권단일화와 대선행보의 키는 지역적으로 호남이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호남 행보는 중요한 키워드다. 안 후보, 문 후보 모두 PK출신으로, 과거엔 이 지역에서 현 여당과 야당 지지비율이 대략 75:25였지만, 지금은 55:45정도로 비슷해졌다. 여당이 불리한 구도”라며 “호남은 호남 출신의 후보가 나오지 않은 이상 냉정하고 자유롭게 현 구도를 볼 수 있다. 호남이 대선 단일화 열쇠를 쥔 것”이라고 예측했다.
또 “호남은 표가 야권 성향의 표이기 때문에 야권단일화 성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며 “표가 분리될 가능성은 없다. 정권교체를 누가 할 수 있느냐에 따라 갈 것”이라고도 했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여성 대통령론’과 민생챙기기 행보에 대해선 “야권단일화 등식이 현실로 다가와 힘든 상황을 맞이했다. 정책행보를 이어가면서 한편으론 야권단일화에 대해 ‘야합’ ‘단일화이벤트’라고 주장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는 나름대로 행보를 잘 해나가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s.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