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MBC 오정환 사회부장 “대응 않으려 했지만 이젠 개가 사람 무는 상황”

MBC 노조 민실위 이재훈 간사에게 노조의 부조리 조목조목 반박하는 편지 보내

MBC 노조가 16일자 민실위 보고서를 통해 14일 대통령 아들의 ‘전세자금 의혹’을 보도한 뉴스데스크 보도가 축소보도 됐다며 “정권 눈치에 특종을 날린 간부들은 당장 물러나라”고 비난한 데 대해 MBC 오정환 사회1부장이 반박글을 올렸다.



19일 MBC특보는 노조측 이재훈 간사의 이 같은 비난에 오 부장이 <이재훈 민실위 간사에게>란 제목으로 쓴 장문의 글을 소개했다.

오 부장 반박글에 따르면, “어제 민실위 보고서는 '이 대통령 아들의 강남 아파트 전셋값' 기사를 우리가 축소 보도했다고 질타했다. 그리고 그 글은 고스란히 미디어오늘에 옮겨졌고, 포털사이트 주요 뉴스로 오늘 오전까지 떠 있었다”면서 “그런데 그 중요한 기사를 우리가 14일과 16일 이틀 동안 TV와 라디오 거의 모든 뉴스에 도배를 하는 동안, KBS와 SBS는 단 한 번도 전셋값의 '전'자도 보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렇다면 KBS와 SBS는 의당 분노한 민중의 손에 불 타 잿더미가 되고, 우리는 언론노조가 한겨레 도청 의혹 기자에게 준다는 민주언론상이라도 받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라고 꼬집은 뒤 “그런데도 오히려 우리가 불공정한 언론사로 매도당하는 것은 심히 불합리하고 불공평한 일이다. 여기에는 이재훈 간사를 비롯한 현 노조 집행부가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돼 부득이 글을 드린다”고 밝혔다.

오 부장은 ‘정수장학회 도청 의혹 보도’ ‘전세자금 의혹’에 대한 노조의 비난 공세에 맞서 본격적인 반박을 하기 전 노조의 그간 행태를 비판했다.

오 부장에 따르면 MBC 노조 소속 사회1부 기자들은 자신들 생각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평소 데스크를 맡고 있는 상관에게 인사조차 건네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오 부장은 또 “파업 도중 정영하 노조 위원장이 김재철 사장을 만나 '노조에게 주요 5대 국장의 추천권을 주면 사장을 임기 말까지 잘 모실 것'이라고 제안하고, 거절당하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쫓아내겠다'며 협박했다 들었다”고 폭로했다.

하지만 민실위 이재훈 간사는 MBC사내 게시판을 통해 그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미디어오늘이 MBC사측에 온갖 악담 퍼붓는 글들 보면 도둑이 매를 든다는 속담 떠올라”

오 부장은 MBC사측을 지속적으로 공격하는 미디어오늘에 대해서도 쓴소리 했다. 그는 “그게 어디 MBC 노사 문제에 입을 열 자격이나 있는 매체인가? 미디어오늘 1대 주주가 언론노조, 2대 주주가 MBC노조다. 언론노조도 MBC노조가 납부하는 회비에 크게 의존하는 단체”라면서 “그 매체가 공정한 언론비평을 가장해 MBC사측에 온갖 악담을 퍼부은 글들이 인터넷에 떠다니는 것으로 보면 도둑이 매를 든다는 속담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미디어오늘은 최소한 MBC 문제에 관한 한 그 때 묻은 입을 닫아주시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오 부장은 이어 노조측 민실위 보고서에 대한 반박을 이어나면서 향후 MBC 보도에 대한 노조 비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해 나갈 것임을 알린 뒤 “야당이 집권해도 우리를 정리해주시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그럼 여당이 집권하면 또 우리를 정리해주실 거고, 나중에 우리 꼴이 말이 아닐 것 같아서요.”라고 뼈있는 소감도 덧붙였다.

오 부장의 이날 장문은 사실상 노조의 무소불위 힘을 방증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어 ‘노영방송’이란 지적을 받는 MBC 내부의 씁쓸한 한 단면을 엿보게 했다.

<오정환 사회1부장 반박글 전문>

어제 아침 민실위 보고서 잘 봤습니다. 악의에 찬 글 말미에 '도대체 언론인으로서의 양심이 있기는 한 것인가'라고 물었더군요. 그럼요. 저는 기자의 윤리와 양심에 맞춰 행동하려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이익에 혈안이 된 사람에게는 왜 그렇게 사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겠지만요.

그제 이재훈 간사와 전화 통화를 할 때 "나는 매사 거짓말을 하는 사람과는 상대하지 않겠으니 그렇게 써 달라"고 부탁했는데, 민실위 보고서에 그 말은 없더군요. 그동안 비판을 가장한 욕설이 난무해도 대응하지 않으려 했습니다. 개가 짖는다고 일일이 상대할 수는 없지 않습니까. 하지만 그 개가 사람들을 문다면 상황이 달라지지요.

어제 민실위 보고서는 '이 대통령 아들의 강남 아파트 전셋값' 기사를 우리가 축소 보도했다고 질타했습니다. 그리고 그 글은 고스란히 미디어오늘에 옮겨졌고, 포털사이트 주요 뉴스로 오늘 오전까지 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중요한 기사를 우리가 14일과 16일 이틀 동안 TV와 라디오 거의 모든 뉴스에 도배를 하는 동안, KBS와 SBS는 단 한 번도 전셋값의 '전'자도 보도하지 않았습니다. 그렇다면 KBS와 SBS는 의당 분노한 민중의 손에 불 타 잿더미가 되고, 우리는 언론노조가 한겨레 도청 의혹 기자에게 준다는 민주언론상이라도 받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도 오히려 우리가 불공정한 언론사로 매도당하는 것은 심히 불합리하고 불공평한 일입니다. 여기에는 이재훈 간사를 비롯한 현 노조 집행부가 지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돼 부득이 글을 드립니다.

파업 도중 정영하 노조위원장이 김재철 사장을 만나 '노조에게 주요 5대 국장의 추천권을 주면 사장을 임기 말까지 잘 모실 것'이라고 제안하고, 거절당하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쫓아내겠다'며 협박했다 들었습니다. 그 '가리지 않는 수단과 방법'에 회사를 아예 망하게 만드는 것도 들어 있었던 모양입니다. 세상에 어떤 방송사 노조가 자기 회사 스포츠 중계를 헐뜯고, 뉴스 자막이 어색하다며 캡처해 외부에 떠들어 댈 수 있습니까. 그게 공정방송이나 언론민주화와 무슨 관계가 있습니까.

뉴스 시청률이 조금만 오르려 해도 기다렸다는 듯이 트집을 잡고, 미디어오늘 등 이른바 진보매체들이 이를 퍼나르고 있습니다. 참 고통스럽습니다. 파업이 끝난 뒤 우리 구성원 대다수는 그래도 회사를 살려 놓겠다며 열심히 일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뒤에서 팔짱끼고 발을 걸어대는 극소수 때문에 자꾸 노력이 수포로 돌아갑니다. 이재훈 간사 역시 그 엄청난 보수를 받아 가며 해사행위에 골몰하는 모습이 참으로 기가 막힙니다. 그리고 이를 방치해야 하는 우리 회사의 처지도 딱합니다.

미디어오늘도 그렇습니다. 그게 어디 MBC 노사 문제에 입을 열 자격이나 있는 매체입니까? 미디어오늘 1대 주주가 언론노조, 2대 주주가 MBC노조 입니다. 언론노조도 MBC노조가 납부하는 회비에 크게 의존하는 단체이고요. 그 매체가 공정한 언론비평을 가장해 MBC사측에 온갖 악담을 퍼부은 글들이 인터넷에 떠다니는 것으로 보면 도둑이 매를 든다는 속담밖에 떠오르지 않습니다. 미디어오늘은 최소한 MBC 문제에 관한 한 그 때 묻은 입을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다시 어제 민실위보고서로 돌아가겠습니다. 그동안 비대위특보니 성명이니 민실위보고서니 하는 유인물들을 통해 근거없는 거짓말이나 사실왜곡으로 제 명예를 훼손한 일이 적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반박하지 않고 침묵을 지킨 것은 파업사태로 회사가 두쪽이 났는데 저 또한 뭘 잘했다고 나서는가 하는 자괴감이 있었습니다. 또 어차피 대응을 하면 상대가 말꼬리를 잡으려 할 것이고 같이 진흙탕 싸움을 벌일 수밖에 없는 게 싫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보도에 대해 해명하면 제 부서 기자들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다는 게 두려웠습니다.

사회1부 특히 법조팀 기자 몇은 파업이 끝나고 넉 달이 되도록 부장에게 인사를 하지 않는 장례가 매우 촉망되는 젊은이들입니다. 그래도 타사에 대한 경쟁심 때문인지 아니면 열심히 일하는 게 고쳐지지 않는 버릇인지 지금까지 큰 문제없이 저와 함께 일을 해왔습니다. 가끔 노조에 불리한 기사가 나타나면 갑자기 무능해지는 증세를 보여 저를 애먹이는 경우를 빼고는요. 이재훈 간사의 억지 주장에 제가 해명을 하다보면 보도의 경위를 설명해야 하고, 그러면 본의 아니게 드러내지 않아도 될 일을 이야기하고 제 부서 기자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을까 진심으로 걱정됩니다.

하지만 저의 부서 보도에 대한 근거 없는 공격이 이제는 이재훈 간사가 재미를 붙인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잦아지고, 그게 회사 이미지를 점점 더 수렁으로 끌고 들어가 어떻게든 중단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절박감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대응을 해야겠습니다. 그동안 이재훈 간사가 또는 노조가 썼던 저와 제 부서 보도에 관련된 글들에 하나씩 반박문을 올리겠습니다. 먼저 노조가 성명에서 저널리즘의 기본원칙도 무너뜨렸다고 표현한 '정수장학회 도청 의혹 사건'에 대한 이달 4일 제 리포트가 나중에 어떻게 사실로 밝혀졌는지, 무엇을 취재했고 그게 사실은 부장이 아닌 누가 했어야 하는 일이었는지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잘 읽어보고 사과 성명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기왕 쓰는 것, 글을 인쇄해 로비에 놓을까 고려중입니다. 혹시 압니까. 그 공정하다는 미디어오늘이 제 글도 노보처럼 전재해줄지요.

참고로 어제 민실위 보고서에서 언급한 14일 <뉴스데스크> 기사 중에 1) '청와대에서 나온 정황'이라는 표현은 그 앞에 한 문장을 끼워 넣으면서 문맥상 어색했고, 바로 뒤 문장에 '김윤옥 여사의 측근인 설 모씨가 송금'했다는 말이 나와 겹치는 표현이었습니다. 이재훈 간사는 기사가 어색해도 내용이 겹쳐도 전혀 문제되지 않을지 모르지만, 저는 그렇지 않습니다. 2) '최측근'이라는 말을 '측근'으로 바꾼 것도, 지나치게 단정적인 표현은 순화시키는 게 데스크의 역할입니다. 그게 대통령 부인이든, 여당 인사든, 야당 인사에 대해서든요. 자세한 해명은 몇 가지 사실 확인에 시간이 걸릴 것 같아 그것들이 마무리된 뒤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글이 길어졌네요. 그동안 저도 하고 싶은 말들이 많았나 봅니다. 한 가지만 더, 야당이 집권해도 우리를 정리해주시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여당이 집권하면 또 우리를 정리해주실 거고, 나중에 우리 꼴이 말이 아닐 것 같아서요.

2012. 11.17.

서철민 기자 rapter73@empas.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