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와 정대협 윤미향 대표가 본지를 비롯 여럿 애국매체와 애국인사들을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으나 전원 무혐의 처분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본지 황의원 대표는 객원기자 시절인 2014년 2월 21일에 작성한 ‘‘종북’ 혐의 제기된 위안부 관련 단체, 정대협…
‘제국의 위안부’의 저자 박유하 교수를 둘러싼 재판이 학자의 양심과 관계된역사적·학문적진실 다툼이 아니라 진보좌파 및 종북좌파의 한풀이 내지는 정치공세의 장으로 변질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지난2015년 11월 19일, 서울동부지검은박유하 세종대 교수가 저서 ‘제국의 위안부…
화해·치유재단이 출범 3개월여에 접어들면서 위안부 피해자와 유족들의 보상 문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해치유재단은 지난해 12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와 관련한 한·일간 합의에 따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명예와 존엄 회복 및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해 설립된 재단법…
※ 이 글은 김동호 작가님이 과거에 개인 블로그에 올리셨던 글을 김 작가님의 허락을 얻어 미디어워치가 새로이 재정리해 공개하는 것입니다. 2014년 3월 즈음에 1944년 버마(현재 미얀마) 주둔 미군의 일본군 전쟁 포로 위안부 관련 보고서가 공개되었다는 기사들이 쏟아졌었다. 그런데 미군 보고서 전문을…
※ 이 글은 김동호 작가님이 과거에 개인 블로그에 올리셨던 글을 김 작가님의 허락을 얻어 미디어워치가 새로이 재정리해 공개하는 것입니다. 이전 기사 : 한국인 위안부 관련 미군 포로 심문 보고서 내용을 왜곡한 뉴시스 앞서 민간통신사인 뉴시스가 한국인 위안부 관련 미군 포로 심문 보고서 내용을 어떻…
※ 이 글은과거에 김동호 작가님이 20세기 전반 동북아 마약문제 연구의 대가인박강 교수의 저서인 ‘20세기 전반 동북아 한인과 아편’(선인, 2008년)의 내용을 소개하는 형태로 개인 블로그에 올리신 글입니다. 미디어워치가 김 작가님의 허락을 얻어 새로이 재정리해 공개합니다.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편집자주]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로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측에 따르면, 현재 40명의 위안부 할머니들 중에서 9명은 접촉을 하지 못했으나, 접촉한 31명 중에서 29명(78%)이 일본의 위로금을 수령하겠다는 의사를 전해왔다고 합니다(화해치유재단 "대부분 위안부 할머니 1억 받으면 한(恨) 푼다고"). 하지…
※ 이 글은 김동호 작가님이 과거에 개인 블로그에 올리셨던 글을 김 작가님의 허락을 얻어 미디어워치가 새로이 재정리해 공개하는 것입니다. '제국의 위안부'는 세종대학교 박유하 교수가 쓴, 2013년 8월 12일에 출판된 책으로 출판과 동시에 한국, 일본 양쪽 모두에서 여러 호의적 평가가 쏟아졌었던 명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