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이 끝나마자마 미국 백악관에서는 마이크 펜스(Mike Pence) 부통령이 본인 명의의 짧은 성명을 발표했다. 김정은-문재인 합작 정치쇼였던 이번 남북정상회담을 분명 성토하고 있다고 봐야하는 강경한 내용이다. 펜스 부통령은 먼저 “미국은 아무런 양보 의사를 밝힌 적이 없음에도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온 사실 자체가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지도력과 강력한 대북제재의 선명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와 관련해서도“한국에서의 평화협정은 한반도 비핵화에 한 걸음 다가섰으나, 하지만 단 한 걸음에 불과하다(but it is just one step)”고 평가절하했다. 계속해서 펜스 부통령은“(한반도 비핵화와 관련한)북한의 그 어떤 발언(talks), 약속(promises)및 장담(assurances)도,미국의 유보(reservation), 경계(vigilance)및 검증(verification)과정에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그는“미북 정상회담 준비 작업은 계속 진행 중에 있다. 하지만 이전에도 언급했듯이 – 압박 제재는 조금도 느슨해지지 않고 계속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오늘자 연합뉴스
일본 언론이 자국의 납북피해자 문제만이 아니라 한국 언론을 대신해 한국의 납북피해자 문제를 다뤘다. 한국 언론이 온통 ‘종북(從北)’으로 뒤덮이자 결국 일본 언론에서 한국 자유통일 애국세력의 목소리를 듣게 되는 일이 이제는 일상으로 자리 잡혔다. 27일, 일본의 반공우파 언론인 산케이(産経)는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본처럼 싸워주세요” 회담을 지켜보는 한국인 납치피해자 가족, 미귀환자는 400명 이상(「日本のように戦って」会談見守る韓国人拉致被害者家族 未帰還者は400人超)’ 제하 기사를 게재했다. 산케이는 “북한에 납치된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가슴에 품고 27일의 남북 정상회담의 행방을 지켜보는 가족이 한국에도 있다”면서 “‘왜 우리 정부는 일본처럼 싸워주지 않는가’. 이들은 남북관계 개선에 들끓는 한국사회에서 고립된 존재다”라고 한국의 납북자 문제가 정작 한국에서는 소외되는 현실을 짚었다. 산케이는 이른바 ‘대한항공 YS-11기 납북 사건’의 피해자인 황원 씨(당시 32세의 MBC방송 PD) 가족의 사연을 거론했다. 황 씨의 장남인 황인철 씨는 아주 어렸을 적에는 아버지가 미국에 출장을 간 줄로만 알았다고 한다. “아버지는 미국에 출장 갔어. 크리스마스에
트럼프 대통령이 역대 미국 대통령으로서 최초로, 자국도 아닌 타국의 납북자 문제를 해결해주겠다는 대담한 약속을 했다. 지난주 열린 미일정상회담에서 공개적으로 일본인 납북자 송환 해결을 확약한 것이다. 미일 동맹의 결속력을 보여주는 일대 사건이라는 분석이 미국 언론에서 나왔다. 지난 4월 20일(현지 시각), 미국의 자유보수 매체인 ‘더 아메리칸 컨서베티브(The American Conservative)’는 ‘트럼프 대통령, 역대 최강의 미-일 동맹 구축하다(Donald Trump has built the closest American-Japanese Relationship ever)’ 제하 고든 창(Gordon Chang)의 칼럼을 게재했다. 중국계 미국인인 고든 창은 동북아 외교안보 문제와 관련해서는 미국 언론에서 가장 큰 발언권을 갖고 있는 인사 중 한 사람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납북 일본인 송환에 대한 공개 약속은 일대 사건 “일본인 납북자 가족들이 침통한 마음을 묵묵히 견디고 있었다”. 지난 18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 본인 소유의 플로리다 마라라고(Mar-a-Lago) 별장에서 진행된 미일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작년 가을 방일 기간 중에
조선일보가 26일자로 트럼프 대통령의 눈과 귀를 지배한다는 미국의 폭스뉴스(FOX News)를 소재로 김창균 논설위원의 기명으로 장문의 평론 기사를 게재해 장안에 화제가 되고 있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산케이(産経)도 역시 미국 폭스뉴스를 소재로 평론 기사 ‘[미국을 읽는다] 고관이 되고 싶으면 TV 출연? 트럼프 정권을 좌우하는 ‘FOX효과’(高官になりたければテレビ出演? トランプ政権左右する「FOX効果」)‘를 가노 히로유키(加納宏幸) 워싱턴 특파원의 기명으로 게재했다. 기사 서두에서 산케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번달 8일에 트위터로 시리아에 대대적인 응징 공격을 가하겠다고 선포했었던 사실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반응이 실은 그 직전에 폭스뉴스가 시리아의 화학병기 사용 의혹을 보도했으며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의 관련 대응을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보도한 것과 무관치 않다는 견해가 미국에서 뿌리 깊다는 점을 알렸다. 그러면서 산케이는 “미국 보수파가 비판적으로 ‘주류 언론’이라고 부르는 케이블 뉴스인 씨엔엔(CNN) TV 등이 러시아에 의한 미국 대통령선거 개입 의혹이나, 전 포르노 여배우에 대한 ‘입막음’ 돈의 지불 문제 등 정권에 비
산케이(産経)가 ‘아시아의 다보스 포럼’이라 불렸던 보아오 포럼의 쇠락 실태를 짚으며, 아시아의 ‘중국 이탈’ 실태, 또 중국이 주창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의 허상 문제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섰다. 산케이는 19일자로 ‘아시아의 「중국 이탈」이 가속,아시아 국가들은「일대일로」의 가짜를 알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벌거벗은 임금님」이다(アジアの「中国離れ」進む 「一帯一路」のインチキさにアジア諸国は気づいている 習近平主席は「裸の王様」だ)’ 제하 세키헤이(石平, 중국계 보수논객으로, 베이징대 철학부 졸업 후 일본 유학 중에 일본국적을 취득했다. 독음으로는 ‘세키헤이’,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스핑’) 교수의 칼럼을 공개했다. 일본 다큐쇼쿠(拓殖) 대학 객원교수로 있는 세키 헤이 교수는 중국 쓰촨(四川) 출생에 중국 베이징(北京) 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고베(神戸)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한 일본의 대표적인 중국 전문가다. 그는 2007년에 일본으로 귀화한, 이제는 중국계 일본인이기도 하다. 세키 교수는 금번달 8일, ‘보아오(博鰲) 아시아 포럼’의 2018년 연차총회가 중국 하이난(海南)에서 개최되었으며 시진핑이 10일에는 사상 두 번째로 보아오 포럼에 참석해 기조연
영국의 유력 좌파 일간지가 북한의 핵 및 ICBM 실험 중단 선언은 사실상 핵보유 선언이라면서 남북정상회담과 미북정상회담의 결과에 대해서도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24일, ‘가디언(Guardian)’은 ‘미국과 북한의 비핵화 기대감에 있어서 상호 충돌 징후(US and North Korea expectations over denuclearization appear to collide)’ 제하 줄리안 보거(Julian Borger) 외교 전문기자의 기명 기사를 게재했다. 북한의 핵실험 중단 선언이 외교적 승리? 가디언은 기사 서두에서 “북한의 지도자가 후대를 위해 핵무기 보유를 결심한 이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간의 정상회담과 관련하여 미국과 북한의 서로에 대한 기대감은 상호 충돌 징후가 있어 보인다”고 전했다. 지난 주말 동안 북한은 핵실험 현장에 대한 폐쇄, 또 핵 및 대륙간 탄도 미사일 (ICBM) 테스트 중단 의사를 밝혔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외교적 승리로서 자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와우, 우리는 아무것도 포기하지 않았고, 그들은 비핵화(전 세계에 굉장히 좋은것), 핵실험 현장 폐쇄, 그리고 더 이상 핵과 ICBM 실험을 하지
일본의 반공우파 매체 유칸후지가 문재인 정권이 추진하는 남북정상회담을 남북연방제, 주한미군 철수로 가는 디딤돌이라고 평가하면서 이를 경계하는 칼럼을 게재했다. 25일, 유칸후지(夕刊フジ) 온라인판인 자크자크(zakzak)는 ‘한국이 ‘사회주의국’이 되는 날… 연방제 통일을 목표로 하는 문 정권, 남북 정상회담이 첫 발걸음(韓国が「社会主義国」になる日… 連邦制で統一目指す文政権、南北首脳会談が最初の一歩) 제하 다카하시 요이치(高橋洋一) 교수의 기명 칼럼을 공개했다. 다카하시 요이치 교수는 현재 일본 가에츠(嘉悦) 대학에서 거시경제와 재정정책을 가르치고 있는 학자다. 그는 도쿄대 수학과를 졸업하고서 일본 내각 참사관, 금융청 고문을 지내며 관료 경험도 쌓는 등 다채로운 이력을 갖고 있는 인사이기도 하다. 다카하시 교수는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 조선노동당위원장의 남북 정상회담이 27, 28일에 판문점에서 열린다”는 점을 전하면서, “그 후 미북정상회담이 예정되어 있고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의 방북 관측도 있는 속에서 문 정권은 어떤 생각으로 이번 회담에 임할까?”라고 물으며 칼럼을 시작했다. 다카하시 교수는 “문 대통령에게 ‘남북통일’은 금간판(金看板)
일본의 반공우파 매체 산케이(産経)가 현재 미국에서 취해지고 있는 중국 통신회사 ZTE에 대한 제재조치 사례를 통해 중국 국유 기업의 악질 행태 문제를 짚었다. 미 상무부는 지난 16일, ZTE가 미 정부에 대해서 허위보고를 되풀이하고 있다는 이유로 미국의 모든 기업들로 하여금 향후 7년간 ZTE와 거래를 금지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에 반도체 등의 수급 문제로 인해 ZTE가 곧 수개월 내에 파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관련해 산케이는 25일자 ‘‘기술 없음, 신용 없음, 사죄 없음’의 국유기업. 미국의 제재로 드러난 본질(「技術なし・信用なし・謝罪なし」の国有企業 米国の制裁で露見した本質)‘ 제하 야이타 아키오(矢板明夫) 기자(외신부 차장 직함)의 분석 기사를 게재했다. 산케이는 먼저 20일 저녁에 중국의 통신기기 대기업, 중싱퉁쉰(中興通訊, ZTE)의 인이민(殷一民) 회장이 광둥성 선전시에 있는 본사 개최 긴급 기자회견에서 밝힌 입장부터 전했다. “미국에 의한 제재는 우리 회사의 전 종업원, 관련업자, 소비자 및 주주의 이익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단호히 받아들일 수 없다.” 산케이는 인 회장이 “무역을 정치문제화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의견을 밝히면서
연합뉴스가 일본 산케이(産経) 신문의 아베 정권 관련 여론조사 내용을 인용하면서 아베 정권에 불리한 결과만 편집해 보도한 것으로 드러났다. 편향성 시비로부터 자유로워야 할 국영통신사 보도 행태로서 적절한지 시비가 일 것으로 보인다. 24일, 연합뉴스는 ‘추락하는 아베…우익 산케이 조사서도 지지율 6.7%P 급락’ 제하 기사에서 산케이가 최근 후지 뉴스 네트워크(Fuji News Network)와의 합동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한 내용 중에서 아베 정권에 불리한 부분들만 일방적으로 편집해 제시했다. 연합뉴스는 먼저 ▲ 아베 정권의 지지율이 이전 여론조사보다 6.7%포인트 하락한 38.3% 라는 점, ▲ “아베 내각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자가 이전 여론조사보다 10.3%포인트 증가한 54.1%를 기록했다는 점, ▲ 후쿠다 준이치(福田淳一) 전 재무성 사무차관의 여기자 성희롱 사건에 대한 재무성의 대처에 대해서 응답자의 60.8%가 “부적절하다”고 봤다는 점을 나열했다. 계속해서 연합뉴스는 ▲ 미일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도 “(높이) 평가할 수 있다”(42.4%)는 응답보다 "평가할 수 없다(부정적으로 평가한다)"(49.6%)는 응답이 더 많았다는 점, ▲ 차기 자민
남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평화협정 논의가 화두인 가운데, 평화협정의 선결 조건들이 실제로는 만만히 않음을 제시하는 분석이 영국의 유력 통신사에서 통해 나왔다. 지난 4월 18일(현지시각), ‘로이터(Reuters)’는 ‘북한과의 평화협정은 진부하고 복잡하다(North Korea peace deal is neither a new nor simple idea, say analysts)’ 제하 조쉬 스미스(Josh Smith) 기자의 한국발 기명 분석 기사를 내보냈다. 난관이 만만치 않은 평화협정 체결 로이터는 “남북한이 4월 27일에 개최될 정상회담에서 평화협정을 논의하기로 했다”면서 “1950-1953년 사이에 치러진 한국전쟁은 공식적인 종전이 아니라 휴전(armistice) 상태로 현재까지 이어져 왔는데, 이를 종전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관련 금번 남북 정상회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고 서두를 뽑았다. 마침 지난 화요일(4월 17일)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만약, (금번 남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핵무기 포기에 동의한다면 남북한 평화협정 노력에 대해서 ‘승인한다’(the effort has his "blessing", if North Korea agreed
작년에 북한이 수시로 핵 실험을 하고 또 탄도 미사일을 쏘아댈 시에 한국은 사실상 무대응에 그쳤던 반면에, 일본은 실제로 한반도에서 얼마든지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고 가정하고서 다양한 논의들을 펼쳤었다. 현재 한국에는 미국인, 일본인 외에도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이 상주하고 있다.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날 시에는 이들이 1차적으로 비교적 신속하게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나라는 일단 가까운 일본일 수 밖에 없다. 2011년도에 연평도 피격사건 등이 벌어졌을 때 실제로 일부 국가는 일본 정부에 자국민 보호와 관련한 제의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이러한 주제와 관련하여 일본의 반공우파 매체 산케이(産経) 운영 오피니언 사이트 이론나(iRONNA)는 2017년 5월 7일, ‘수염 대장이 긴급 경고! 현재 자위대로는 거류 일본인 6 만명을 구할 수 없다(ヒゲの隊長が緊急警告! 今の自衛隊では在韓邦人6万人を救えない)’ 제하 사토 마사히사(佐藤正久) 참의원의 칼럼을 게재했다. 사토 마사히사 참의원은 재선의원으로서 일본의 사관학교인 방위대학교를 졸업하고 육상 자위관 시절에 유엔 PKO 골란 고원 파견 수송대 초대 대장, 또 이라크 부흥 업무 지원 초대 대장 등을 역임한 안보전문
한·미·일이 북한에 2020년 ‘도쿄올림픽’ 이전까지 핵 폐기 완료를 요구하고 있다는 일본발 보도가 나온데, 국제사회의 제재 시작부터 핵 폐기까지 10여 년이 걸렸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 폐기 사례는 핵 개발 단계가 아니라 핵 완성 단계의 경우로서는 세계사적으로 현재까지는 유일한 경우다. 북한도 역시 핵 완성 단계라는 관측이 지배적인 만큼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핵화 사례는 깊이 참고할만한 가치가 있다. 지난 5일, 일본판 ‘뉴스위크(Newsweek)’ 지는 ‘남아프리카의 사례에서 배우는 핵포기의 조건(南アフリカのケースに学ぶ核放棄の条件)’ 제하로 미국 ‘슬레이트(Slate)’ 지의 칼럼니스트인 조슈아 키팅(Joshua Keating)의 기명 칼럼을 게재했다(지면으로는 2018년 3월 20일에 공개). ‘뉴스위크’, ‘슬레이트’, 그리고 조슈아 키팅은 모두 좌파 쪽에 속하지만,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핵화 사례 분석 자체는 충분히 새겨들을만 하다. 완성 단계에서 핵을 포기한 유일한 나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조슈아 키팅은 “북한이 진심으로 핵보유를 단념하는 것은 정권이 바뀌거나 세계가 바뀔 때뿐이다”라는 비관적 슬로건으로
중국 관련 외신의 주요 출처로 국내 언론에서 자주 인용되곤 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이하 SCMP)’라는 홍콩 소재 영문 매체가 있다. SCMP라는 매체는, 어차피 모조리 공산당 기관지이자 국영언론사로서 정부의 철저한 통제를 받고 있는 베이징 소재 ▲ 인민일보(人民日報),▲환구시보(環球時報, 영문판은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포털사이트 인민망(人民网),▲봉황망(凤凰网),▲신화통신(新華通訊) 등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나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SCMP 역시 어차피 친중(親中) 어용 매체에 불과하다는 의혹이 해외 유력 매체들에 의해서 지난 수년간 제기되어왔다. 2015년 12월 14일(현지 시각), 미국의 좌파 유력지인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 이하 WP)는 ‘홍콩 유력 신문 인수가 중국의 새로운 권력 강화 행보인가(Is the sale of a Hong Kong newspaper China’s latest power play)’ 제하의 사설로 SCMP라는 매체의 친중 어용 행각 문제를 심각하게 화두삼았던 바 있다. 마윈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의 인수로 매체의 미
주한미군이 한반도 유사시를 대비해 미군 가족과 주한 미국인들을 미국 본토로 대피시키는 훈련을 지난 16일부터 진행하고 있다. 주한 민간 미국인들의 미국 본토 대피 훈련은 사상 최초다. 해외 주요 국가들 중에서 한반도에 많은 자국 국민들을 두고 있는 대표적인 나라로 미국(20만명)과 일본(6만명)이 있다. 주한미군을 두고 있는 미국과는 별개로, 자국에서조차 정식 군대(공격군)는 두지 못하고 있는 일본은 한반도 유사시 어떤 대비책을 마련해두고 있을까. 일본 산케이(産経) 신문이 운영하는 오피니언 사이트 ‘이론나(iRONNA)’는 이미 2017년 5월 7일, ‘북한의 유사시는 ‘상정내’ 거류 일본인의 대피를 위해 우선 해야 할 일(北朝鮮有事は「想定内」 在留邦人退避のためにまずやるべきこと)‘ 제하 칼럼을 통해 그런 대비책 문제를 논했다. 해당 칼럼은 요시토미 노조무(吉富望) 니혼(日本) 대학 위기관리학부 교수가 작성한 것으로, 한반도 전쟁과 관련 일본의 관련 대비책을 잘 살필 수 있는 내용이다. 요시토미 교수 주장의 요지는, 전쟁 상황에서 민간인 대피에 또 다른 민간의 도움을 얻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자위대의 한반도 파견은 불가피하며 자위대가 사용할 대량 민간인 수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