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기타


배너

 

 최근 노무현 대통령의 충격적인 발언으로 대통령과 집권여당이 대립과 공방 속에서 정치권이 어수선하다.

 참여정부의 레임덕이 정치 아노미(anomie)로 번질 수 있는 가운데 국정의 축이 흔들리면서 각종 정책현안이 동서남북 중 어디로 가야할지 길을 못 찾고 있다는 게 큰 문제다.

 여기서 아노미란 무법·무질서의 상태, 신의(神意)나 법의 무시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노미아(anomia)라고 한다.

 프랑스 사회과학자인 뒤르켐(Emile Durkheim)은 아노미를 ‘사회 분업론’과 ‘자살론’을 통하여 근대 사회학에 부활시켰다. 뒤르켐은 이 말을 일정한 사회에 있어서 구성원의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사용했다.

 뒤르켐에 의하면 사회적 분업의 발달은 사회의 유기적 연대를 강화하지만 이상(異常)상태에 있어서는 사회의 전체적 의존관계가 교란되어 무규제·무통제의 분업이 사회적 아노미 상황의 원인이 된다고 한다.

 이처럼 아노미는 일탈 행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다. 사회적 혼란, 도덕적 혼란, 가치 체계의 붕괴는 아노미적 사회의 뚜렷한 징표이다.

 여권 정황이 심상치 않은 기운을 보이는 가운데 청와대에 대한 열린우리당의 반발이 위험수위로 가고 있으며 노무현 대통령은 “임기를 다 마치지 않은 첫 번째 대통령이 되지 않길 바란다”는 발언을 했다.

 또한 국회에 계류돼 있는 법안들만 2986개에 이르고 있고 여권은 자기들 스스로 편을 갈라 싸움을 벌이는 모습을 띄고 있는 형상이다.

 여·야·정 정치협상 제안이나 전효숙 전 헌법재판관 처리에서 드러난 청와대의 인사에 대해 불만이 정책 혼선으로 표출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대한민국 국민에게 돌아올 것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지지율이 한 자릿수까지 기록되고 있다. 올바르고 명확한 정책을 통해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물론 여당만 잘한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니므로 한나라당을 비롯해 야당들도 국정혼란을 막는 데 도움을 줘야 한다.

 처리하지 못한 법안들이 3000여개에 육박하고 있는 일은 헌정사상 처음 있는 일로 기록될 이 상황에서 책임을 여당으로만 몰고 가는 것 또한 야당이 잘 하고 있는 일만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대통령도 ‘못해먹겠다’, ‘탈당’이란 말을 해가며 이 정국을 헤쳐 나가려는 것은 국민들이 봤을 때 책임 있는 행동이 아니다. 앞으로 남은 임기동안 국민들에게 행복을 가져다주는 일들을 해야 하는 것이 옳은 길일 것이다.

 정치권이 혼란을 거듭하고 있는 이때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원내대표회담을 통해 산적해 있는 법안들을 처리하기로 합의함으로서 정치적인 혼란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소수정당들의 반발도 일어나고 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원만한 합의를 통해 해결점을 찾아가길 바란다.

 이제는 어떠한 일보다 국가의 중요한 일들을 올바르게 처리 및 마무리를 해야 할 시기이다. 그 일들을 다해 놓은 다음 자신들의 뜻을 펼쳐 보이는 게 순서가 아닌가 싶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