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뒷북’ 새누리당 “KBS가 책임져야” 비판

문창극 여론재판 당할 땐 뭐하다가...“새누리당의 비겁함이 공영방송 위기의 한 요인”

문창극 총리후보자의 자진사태로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KBS 비판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그러나 정작 문 전 후보자가 KBS의 짜깁기 보도로 ‘친일·반민족주의자’라는 여론재판을 받을 당시에는 동조하거나 침묵하다가 자진 사퇴 후에야 비판하는 것은 책임을 돌리려는 것이 아니냐며 뒤늦은 반응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25일 라디오 방송 출연 등을 통해 전날 자진사퇴한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와 관련해 "문 후보자의 낙마는 KBS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홍 의원은 “문 후보자는 충북 분이고 언론 출신이며 청렴하게 살았고,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라며 "(낙마에) 책임을 진다면 (문 후보자 과거 발언을 최초 보도한) KBS가 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을 오도하면 안 되는데 KBS가 처음에 국민에게 잘못된 인상을 심어 국민들이 문 후보자에 대한 싸늘한 반응을 나타낼 수밖에 없도록 여론을 몰아갔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KBS가) 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조해진 의원도 “KBS는 보도의 기본원칙과 요건·언론의 양심과 정도에서도 벗어났다”며 “국민의 수신료로 운영되는 KBS가 국민을 속였다는 점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했다.

국회 국정감사 때 왜곡보도 부분을 문제 삼겠다는 움직임도 있다. 문화부 장관과 국회 문방위원장을 지낸 정병국 의원은 “국정감사에서 반드시 짚어야 한다”며 “청문회를 거쳤던 사람으로서 왜곡보도가 야기하는 마녀사냥식 규정짓기의 폐해가 얼마나 위험한지 절대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같은 당 김태흠 의원도 “수신료를 받아 국민의 눈과 귀를 속이는 건 중대한 범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진 KBS는 현재 노조가 장악한 노영(勞營)방송”이라며 “정치화된 민주노총에 소속된 방송노조가 장악한 KBS는 방송의 중립성을 말할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새누리당 측의 KBS 비판에 대해 자유언론인협회 박한명 사무총장은 “여론재판으로 당사자가 정작 마녀사냥을 당할 때 왜 이런 적극적인 반응과 대응이 나오지 않았느냐. 매우 비겁하다”면서 “대응할 때 대응못하고 다 끝난 다음에야 이렇게 성토하는 건 자신들의 책임을 오직 KBS 보도로만 돌리려는 오해를 살 수밖에 없다. KBS의 보도 문제는 문제고, 이번에 보여준 새누리당의 비겁하고 무책임한 태도는 공영방송 위기의 한 주범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