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미디어워치 (국내언론)


배너

MBC언론노조 ‘근로자지위보전 가처분’ 과잉·확대해석 했다?

“팩트를 늘 유리하게 해석·과장하다보니 아예 체질적으로 습관화된 것”

회사를 상대로 근로자지위보전 가처분을 제기한 정영하 전 MBC언론노조 위원장 등 해고자 6인에 대해 MBC가 한시적으로 근로자 지위를 인정하라는 법원의 명령을 이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 6명은 여전히 MBC를 향한 비판을 멈추지 않고 있다.

이들은 서울남부지방법원의 ‘근로자 지위 보전 가처분 신청’ 결정에 의해 근로자 임시지위를 획득한 이후 법원 결정문을 놓고도 ‘과잉해석’ 논란을 빚으면서 MBC를 향해 ‘무조건 완전 복직’을 요구하며 비난 성명을 발표하는 등 억지주장이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러나 이들이 법원 결정이나 사측의 조치 등에 대해 사실을 부풀리거나 왜곡된 주장을 펼쳐온 건 하루 이틀 된 일이 아니다. 과거 2012년 MBC 파업 당시부터 끊임없는 억지 주장과 사실 왜곡을 무기삼아 투쟁해왔다는 것.

그중에서도 전국언론노조 MBC본부(위원장 이성주, MBC언론노조) 정영하 전 노조위원장은 오마이뉴스, PD저널 등 친 MBC언론노조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수차례에 걸쳐 비상식적인 발언으로 물의를 빚은 바 있다.

정 전 위원장은 지난 3월 26일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방송·언론계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MBC언론노조를 ‘힘없는 어린아이’에 비유해, 무관심한 여론을 환기시키고 동정여론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억지’라는 비판을 받았다.

2012년 파업 당시 해고, 정직 등 징계를 받은 노조 간부들에게 조합비를 이용, 기존에 받던 1천만 원에 가까운 월급 대부분을 보전해준 MBC언론노조를 한진중공업과 쌍용차 해고자들과 비교한다는 건 ‘어불성설’이라는 지적도 받았다.

여기에 더해 MBC언론노조는 정동영, 신경민, 박영선, 노웅래 등 MBC 출신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는 등 언론권력의 핵심 주체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어 정 전 위원장의 발언이 얼마나 현실과 동떨어진 발언인지를 여실히 증명했다는 비판도 있었다.

2013년 1월에도 정 전 위원장은 PD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노조집행부에 대해 가압류 신청을 한 사측을 향해 “돈 없는 노동자에 대한 자본가의 전형적인 횡포”라고 주장했다.

당시 정 전 위원장의 이러한 발언들에 대해 자유언론인협회 박한명 사무총장은 “정영하의 엄살 인터뷰는, 고작해야 아카데미에서 브런치 교육좀 받았다고 나치의 아우슈비츠 운운하며 고통스럽다고 꼴깝을 떨어대던 귀족노조의 실체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며 “특히 6.25전쟁, 군사정권 시절 운운하며 마치 자신들이 그 시절 고통당했던 민주화 인사라도 되는 양 비유한 것은 6.25와, 군사정권 시절에 억울한 고통을 당했던 모든 이들을 모독하는 발언이다. MBC 귀족노조가 파업 중 자신들이 저지른 온갖 파렴치한 짓들에 대한 당연한 징계 때문에 겪는 것을 그 엄혹한 시절을 언급하며 비유하려 드는 것은 인간 말종들이나 할 수 있는 짓이다. 정영하는 당장 사과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한 바 있다.

공영방송 개혁 운동에 앞장서고 있는 시민사회단체의 한 관계자는 “법원 결정문을 놓고도 자기 식으로 해석하고, 법원 명령을 성실히 이행하는 회사를 향해 법을 지키지 않는 집단이라고 비난하는 노조 전 집행부의 모습을 보면 답답할 따름”이라며 “팩트를 자기들에게 유리하게 늘 해석하고 과장하다보니 아예 체질적으로 습관화된 게 아닌가”라고 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지난 파업 때도 MBC와 관련한 여러 사실을 부풀릴 대로 부풀리고 왜곡하다가 결국 국민 지지를 얻지 못하고 실패한 것 아닌가”라며 “그래놓고도 노조와 해고자들은 지금도 그 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있다. 반성하지 못한 그들의 투쟁은 또 실패로 끝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