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훈영 기자] KBS 조대현 사장이 지난 7월 말 취임사에서 밝혔던
KBS언론노조는
이어 "한번 만들어 놓은 뒤 아무도 쳐다보지도 않고 이를 어기더라도 아무런 구속력도 없는 <가이드라인> 제정으로는 공정성 시비를 결코 끊을 수 없다"고 밝힌 KBS언론노조는 여야 7:4 구조인 이사회에서 과반으로 추천된 후보를 대통령이 사장으로 임명하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임명된 사장이 보도, 제작 책임자들에 대한 배타적인 인사권을 갖고 있는 지배구조가 KBS 공정성 시비의 본질적인 문제라고 주장했다. 정부여당 측의 인사가 다수를 차지하는 현 구조가 공정성 시비의 본질이라는 야당과 민언련 등 좌파진영의 전형적인 논리를 댄 것이다.
그러면서 KBS언론노조는 "KBS본부는 조대현 사장 취임 전부터 조 사장이 ‘제2의 길환영 사장’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보도 독립과 제작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등 ‘국장 책임제’ 도입을 거듭 요구한 바 있다"며 KBS기자협회와 PD협회가 지난 2012년 공동으로 조사한 설문조사를 근거로 제시했다. 당시 설문조사는 응답자의 90%가 국장직선제나 국장 임면동의제를 포함한 '국장 책임제' 도입이 KBS 제작자율성과 공정을 보완하기 위한 장치라는 응답을 한 바 있다. KBS언론노조 측의 기자와 PD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인 만큼 이 같은 높은 찬성 응답률은 당연한 셈이다.
조대현 사장 '무능' 편승해 세력 확장 꾀하는 KBS언론노조
KBS언론노조의 주장처럼 조 사장의 공정성 가이드라인 제정 작업은 KBS 내부에 이미 해당 사안에 대한 규정과 가이드라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여주기식’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문창극 왜곡보도 사태 등이 일어나면서 공정성 관련 규정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따져보기 보다는 일단 외부의 비판을 의식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 사장의 행태를 빌미삼아 KBS기자협회와 PD협회 등이 '국장책임제'를 사측에 대한 압박카드로 꺼내는 것은 KBS언론노조가 또다시 실질적인 보도 장악 공고화를 위한 야심을 드러낸 것이라는 지적이다.
또한 가이드라인 제정에 "노동조합과 기자협회, PD협회 등 사내 제 단체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야 한다. 더불어 언론학계를 대표하는 명망 있는 전문가, 교수들과 함께 공론의 장에서 논의가 이뤄질 때만이 조 사장이 말한 대로 ‘우리 구성원뿐 아니라 밖에서까지 인정하고 콘센서스가 이루어지는 그런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KBS언론노조의 주장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는 결국 기자협회, PD협회 등 언론노조 측과 이들을 지지하는 좌파진영 인사들의 전면적인 참여로 자신들의 입맛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겠다는 의도와 다름아니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KBS의 한 관계자는 "지난 KBS 사장 인사에서 고대영 전 KBS 보도본부장과 홍성규 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에 대한 극렬한 반대운동으로 조대현 사장을 우회적으로 지지하며 그의 사장 선임에 공헌을 한 KBS언론노조가 또다시 '사장 길들이기'에 나선 것"이라며 "이를 통해 KBS언론노조의 세력을 더욱 확장, 실질적으로 자신들만의 공정방송을 만들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자신들의 존재 의의를 진보의 정치세력화에서 찾는 언론노조의 산하단체인 KBS언론노조, 이들이 주장하는 '공정성'이 어떠한 기반 하에 존재하는지는 그 누가 보더라도 명확한 것"이라며 "이들과 불가분의 관계인 KBS기자협회와 PD협회 그리고 이들이 말하는 전문가, 교수가 참여하는 가이드라인은 결국 이들의 입맛에 맞는 편향 방송을 만들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다른 KBS 관계자도 "두 차례에 걸쳐 KBS언론노조의 눈치를 보는 인사로 각 팀장급에 노조 집행부 출신 인사와 기자협회 전 협회장, PD 협회장 출신 인사를 앉힌 조대현 사장에게 KBS언론노조가 보내는 압박"이라며 "팀장급을 넘어 국장급에까지 자신들의 입김이 닿는 인사를 기용하겠다는 '야욕'이자 반대세력을 향한 기만전략"이라 비판했다.
아울러 "조 사장의 KBS 공정성 가이드라인도 KBS언론노조에 빌미를 주기 위해 일부러 진행한 것일 수 있다"고 지적한 이 관계자는 "KBS언론노조 측 현상윤 전 PD가 조 사장을 극찬한 칼럼을 쓴 것에서 보듯 조 사장과 KBS언론노조가 겉으로 보기엔 데면데면한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진 것처럼 공정성 가이드라인이 어떻게 만들어질지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고 만약 우려대로 엉뚱한 방향으로 만들어진다면 전면적인 문제제기로 바로 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