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이우연 박사 “사도광산 유네스코 유산 지정 반대하면 한국만 창피해진다”

“사우디아라비아 역사책에 한국인이 노예노동을 했다고 써야 직성이 풀리겠느냐”

일본의 사도(佐渡)광산 유네스코 유산 지정을 두고 국내 친중반일 세력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한일우호 시민단체인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를 이끌고 있는 이우연 전 낙성대연구소 연구위원(박사)이 일침을 가했다.

이 박사는 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유산 지정을 한국이 극성스럽게 반대하면 우리가 결국 창피해진다”며 “하시마(端島, 군함도)의 경우, 자료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 박사는 “아버지를 따라 하시마에 다녀왔다”고 주장하는 한국인 공산주의자 한 사람이 하시마를 ‘지옥섬’이라며 규탄했다는 사실을 소개한 후 “그런데 그가 다녔다는 초등학교 동창들은 그를 몰랐고, 문서 자료도 그가 하시마에 있었다는 사실을 증명해주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 박사는 군함도와 달리 사도광산은 자료가 있지만 한국에서는 신화화된 ‘조선인 강제연행’과는 무관하다고 밝혔다. 그는 “징용은 44년 9월 이후부터 시작되었고, 우리가 그나마 강제성을 우길 수 있는 것은 42년 2월, 소위 ‘관알선’부터인데, 사도광산으로 간 조선인 1,005명은 모두 관알선 이전에 그곳으로 갔다”며 “그저 회사가 조선인을 모집했고, 사람들이 그에 응해 합격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박사는 “일본 본사에서 조선에 노무과 사람을 보내 면사무소에 찌라시 붙이고 장터에서 북치고 장구쳐서 사람을 모았고, 근무환경과 급여를 선전하고 조선인은 그에 응했다”며 자발적인 지원자들만 사도광산에 보내졌다고 강조한 후 “원서내고 신체검사받아 합격이면 집안의 경사로 여기고 일본으로 갔다”고 지적했다.

이 박사는 사도광산에서 근무한 조선인들이 60년대 당시 독일 광산 근무를 지원한 우리 아버지 세대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예를 들어 1939-40년에는 전라, 경상, 충청이 극심한 흉작이었다”며 “39년에는 10명을 모집하는데 100명 이상이 지원한 곳이 대단히 많다”며 시장이 커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일본 광산의 고임금은 조선의 가족들에게 큰 힘이 되었다”며 “그분들의 고생으로 가족이 빚을 갚고 전답을 마련한 우리 할아버지 세대도 많다”고 설명했다. 

이 박사는 “100년 뒤에 사우디아라비아 역사책에 한국인이 강제연행되어 와서 노예노동을 했다고 써야 직성이 풀리겠느냐”며 1970년대 한국인들의 중동 건설현장 근무 사실을 언급하면서 글을 마무리했다.


관련기사 :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