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다 아키라(山田晃) DHC 테레비(DHCテレビ) 대표이사가 최근 한국 언론의 자사 관련 보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우리 방송 내용 중에서) 어디가 어떻게 혐한적이고 역사왜곡인지 구체적으로 지적해달라”고 요구했다. 야마다 아키라 대표는 지난 14일 DHC 테레비 홈페이지에 ‘한국 미디어에 의한 DHC 관련 보도에 대해(韓国メディアによるDHC関連の報道について)’라는 제목으로 입장문을 올려 이같이 밝혔다. 이날 야마다 대표는 “지난 8월 10일부터 며칠 동안 한국의 방송국 'JTBC'를 비롯해 여러 한국 미디어에 의해 우리 제작 프로그램에 대해 ‘혐한적이다,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등의 비난 보도가 반복되고 있는 것, 동시에 한국 내에서 DHC 제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건에 대해서 우리의 견해를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그는 “DHC 텔레비전은 2015년 모회사인 주식회사 DHC 제공 ‘진상 규명! (深入り!)도라노몬(虎ノ門) 뉴스’ 등의 뉴스 해설‧언론 프로그램의 방송을 시작했다”며 “방송 시작으로부터 4년을 거쳐 ‘도라노몬 뉴스’가 국내외 많은 시청자를 얻을 프로그램으로 성장한 것을 매우 고맙게 생각하고, 그것은 제작진에게 큰 격려가
※ 본 기사는 일본의 손꼽히는 재일한국계 시사지인 ‘토오이츠닛포(統一日報, 통일일보)’ 2019년 8월 15일자에 게재된 ‘태블릿PC 진실 -역사와 문명 앞에 진실투쟁은 계속된다(タブレットPCの真実―歴史と文明の前で真実への闘争は続く)’를 ‘토오이츠닛포’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이다. (번역 : 박아름) (관련기사 :[토오이츠닛포] 일본 국민 여러분, 가짜 대통령 · 문재인은 한국 국민이 끌어내리겠습니다) 태블릿PC 진실 -역사와 문명 앞에 진실투쟁은 계속된다(タブレットPCの真実―歴史と文明の前で真実への闘争は続く) 현직 검사와 언론사 사주가 증거조작에 가담(現職検事と報道機関社主らが証拠の捏造に加担) 한국 헌정사에 치욕의 오점으로 남게 된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사건. 이 탄핵사태의 도화선이 된 이른바 '국정농단'의 유일한 물증이라는 최서원(최순실)의 태블릿PC는 끝내 법정에 제출되지 않았다. 박근혜 전 대통령을 비롯, 이 태블릿 PC로 정부의 기밀 정보를 최 씨에게 건넨 혐의로 기소된 비서관의 재판에도, 심지어 태블릿 PC문제로 명예 훼손 혐의로 기소된 사건의 1심 재판에서도 증거로 채택되지 않았다. 증거주의 재판에서 이런 사태는 있을 수 없다. 왜 지금
일본의 한 경제지가 최근 반일 선동에서 한발 물러서는 듯 한 문재인 정권의 행태를 갑작스런‘불끄기(소방)’에 비유했다. 특히 경제 정책 실패로 인한 한국 국민들의 분노가 문 정권에게 향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15일, 일본 유력 경제잡지‘머니겐다이(マネー現代)’는 “문재인이 서두르고 있다! ‘반일’ 과열로 드디어 한국 경제가 위험하게 된다(文在寅が焦り出した! 「反日」過熱でいよいよ韓国経済がヤバくなる) 제하 스나가와 요스케(砂川 洋介) 기자의 분석 기사를 실었다. 문재인이 반일 불끄기에 나선 이유는? 이날 머니겐다이는 “한국 문재인 대통령은 일본에 대한 강경한 자세를 강화해왔다”며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요즘 발언을 자세하게 보면 거기에 미묘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12일 청와대에서 열린 회의에서 “일본의 부당한 경제 보복에 결연히 반대한다”면서도 "우리는 감정적으로 되어서는 안된다"고 발언한 바 있다. 특히 “한국 국민들이 양국 국민 간의 우호 관계를 훼손하지 않도록 의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대해 머니겐다이는 문 대통령이 “분노를 전면에 내세우는 스
일본의 한 유력 언론인이 “문재인 정부는 ‘북조선이야말로 정통한 민족의 정권’이라고 숭배한다”며 “일본을 식민지 지배한 '용서 못하는 이웃 나라'로 정하고, 국민을 반일으로 선동하고 있다”고 의표를 찔렀다. 16일,일본 유력 경제잡지‘겐다이비즈니스(現代ビジネス)’는 “문재인 정부가 '반일 노선'에 한국 국민을 계속 선동하는 근본적인 이유(文在寅政権が「反日路線」で韓国国民を煽り続ける、根本的な理由)” 제하 하세가와 유키히로(長谷川幸洋) 겐다이비즈니스 논설위원의 칼럼을 게재했다. 하세가와 논설위원은 문재인 정권 집권 초기부터 그의 경제정책을 강하게 비판해온 논객으로 유명하다. (관련 기사 :일본 요미우리TV “문재인 대통령, 고용정책 이해력 전혀 없다”) 문재인은 엉터리… 사대주의와 반일 노선이 근본적 문제 이날 하세가와 논설위원은 문재인 정부의 ‘사대주의와 반일 노선’으로 인해 한국 스스로가 자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 문재인 정부가 자멸의 길을 달리고 있다. 일본과의 무역을 둘러싼 대응뿐만 아니라 중요한 경제 정책도 엉터리”라며 “그들은 왜 이런 실수를 하는가. 나는 ‘사대주의와 반일 노선’이 근본적인 이유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무역
한국 언론이 그간 널리 인용해온 미국의 대표적인 친한파 학자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한일 대립을‘문재인 정권의한국 탓’이라고 발언했다. 하지만, 국내언론은 며칠째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일본의 유력경제지 ‘재팬비즈니스프레스(日本ビジネスプレス, JBPress)’는 “‘한일대립은 한국 탓’ 미국인 학자가 통렬하게 비판(「日韓対立は韓国のせい」米国人学者が痛烈批判)” 제하 고모리 요시히사(古森 義久) 산케이신문 워싱턴 주재 객원특파원의 칼럼을 게재했다. 고모리 특파원은 이날 영향력있는 미국의 대표적인친한파(親韓派)학자 스콧 스나이더(Scott Snyder)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의 최근 공식 발언을 집중 소개했다. “스콧 스나이더, ‘한일대립은 文이 원인’이라고 말해… 日비판은 없어” 고모리 특파원은 칼럼의 서두에서 “한일대립의 격화에 대한 미국의 대응이 주목되는 가운데, 미국 내 한국연구에서 굴지의 저명학자가 한일대립의 원인이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잘못에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는 견해를 발표했다”고 전했다. 그는 “8월 7일, 워싱턴의 대규모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이 ‘한일무역분쟁’이란 제목의 심포지엄을 개최했다”며 “이 심포지엄에 출석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전 주한일본대사가“북한과의 경제협력으로 평화경제를 실현해 일본을 따라 잡을 수 있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새빨간 거짓말”이라고 평가하면서“북한도 그를 깔보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토 전 대사는 지난 9일 일본의 유력 경제지 ‘머니겐다이(マネー現代)’에 “한국의 문재인이 또 새빨간 거짓말! 북한도 그를 깔보니 ‘만사휴의’(韓国・文在寅がまた大嘘! 北朝鮮からもバカにされて「万事休す」へ)” 제하 칼럼을 기고, 이같이 말했다. “한국인은 이성이 아니라 감성으로 생각” 무토 전 대사는8월 5일 문재인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북한과의 경제 협력으로 평화 경제를 실현하고 일본 따라 잡기’를 하겠다고 밝힌데 대해서 유감을 표명하며 칼럼을 시작했다. 그는 “문재인 씨에 의하면 ‘경제규모’와 ‘내수시장’에서 일본경제는 한국보다 유리하지만 남북이 경제협력을 하면 ‘경제규모’와 ‘내수시장’이 확대돼 한국과 북한이 함께 일본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소리”라며 “이것이한국 국민들에게 얼마나 큰 희망을 주는 구상일까”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문 대통령은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국’에서 제외하는 결정을 내린 직후, 이는 단순한 수출관리의 운영변경이 아니
일본의 한 유력 주간지가 최근 한국에서 연이어 개봉되고 있는 반일 선동 영화의 역사왜곡 문제를 지적하고 나섰다. 지난 2일, 일본의 ’슈칸포스트(週刊ポスト)‘는 2019년 8월 9일호의 “한국의 반일영화 사실과 동떨어져도 속 시원하면 된다(韓国反日映画 史実とかけ離れていてもスカッとできればいい)” 제하 기사를 인터넷판 ’뉴스포스트세븐(NEWSポストセブン)‘에 공개했다. 이날 슈칸포스트는 “올 여름 한국에서 불타오르는 반일의 불길에 기름을 붓는 듯 ‘반일영화’가 연달아 개봉된다”며 “7월 25일에는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논쟁을 주제로 한 영화 ‘주전장’이 개봉되었고, 8월 7일에는 ‘조선독립군’과 일본군의 전투를 묘사한 ‘봉오동전투’가 개봉한다”고 전했다. 이어 “8월 8일에는 올해 1월에 92세로 별세한 옛 위안부 김복동 씨에 밀착한 영화 ‘김복동’이 공개된다”며 “8월 이후에도 한국의 반일영화 붐은 계속된다. 9월에는 한국에서 ‘징용공의 비극’으로 알려진 사건을 그린 ‘우키시마호’가 공개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슈칸포스트는 특히 ‘우키시마호’ 영화의 문제를 상세히 설명했다. 슈칸포스트는 “이 작품은 종전직후인 1945년 8월 22일, 아오모리에서 부산을 향해
일본의 한 유력 매체가 현재 한국에서 반일좌익 세력을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대해서‘허술하다’고 총평했다. 일본 제품을 도저히 대체할 수가 없는 품목이 수없이 많은데다가일본 제품의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는 문제들을 고려할때,‘일본 제품 불매 운동’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분석이다. 또 억지로 이를 전개할 경우의 피해는 한국인들 스스로에게 고스란히 향할 수 밖에 없는 지적이다. 더구나 일본 측에다가 ‘일본 제품을 팔지 않겠다는 입장을 철회하라’고 항의하면서 동시에 일본 측이 보란 듯이 ‘앞으로는 일본 제품을 사지 않겠다’는 입장의 불매운동을 한다는 것부터가 이미 모순이 아니냐는 것. 지난 8일 일본의 반공우파매체 데일리신초(デイリー新潮)는 "한국의 일본제품 불매사이트 ‘NO NO JAPAN‘의 허술함. 냉정한 한국인도..."(韓国の日本製品不買サイト「NO NO JAPAN」のお粗末 冷静な韓国人も……) 제하 기사를 통해 한국내 일부 정파세력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의 허와 실을 짚었다. “화이트국 제외 철회 외치면서도 불매운동 시작… 모순으로 보일 수 밖에” 이날 데일리신초는 먼저 한국이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됐던 문제과
일본의 한 유력 잡지가 일본을 대하는 문재인의 이중성을 지적하고 나섰다.반일 선동에 앞장서고 있는 문재인이 실은 그간 요리, 서적 등에서 일본 문화를 즐겨온 데다가심지어그의 가족들 전원이 일본 애호 취향이 있다는 것. 지난 3일 코단샤(講談社)가 발간하는 잡지 ‘프라이데이(フライデー)’의 웹버전인 ‘프라이데이 디지털(Friday Digital)’은“‘반일 대통령’ 문재인, 의외의 일본을 좋아하는 맨얼굴과 그의 가족”(反日大統領”文在寅 意外に日本好きな素顔と家族)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게재했다. 이날 프라이데이는 문재인에 대해 “반일대통령이라는 별명이 완전히 정착해버렸다”면서 기사 서두에서 최근 문재인의 노골적인 반일 발언들을 조명했다. 프라이데이는“일본정부는 해결됐다고 인식하는 ‘징용공문제’에 관해서 한국대법원(최고재판소)이신일본제철 (현재 일본제철)에 약 1000만 엔의 배상명령을 내리자 문재인은 ‘일본은 사법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고 발언했다”고 전했다. 이어 “일본이 반도체 재료 수출관리를 강화할 조치를 취하자 문재인은 ‘일본을 용서하지 않겠다’고 서슴없이 발언했다”며 “이러한문 씨의 발언 이후 한국에서는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확대되고 일본을 방문하는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 경제, 일본에 대해 무지하며 이로 인해 한국은 ‘문재인 위기’를 겪게 될 것이라고 예견한 2년 전 일본 방송이 유튜브에서 새삼 화제다. 일본 아사히방송테레비(朝日放送テレビ)는 뉴스정보 프로그램 ‘가르쳐! 뉴스 라이브 정의의 미카타(教えて!ニュースライブ 正義のミカタ)’는 2017년 7월 22일 방송에서 한국 이슈를 다뤘다. 주제는 “극심한 혼란상태인 한반도 정세의 상황에서 북한에 대화를 요청한 문재인 대통령의 유화정책은 어떻게 될까요”였다.(한국어자막본 유튜브 해당 영상) 이날 방송에서는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전 주한일본대사가 특별 게스트로 초청돼 문재인 대통령과 정권의 정체를 설명했고, 사회자와 패널들의 질문에도 답변했다. 발언에 앞서 무토 전 대사는 “문재인 대통령은 북한과 혼자서 씨름 중 일본을 적대시하고 있다? ‘문재인 위기(文在寅 クライシス, 문재인 크라이시스)’”라고 자신의 핵심 주장을 카드에 적어 들어보였다. ‘문재인 위기’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한 것. 그러자 사회자는 “위기라는 것은 무엇을 가리키는 것입니까”라고 물었다. 무토 전 대사는 “(한국인들은) 가장 중요한 시기에 가장 위험한 대통령을 뽑았구나라고 생각한다”며
※ 본 콘텐츠는 미국의 타라 오 박사가‘동아시아 연구소(East Asia Research Center)’에 2019년 7월 12일자로공개한 보고서 ‘한국 법치의 추락 :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파트1 : 언론, 태블릿, 국민감정, 국정농단, 그리고 국회(The Fall of the Rule of Law in South Korea: The Impeachment of Park Geun-Hye, Part I: The Media, the Tablet, Public Sentiment, Gookjeong Nongdan, and the National Assembly)’를 완역한 것이다. 본 보고서는 얼마전 ‘월드트리뷴(World Tribune)’紙를 통해서도 상세한 내용이 소개된 바 있다. 본 보고서의 번역은미디어워치 황지현 외신 전문 기자가 번역을 맡았으며, 감수는 타라 오(Tara O)박사와 태블릿 진상규명단이 맡았다. 본 보고서는추후 미디어워치 차원에서 일본어판, 중국어판(특히 홍콩과 중화민국 독자를 위해), 독일어판, 불어판으로도 번역해 배포할 예정이며 소책자 출판도 계획되어 있다. ‘한국 법치의 추락 :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파트1 : 언론, 태블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전 주한일본대사가 최근 문재인 정권의 대일본 외교를 전형적인 ‘억지’ 외교라고 평가했다. 과거에는 이러한 한국의 억지가 어느 정도 통했으나 현재는 일본의 분위기가 워낙 엄중하기 때문에 이번만큼은 결코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5일, 일본의 유력지 ‘슈칸다이아몬드(週刊ダイヤモンド)’가 운영하는 오피니언 사이트 ‘다이아몬드・온라인(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은, ‘한국의 「억지」 외교, 여론을 부추기고 미국에 매달리는 전술을 전 주한대사가 대해부 (韓国 「ゴリ押し」 外交、世論を焚き付け米国にすがる戦術を元駐韓大使が大解剖)’ 제하 무토 마사토시 전 주한일본대사의 칼럼을 게재했다. (해당 기사 번역 블로그 바로가기) 한국 외교교섭의 전형적 패턴이란? 무토 전 대사는 문재인 정부의 반일여론 선동과 미국 끌어들이기, 국제사회 호소 전략을 익히 예상했다는 듯 이러한 일련의 외교 행적을 두고 ‘전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일본 정부는 2일, 수출에 대한 우대조치를 적용하는 ‘화이트 국가’ 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결정을 하였다”면서 “이에 위기감을 느꼈던 한국 정부는, 최근 수주 간, 온갖 수단을 동원하여, 이 결정을 저지하려고 하고 있었다
무토 마사토시(武藤 正敏) 전 주한일본대사가 최근 한국에서 불거진 일본 제품 불매 운동 문제를 개탄하며 관련해 “한국의 일본에 대한 대응과 중국에 대한 대응이 너무나 다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한국의 ‘중국 사대주의’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고나섰다. 5일, 일본의 유력 경제지‘재팬비즈니스프레스(日本ビジネスプレス, JBPress)’는“한국이 '중국에 순종, 일본에 공격적'인 이유(韓国が「中国には従順、日本には攻撃的」な理由)“제하 무토 마사토시 전 대사의 칼럼을 게재했다. 이번 칼럼에서 무토 마사토시 전 대사는 자신은 비록 문재인 좌익 정권에 큰 비판적 문제의식을 느끼고 있지만 이번에는 모처럼 일반 한국인들에게도 한번 쓴소리를 하고 싶다면서 중국과 비교해 일본을 차별하지 말아달라고 강하게 호소했다. “중국, 한국에 불매 운동‧동북공정‧6.25 침략‧원나라 고려 왕조 말살” 이날 무토 전 대사는 “나는 현재 일한 관계를 나쁘게 하는 것은 문재인 정권이고, 한국의 일반 사람들은 일본에 대해 결코 나쁜 감정은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전제하면서,“그러나 요즘 일본 제품 불매 운동과 반일 행동을 보면, 위화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대응과
일본 나고야(名古屋)의 ‘아이치 트리엔날레 2019’ 전시회에서의 위안부 소녀상 철거 문제로 일본 뿐만이 아니라 한국에서도 논란이 뜨겁다. 철거 문제와 관련 일본에서도 비판론이 제법 우세하기는 하지만 이 사건에서핵심은‘표현의 자유’보다는 ‘국민세금으로 운영하는 전시회의 공공성’, 곧‘정치적 전시품에 대한납세자(일본국민)의 납득’이라는 지적도 만만찮다. 5일, 겐다이비즈니스(現代ビジネス)는“위안부 동상에 대한 항의에 굴복한 아이치 트리엔날레 ‘진짜 문제’(「慰安婦像」への抗議に屈したあいちトリエンナーレ「本当の問題点」)”제하일본 대장성(大藏省) 관료 출신의 경제학자 다카하시 요이치(髙橋 洋一) 카에츠(嘉悦) 대학 교수의 칼럼을 게재했다. 다카하시 교수는 오래전부터 한국 문재인 정권의 ‘종북(從北)’속성을 경고해온 일본의 대표적인 반공우파 지식인이다. (관련기사 : 日 유칸후지, “문재인 일파는 한국을 북한에 넘기겠다는 신념 가진 친북세력”) “수출 재검토 조치는 징용공 보복이 아니라 일단 안보조치” 이날 다카하시 교수는 먼저 일본의 수출재검토 조치에 대해서부터 언급했다. 칼럼 서두에서 그는“일한 무역 전쟁이 발발했다. 일본은 8월 2일 한국을 수출 관리상의 우대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