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세계 각국의 노력이 이뤄지지 않으면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난 2000년에 비해 최고 90%까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치가 제시됐다.
또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의 평균온도 상승을 2℃이내로 막으려면 2030년까지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의 0.6%에 달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됐다.
4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태국 방콕에서 열린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제3실무그룹 회의는 이런 내용을 담은 '기후변화 완화'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IPCC의 4개 평가 보고서 가운데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와 '기후변화의 영향,적응 및 취약성'에 이어 세번째로 나온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교토의정서가 규정한 이산화탄소, 메탄, 이산화질소, 과불화탄소, 수소불화탄소, 육불화황 등 6종의 온실가스 배출이 1970년부터 2004년까지 70%나 늘어났다.
이 가운데 에너지 공급분야의 배출량 증가율이 145%로 가장 높고 이어 수송과 산업분야에서도 120%, 65%씩 배출량이 증가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되면 오는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00년에 비해 25∼90%까지 늘어나고 특히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이 기간 최저 45%에서 최고 110%까지 급증하리라는 게 IPCC의 전망이다.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이고 산업화 이전에 비해 지구 평균온도의 상승을 2℃이내로 막기위해서는 막대한 비용 지출도 불가피한 것으로 지적됐다.
IPCC는 보고서에서 여기에 드는 비용을 2030년까지 세계 각국 GDP의 평균 0.6%, 2050년까지는 1.2%로 추정했다.
지구 평균온도상승을 2℃이내로 하기 위해서는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에 비해 15∼30%가량 줄여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IPCC는 청정 에너지의 공급 확대와 배출권 거래제도 도입, 조세제도의 활용 등 다양한 정책방안을 권고했다.
아울러 기술적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에너지 효율 증진 기술을, 장기적으로는 온실가스 포집.저장기술(CCS)를 활용할 것을 각국에 권유했다.
한국은 에너지 사용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10위 국가로, 세계 배출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교토의정서상 온실가스 의무 감축국은 아니나 각국으로부터 의무부담 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2013년부터는 의무 감축에 나서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의 추진과 산업계의 온실가스 감축노력 지원정책, 청정 에너지 개발과 탄소펀드 조성 등을 통해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대응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jsking@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