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청와대 "'통합 반대' 아니라 '질서있는 통합'"

"대통령 당사수파 지칭 잘못..무원칙한 해체 반대"



청와대는 8일 대변인 정례 브리핑과 청와대 브리핑을 통해 열린우리당 통합문제에 대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입장을 밝혔다.

정무팀은 청와대브리핑에 띄운 '통합반대가 아니라 질서있는 통합'이란 글에서 "대통령은 통합을 반대하지 않는다"고 전제한 뒤 "당의 공론을 모아 질서있게 통합을 추진하자는 것이다. 단, 무책임하고 무원칙하게 당부터 해체하자는 주장에 반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역주의 문제에 대해선 "지역구도로 회귀하는 통합은 반대한다는 게 (대통령의) 개인적 소신이었지만, 뭐가 지역구도냐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니, 그마저도 당이 공론을 모아 질서있게 추진한다면 어떠한 통합이든 지지하고 수용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정무팀은 "그런 입장으로 열린우리당의 2.14 전당대회 결의와 현 지도부의 통합노력을 일관되게 지지하고 있다"며 "다수 의원들과 다를 게 없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천호선 대변인은 지역당 논란과 관련해 '호남.충청 연합도 수용한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통령의 평소 소신은 지역주의 정당으로의 복귀에 반대하는 것이지만, 당의 결정은 어떠한 것이라도 따르겠다는 것"이라고 거듭 확인했다.

천 대변인은 이 답변이 호남ㆍ충청 지역주의 연합의 통합 조차도 수용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을 우려한 듯 "당 지도부나 통합을 주도하는 당 의원들도 지역주의로 회귀하지 않겠다고 하고 있고, 통합노력이 지역주의로 회귀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를 정리하면 통합에 대한 노 대통령의 생각은 당이 정당한 절차를 통해 통합을 결정하면 그 내용이 무엇이 되든 간에 수용하겠다는 것이고, 특히 통합 논의의 주체는 당이라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노 대통령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여권 통합의 결과가 아니라 절차라는 얘기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노 대통령의 입장을 '당 사수파'의 중심에 서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시각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반박했다.

전날 열린우리당 재선의원들이 "열린우리당 사수론은 대통합 반대로 조직화될 것이며, 이는 분열에 의한 대선 참패와 총선 공멸을 초래하는 종파주의에 다름 아니다"고 밝힌 데 대해 청와대는 "만약 그 '사수론'이 대통령을 지칭한 것이라면 사실을 전혀 잘못 알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시민(柳時敏) 보건복지부 장관이 최근 "떠날 분들은 떠나라"고 발언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서도 "대통령은 그런 생각을 해본 적도 없고, 특정 정치인을 통해 그런 메시지를 전달한 적도 없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정무팀은 "문제의 핵심은 당 사수냐, 통합이냐가 아니라 질서있는 통합이냐 무원칙한 해체냐"라고 상황을 규정했다.

노 대통령이 전날 정동영(鄭東泳), 김근태(金槿泰) 두 전직 당의장을 비판한 것도 통합에 반대해서가 아니라 그들이 '무원칙한 해체'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천 대변인은 "대통령의 반대는 (통합을 위해) 먼저 당을 해체하자는 무책임한 주장에 대한 것"이라며 "지도부가 현재 열심히 통합을 위해 일하고 있는데 이를 흔드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입장은 노 대통령이 지역주의 반대라는 소신에 집착해 여권 통합에 극력 반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지만, 정, 김 전 의장을 겨냥한 측면도 있어 보인다.

"질서있는 통합을 하자"는 노 대통령의 입장은 당장 "대통령이 통합에 반대해서 당을 깰 수밖에 없다"는 두 사람의 탈당 논리와 배치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청와대가 '질서있는 통합론'을 새삼 강조하고 나선 것에 대해 일부에선 통합문제를 둘러싼 당내 전선을 '통합 對 당 사수'에서 '통합 對 해체'로 옮기는 한편 정, 김 두 전 의장을 소수인 해체파로 전락시키려는 의도로 보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동시에 노 대통령이 당내 갈등 구조에서 빠져 당분간 상황을 관망하겠다는 메시지로 보는 관측도 있다.

이날 정, 김 전 의장이 노 대통령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였지만, 노 대통령은 물론 청와대가 일절 대응하지 않은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힌다.



(서울=연합뉴스) jahn@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