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재경부 "환율 절상 계속될 이유 없다"

AMF 설립되면 외환위기 가능성 낮아질 것



허경욱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장은 9일 "수급을 따져보면 예년과 달리 원.달러 환율이 절상될 이유가 별로 없다"면서 "정부는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필요한 조치를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허 국장은 이날 K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 "현재의 환율 절상은 심리적 요인이 큰 것으로 보인다"며 이렇게 밝혔다.

허 국장은 "올해 경상수지가 거의 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되고 연초부터 해외투자를 확대하면서 자본이 굉장히 많이 해외로 나가고 있다"면서 "시장과 계속 대화하고 필요한 경우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 국장은 "국제결제은행(BIS)이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들은 실질실효환율과 관련해 원화가 너무 절상돼 있어 앞으로 절하되는 것이 경제에 맞다는 지적을 하고 있다"면서 "시장도 이런 것을 충분히 감지하고 국제수지나 수요공급의 균형 추이 등을 예의주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허 국장은 "원화 절상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하는 것은 우리 기업들의 기술수준이나 브랜드 인지도가 많이 올라간데다 선진국 시장의 수요가 아직은 왕성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국내 외환보유고가 과다하다고 지적한 것과 관련해 그는 "ADB 지적도 하나의 의견이지만 외환위기 이후 종전보다 외환보유고를 더 많이 쌓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면서 "지금 외환보유고 수준이 적정한 지는 각 국가의 특성에 따라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시아판 국제통화기금(IMF) 성격인 `아시아통화기금(AMF)`에 대해 그는 "올해 아세안(ASEAN)+3 재무장관회의에서 AMF 창설을 위한 첫 번째 단계가 취해졌다"면서 "AMF가 창설되면 아시아 지역의 외환위기 가능성이 매우 낮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허 국장은 "다만 AMF의 펀드 규모는 아직은 정확히 예상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아시아 단일통화 논의에 대해 허 국장은 "단일통화에 대한 논의도 있지만 아직은 공동연구를 해나가는 수준"이라고 답변했다.



(서울=연합뉴스) pdhis959@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