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권부총리 "2010년까지 증세 없다"

2011년 이후 별도 재원대책 추진

확정기여형 국민연금제도 검토



권오규 경제부총리는 30일 중장기 재정 건전성 유지와 관련, "2010년까지는 증세 없이 세출 구조조정, 과세기반 확대, 제도혁신으로 재원을 충당하고 2011년 이후에는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별도 재원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권 부총리는 이날 행정자치부가 주최한 수요혁신포럼에 강연자로 나서 "세계화.고령화 시대 사회투자 재정수요를 충족시키면서도 재정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렇게 밝혔다.

권 부총리는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 수명은 2005년 77.9세에서 2020년 81세로 늘어나는 등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면서 "반면 취업자 수 증가율은 2006년 0.96%에서 2020년 0.16%를 기점으로 감소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권 부총리는 "인구.저축률 감소 등에 따라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은 2010년대 4.3%에서 2020년 이후에는 2%대 이하로 둔화될 것"이라며 "노인 인구 부양을 위한 생산가능인구의 조세.사회보장비 부담이 증가하면서 세대간 갈등이 야기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령화로 인한 성장둔화에다 세계화로 국가간 조세경쟁이 펼쳐지면서 세입은 둔화되는 반면 인구고령화로 연금 등 세출은 증가할 것"이라며 "재정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부총리는 "특히 국민연금 개혁을 통한 재정안정화가 시급하다"면서 "단기적으로는 기금운용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확정기여형(DC) 연금제도, 자동안정화 장치 등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권 부총리는 "연금.의료 등 복지제도 개혁으로 재정 소요가 절감되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한 성장제고로 세입증가가 예상된다"면서 "2010년까지는 증세 없이 세출 구조조정, 과세기반 확대, 제도혁신으로 재원을 충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만 2011년 이후에는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조세로만 재원을 마련할 지, 아니면 국가채무와 조세를 혼합해 재원을 마련할 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부총리는 "세계화.고령화 진전은 우리 경제에 대한 위협이자 기회"라며 "참여정부 들어 문제해결을 위한 비전.제도기반을 마련했으며 장기적으로 이러한 종합적인 정책을 일관성있게 추진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권 부총리는 우리 경제를 둘러싼 국내외 변수와 관련해 "대내적으로는 주택가격의 급격한 하락 가능성이 있고 대외적으로는 엔캐리 자금 등 글로벌 유동성의 축소, 미국.중국 경제의 추이 등을 지켜봐야 한다"면서 "부동산.금융.외환시장에서의 쏠림현상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권 부총리는 "국제유가와 세계 경기 등 해외여건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통화나 재정정책을 탄력적으로 운영, 잠재성장률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성장하도록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pdhis959@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