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홍준표, "박근혜 이번주만 힘들 것, 대반전 온다"

검찰의 수사, 점차 이명박 측 뉴타운 특혜 의혹 쪽으로


같은 경선후보에게 이례적인 지원 발언

한나라당의 제 3의 대선후보 홍준표 의원이 전국청년연합회 출범식에서 이명박 후보가 자리를 뜬 사이 박근혜 지지자들을 향해 의미심장한 말을 던졌다.

“박 전 대표가 이번주는 굉장히 힘들 것이다. 그러나 최근 큰 파도가 덮치고 있는데 이번 주가 지나면 반전의 기회가 온다. 지지하는 분들은 이번 주만 참길 바란다"

이 말이 끝나자 박근혜 지지자들은 환호했다. 홍준표 의원이 말한 박근혜 측의 반전에 대해 정치권 관계자들은 의견이 분분했다. 같이 경선에 참여한 후보로서 상대 측 지지자들에게 지원 발언을 한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명박 측과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시점에서는 더욱 그렇다.

홍준표 의원은 모래시계 검사 출신으로서, 현재 한나라당 경선이 검찰의 수사 칼 끝에 달려있는 점을 줄곧 비판해왔다. 이명박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가 검찰에 고소를 했을 때, 역시 검사출신인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와 맹비난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홍준표 의원과 강재섭 대표는 한나라당 내에 누구보다도 검찰의 수사 생리에 대해 이해가 높은 사람들이다.

검찰이 이명박 후보의 주민등록초본 유출에 수사의 초점을 맞추자 이후보 측은 연일 박근혜 측에 공세를 펼치고 있다. 그러나 검찰 관계자들 내에서는 이것이 전형적인 검찰의 성동격서(동쪽에서 일어나 서쪽을 치는 병법)라는 말들이 많았다.

수사의 초점인 이명박 전 시장 및 인천들의 재산형성 과정과 특혜 의혹에 대해 파헤치기 전, 미리 국정원과 박근혜측에 불리한 수사결과를 발표하여, 공정성을 확보하려는 전략이 아니냐는 것이다.

노대통령 측근을 구속한 뒤, 한나라당 초토화시킨 검찰의 대선자금 수사

이러한 수사전략은 2003년 안대희 전 대검중수부장이 이끌었던 2002년 대선자금 수사에서도 드러났다. 당시 검찰은 노대통령의 측근인 안희정, 정대철, 이상수 등을 구속하면서, 공정성을 확보한 뒤, 최돈웅을 시작으로 무차별적인 한나라당 대선자금을 파헤쳤다. 이미 대통령의 측근이 구속된 마당에 한나라당 측에서는 정권의 야당 탄압이라는 말조차 꺼내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당했다. 결국 검찰의 수사에 한나라당은 아직까지도 차떼기 정당이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모든 언론이 초본 유출에 초점을 맞춰 보다하는 시기에, 유독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만 등에서는 끊임없이 검찰의 홍은프레닝 특혜 의혹수사를 중개보도 하고 있다.

경향신문은 이후보의 친형인 이상은, 처남 김재정씨가 대주주로 있는 다수의 계열사 홍은프레닝의 뉴타운개발 특혜 의혹에 대한 검찰의 수사를 상세히 보도했다.

“홍은프레닝의 토지개발사업은 처음부터 끝까지 우연으로 보기에는 힘든 각종 특혜의혹에 휩싸여 있다. 자동차 시트를 만드는 다스가 홍은프레닝을 인수한 것은 2003년. 같은해 홍은프레닝이 사들인 땅은 수개월 후 뉴타운으로 지정됐다. 그 2년 뒤엔 이곳이 서울시로부터 고밀도 개발이 가능한 균형·발전촉진지구(이하 균촉지구)로 지정됐다. 이로 인해 홍은프레닝은 현재 거의 200억원(추정)이 넘는 차익실현을 눈 앞에 두고 있다.”

특히 이후보가 서울시장 재직 시 도시계획에 참여했던 인사의 멘트를 빌려 “매입토지가 뉴타운 안에 들어가 있었다면 개발차익은 반으로 줄어들었을 것”이라며 “하지만 고밀도 개발이 가능한 뉴타운 바로 옆 인접지역을 정확하게 골라 토지를 매입한 것은 누가 사전에 개발정보를 흘려줘 이뤄진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또한 검찰이 홍은프레닝 대표이사, 강동구청과 서울시청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를 마쳤다는 내용도 보도했다.

홍은프레닝 뉴타운 특혜의혹은 공소시효 끝나지 않아

이와 별도로 한겨레신문에서는 검찰소환에 응한 김재정씨와 달리 이후보 측의 친형인 이상은씨가 검찰소환에 불응하고 있다는 팩트를 전하기도 했다. 검찰의 움직임이 초본 유출 수사에서 홍은프레닝 특혜 의혹 및, 이후보 친인척의 자금 흐름 쪽으로 급격히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홍은프레닝의 특혜 의혹은 2003년도의 사건이므로 아직 공소시효가 지나지 않았다. 도곡동 땅의 실소유자 논란이나, 포스코 매입의 적절성 의혹과는 달리 이는 현재로서도 관련자들을 형사처벌할 수 있는 사안이다.

지금까지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이 보도하는 검찰수사의 내용으로 보면, 이후보 측이 특혜의혹에 대해 명확히 해명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이미 국정원과 박근혜 측이 타격을 입은 마당에 김재정씨가 이제와서 고소를 취하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이상은씨 역시 마냥 검찰 소환에 불응하기란 부담이다. 더구나 검찰의 수사범위가 너무 넓어, 앞으로 대체 어느 쪽을 수사할지 예측조차 할 수 없다. 검찰의 수사가 이명박 측을 정면으로 겨누더라더, 야당후보 탄압이라고 말할 처지도 아니다.

그야말로 강재섭 대표와 홍준표 의원의 우려대로, 한나라당의 경선이 검찰의 수사 도마 위에서 그 운명이 결정지어질 판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