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의 수사가 초본유출에서 급격히 이명박 후보의 친형 이상은씨와 처남 김재정씨의 소유의 다스의 계열사 홍은프레닝 뉴타운개발 특혜 의혹으로 넘어가자, 언론들도 일제히 보도방향을 바꾸고 있다.
한겨레신문은 무려 4꼭지의 기사를 할애하여, 홍은프레닝 관련 의혹을 집중제기하고 있고, 한국일보, 세계일보는 검찰 수사과정을 보도하고 있다. 특히 그간 이명박 후보에 유리한 보도로 일관했던 동아일보조차도 관련 소식을 전했다. 다만 조선일보는 도곡동 땅 매입과정에 관한 기사로만 처리했다.
한겨레신문은 관련자들을 집중취재하며 균촉지구 지정 과정에 대한 의혹을 잇따라 제기하고 있다.
강동구청 도시관리국장의 말을 인용하여 “천호역 주변은 이미 백화점 등 고층건물이 들어서는 등 자생적으로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해 신청 대상에서 빠졌고,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진 길동사거리를 균형발전 촉진지구로 신청했다”고 전한 뒤, 결국 서울시는 애초의 계획을 번복하여 길동사거리를 제외하고, 홍은프레닝의 땅이 있는 천호역 주변만 지정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홍은프레닝이 주상복합건물을 짓기 위해 낸 지구단위변경계획신청이 단 20일 만에 초고속으로 승인된 점도 또 다른 의혹거리이다. 강동구청은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가 열리기 하루 전에 안건을 올려, 회의 소집 닷새전까지 안간을 올려야 한다는 시 조례를 어겼다는 것이다.
이러한 서울시의 특혜 의혹 속에 홍은프레닝의 땅값은 공시지가로 두배 가까이 올랐으며, 이 땅에 주상복합건물을 지은 이수건설로부터 150억원의 이익금을 받기로 확정되어있다.
검찰과 언론의 이러한 집중 의혹제기에 대해 이명박 측은 “이 전 시장과 전혀 관계가 없는 일이다”라며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특히 홍은프레닝의 땅이 뉴타운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이후보의 특혜가 아니라는 기존의 주장에 대해, 오히려 뉴타운지역 외곽의 균촉 지구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더 많은 이익을 냈다는 새로운 문제제기가 되고 있음에도, 해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다스의 김용철 변호사는 한국일보에 “그야말로 우연의 일치이다. 개발된다는 말은 있었지만, 뉴타운 균촉지구로 지정될 줄은 전혀 몰랐다”고 해명해, 박근혜 측의 반발을 사고 있다.
박근혜의 측의 관계자는 “김재정씨가 사들은 전국 47곳의 땅은 매입하자마자 개발이 되었다. 이번 천호동 땅도 김재정씨가 사들이니까 우연히 이명박 후보가 균촉지구로 지정했다는 말이냐”며 “검찰수사가 더 진행되면 결국 실토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뉴타운 특혜 건은 도곡동 땅이나 BBK와 달리 이명박 후보의 서울시장 재직 중의 일이고, 공소시효가 끝나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수사 결과에 따라 경선 판도가 완전히 흔들릴 만한 사안이라 더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