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포럼서 주장



(서울=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자신의 홈페이지에 대운하 비판 글을 올려 교수 사회의 대운하 반대론에 불을 지핀 이준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28일 경제학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대운하 사업은 타당성이 없다고 역설했다.

이 교수는 이날 서울대 행정대학원에서 열린 포럼에 앞서 공개한 발제문에서 "우리 경제가 안고 있는 여러 현안 중 물류량 증가에 대한 대비는 우선 순위가 결코 높지 않다"며 "물류량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대운하를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시간이라는 요소가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현대 물류 체계에서 내륙 운하를 통한 운송은 비효율적인 수단"이라며 "기회비용이나 친환경성 측면에서도 철도나 연안 해운이 운하보다 효율적"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운하사업의 비용에 대해 "환경 파괴와 상수원 개발 비용, 홍수 피해 가능성, 운하에서의 사고 발생 비용 등 모든 위험을 비용으로 계상하면 편익이 비용의 2.3배가 될 수 없다"며 "한반도대운하연구회의 경제성 평가는 왜곡 평가의 대표적 사례"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운하를 반대하려면 대안을 내놓으라는 일부의 주장에 대해 "현상(status quo)을 허물려고 하는 사람들이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할 책임이 있다는 점에서 이는 부당한 요구"라고 덧붙였다.

토론자로 나선 권오상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대운하 사업에 대해 경제학적 논리를 적용하려면 기회비용을 고려할 때 산업 파급 효과는 다른 종류의 지역 개발사업 효과와 상대적 비교를 해야 하고 물류개선 효과는 도로나 철도, 항만 등을 개선했을 때와 비교해야 하는데 이에 대한 검토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sewonlee@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