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남북정상회담 원본 대화록 실종 파문이 정치권을 강타하고 있는 가운데 자유언론인협회 양영태 회장이 18일 채널A에 출연해 “여러 정황상 보수정권 탄생에 부담을 느낀 노무현 정부에 책임이 있는 것 같다”는 분석을 내놨다.
양 회장은 이날 방송에서 “민주당 측이 ‘MB정부가 없앴다’고 의혹을 제기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다. 이걸 파기함으로써 MB정부에 아무런 이득이 없기 때문”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양 회장은 개인적인 판단이라는 전제하에 “노무현 정부가 상당히 친북적인 성향을 보이면서 좌우 대립이 심하던 가운데 보수정권이 탄생했다. 아무래도 정치적 부담을 느끼고 불리한 것을 파기해야겠다는 유혹에서 벗어나기 힘들었을 것”이라며 “노 대통령 측이 청와대를 떠나면서 이지원 시스템을 봉화 마을로 가져갔다. 개인 사저로 가져가선 안 되는 것인데도 국가 기밀을 포함해 모든 기록이 담긴 기록물을 가져가 6개월 동안이나 보관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시 말해 정상회담 대화록이 담긴 서버까지 전부 가져간 것인데, 나중에 청와대에서 반환 요구를 했고, 국민도 빨리 반환하라는 비판이 많았다. 검찰도 당시 수사 의지를 내비치기까지 했다”면서 “그러자 노 대통령 측이 기록원에 반환을 하긴 했는데, 정확히 말해 반환이라기보다 보관했다가 돌려보낸 형식이었다. 이런 여러 정황을 볼 때 불리한 부분들을 많이 삭제하지 않았겠느냐, 그렇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함께 출연한 유용화 시사평론가는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는 참여정부 때 넘긴 자료가 네 가지 범주로 보관돼 있다고 하는데, 현재 국가기록원 시스템과는 다른 방식으로 관리돼 있는 등 복잡한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단 다시 한 번 찾아보기로 한 22일까지 기다려보는 것이 합리적인 수순인 것 같다”는 의견을 밝혔다.
함께 출연한 동아일보 류병수 기자는 대화록에 별도의 표시를 했기 때문에 찾지 못하는 것 일수 있다는 민주당 측의 주장에 대해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류 기자는 “모 여당 의원이 말하길 국가기록원에 노무현 정부 시절 최고 등급의 비밀 기록물이 단 한 건이 있는데, 대화록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게 어떤 기록물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만큼 검색에서 다양한 방법이 동원됐다고 보이기 때문에, 민주당이 말하는 검색의 차이라 별도 표시 그런 부분은 설득력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면서 “또 하나, 지금까지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 정상회담을 딱 두 번 했고, 그 기록물을 딱 두 건을 정리했는데 별도 표시를 해서 못 찾는다는 부분은 이해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유 평론가는 국정원에도 대화록을 보냈는데 기록원에 못 보낼 이유가 없다는 노 전 대통령측 주장에 대해 “그래서 민주당 측에서 나온 얘기가 ‘이명박 정권이 조직적으로 음모적으로 정치 공작을 하기 위해서 국가기록원에 있는 NLL 대화록을 없애버린 것 아니냐’인데 추론이다”라며 “또 한편으론 이명박 정부 때 그것을 했어야 할 만큼 NLL 부분이 그렇게 폭발적이고 대단한 것이냐, 상식적으로 그것도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만일 했다고 하면 로그 기록이 남아 있다는 것인데, 그래서 이번 일은 있을 수 없는 일 중에 하나”라며 “그래서 제가 말할 수 있는 것은 NLL이 꼭 유령 같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여당한테 유리하고 어떨 때는 야당한테 유리하고 그러다 뒤져 보자니깐 또 없고, 물론 22일 또 뒤져 본다지만 이게 왜 이지경까지 갔는지 모르겠다”고 황당하다는 소감을 밝혔다.
양영태 “결국 국정원 보관 대화록과 녹음테이프가 원본”
양 회장은 노 대통령 측이 밝힌 기록물 8백 24만 건과 실제 국가기록원이 국회운영위에 보고한 노 정부 기록물 7백 55만 건 사이에 약 70만 건이 빈다는 의혹에 대해 질문받자 “이 숫자를 가지고 몇 십만 건을 없앴다, 아니다의 문제는 논외로 해야 할 것 같다”면서 “다만 NLL 문제는 남북이 대치하는 상황에서 아군 장수가 적장을 만나 소위 비밀리 흥정을 하고 NLL 포기약속을 했다? 만약이라는 단서를 붙여 이것은 ‘반역이다 아니다’라는 개념 선상에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공방을 벌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화록은 노 대통령 심복인 김만복 씨 휘하에 있는 분이 그 당시 청와대 통일 비서관에게 녹음기를 건네 녹음을 부탁해 취한 것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나는 청와대, 또 하나는 국정원에 보관하고 녹음테이프도 보관됐다. 결국 국정원에 원본이 다 보관돼 있는 것”이라며 “대한민국 국방부 장관과 국정원장이 벌써 NLL 포기 발언이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심적 그 이상의 무엇이 있다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라고 국정원 보관 대화록과 녹음테이프로서 NLL 포기 진위 여부를 판가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양 회장은 22일 여야 의원들이 국가기록원 기록물을 찾지 못할 경우 “노 대통령 측이 서버를 가져가 보관했던 반년동안 기록물을 파기를 했다는 주장에 설득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마지막으로 양 회장은 국가기록원 대화록 실종 파문으로 또 다른 국면으로 형성된 NLL 대치 전선을 어떻게 풀어야하느냐는 질문에 “국민이 국가 안보에 대해 각성하고 애국심을 고취하는 통합적인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