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조 KBS 본부(본부노조)가 미디어오늘과의 인터뷰에서 현 KBS 정치뉴스에 대해 “ DJ·노무현 때도 여권편향은 있었지만 지금처럼 이 정도는 아니었다.”고 비판했다.
KBS본부노조 최문호 공방위 간사는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저널리즘 윤리가 무너지고 여론조작 논란까지 불거질 정도는 아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간사는 “지금 KBS뉴스를 여론조작이라고까지 할 수는 없지만 한쪽 방향으로 이슈를 몰아가는 건 분명하다. 과거에는 이렇게 심하진 않았다”면서 “그래서 DJ정부 이전으로 KBS뉴스가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실상 지금 KBS뉴스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들어보면, DJ정부 이전 KBS뉴스를 비판하는 목소리와 거의 비슷하다.”며 “뉴스가 항상 가운데 있을 수는 없다. 만약 그렇다면 그건 관제방송이다. 뉴스는 평균을 놓고 봤을 때 편차를 왔다 갔다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상적인 뉴스를 제작하다보면 때로는 여권에 편향돼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야권에 편향돼 보이기도 한다”며 “그런데 KBS는 여권 쪽으로 지속적으로 편향이 이뤄지고 있고, 편향의 평균이 여권 쪽으로 가 있는 게 문제”라고 주장했다.
최 간사는 KBS 보도가 편파적인 이유가 간부 개개인의 성향 때문이 아니냐는 질문에 “우리가 처해 있는 구조의 문제도 있고 개인의 문제도 있다”며 “KBS뉴스가 이렇게 망가지는 결과를 보면 분명 보도국 간부들의 개인적 성향이 강하게 투영되는 부분이 있다. 그리고 일선기자들의 얘기가 설득이 되지 않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다. 양측(기자와 간부)이 그런 설득의 과정을 견디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 그런 점은 개인적으로 답답하다.”고 답했다.
최 간사는 KBS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정치적 독립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길을 걸어왔을 때 항상 공정성 이름으로 문제가 제기된 건, 정치적 독립성 문제였다. 공정방송 투쟁이라고 하면 추상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정치적 독립은 좀 다른 문제”라며 “개인적으로 KBS 뉴스의 가장 큰 문제는 정치적 독립이라고 본다. 우리가 성명을 내거나 모니터 보고서를 쓰거나 하는 행동의 대부분이 KBS의 정치적 독립성과 결부돼 있다. 그래서 나는 공정방송투쟁이라고 얘기하지 말고, 정치적 독립이라고 얘기하자고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사측에 제안하는 여러 장치들, 이를 테면 국장평가제가 직선제, 임명동의제 등도 모두 KBS의 정치적 독립을 이루기 위한 장치들”이라고 덧붙였다.
공언련 이동훈 실장 “폐해가 많아 MBC에서도 없앤 걸...KBS, 과거로 돌아가자는 건가”
하지만 KBS 이사를 역임한 황근 선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최근 폴리뷰와의 인터뷰에서 공정보도를 이유로 노조와 좌파진영이 국장직선제 등을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 “노조와 야당이 KBS를 장악하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황 교수는 또 “특히 언론노조 KBS지부(KBS 본부노조)의 경우, 정치적 성향이 매우 강하다. 파업 때 경험했듯 야당과 재야단체와 연대해서 실질적으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정치적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지 않다”면서 “그런 가운데 노조와 인사 문제를 협의한다는 것은 공정과 거리가 멀다. 보도의 공정성을 기하기는커녕 보도 기능이 약화되거나 정치적 장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즉, 국장평가제가 직선제, 임명동의제 등이 KBS의 정치적 독립을 이루기 위한 장치들이라는 최 간사 주장과 달리 오히려 KBS의 공정보도를 약화시키고 정치투쟁의 장으로 만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KBS본부노조 측 주장에 대해 김진철 한국정책홍보진흥회장(전 방송개혁시민연대 정책기획 위원장)은 “명확한 팩트를 적시해서 무엇이 편향적이라고 말해야 하는데 아무것도 제시하지 않고 그저 편향적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단순한 진영논리에 불과하다”며 “어느 시청자 국민이 그 주장을 납득하겠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회장은 “인사권은 사장의 고유권한”이라며 “노동법에는 노조가 인사권을 침해할 수 없고 경영에도 간섭하지 못하게 돼 있다. 국장을 노조가 뽑겠다면 그 주장을 하기 전에 관련법부터 고쳐야 할 것”이라고 힐난했다.
공정언론시민연대 이동훈 정책실장은 “국장직선제는 MBC 에서도 그 폐해가 드러나 규정이 폐지된 것으로 안다. 문제가 많아 없앤 걸 KBS가 다시 하자는 것”이라며 또한 “일부 언론이 편파적이라고 보도하지만, 무엇이 편파적인지 정확히 꼽지 않고 막연히 편파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그 자체로 정치적 공세에 불과하다”고 꼬집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