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책 자유경제원 원장이 채동욱 검찰총장 논란과 관련해 사태의 핵심이 ‘도덕성 문제’라고 밝혔다.
전 원장은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정권의 입맛에 맞지 않는 수사를 한 검찰총장을 흔들기 위해 청와대가 나선 것 아니냐는 의혹에 대해 “누구의 지시가 있었느냐는 일단 혼외 자식 의혹부터 밝혀 낸 후 그 다음에 따져볼 문제”라면서 “따라서 법무부 장관이 총장 감찰을 지시한 것은 원칙적으로 당연하고,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일축했다.
전 원장은 혼외 자식 문제가 개인의 사생활 영역이라는 의견에는 “축첩은 사생활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중살림을 했다는 건데 과연 검찰총장의 월급으로 그것이 가능했겠느냐”면서 “내연녀가 운영하는 술집에 거의 매일같이 드나들었다는데, 이는 수사기관의 수장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 “만약 조사 결과 혼외 자녀가 사실로 드러날 경우 위증을 한 것은 더욱 용서받지 못할 것”이라며 “클린턴이 르윈스키 사건으로 욕을 먹은 건 단순히 바람을 피워서가 아니라 위증을 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전 원장은 학적기록부나 혈액형 등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 대해 “아동인권 침해라고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프로그램을 보니까 학적부도 다 보여주더라”면서 “아들을 위해서라도 친자관계는 확실히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좌파진영을 비롯한 일각에서 조선일보 보도가 언론의 정도를 벗어났다는 비판에 대해서는 “내가 언론사 편집국장이라도 이런 대단한 특종이 있는데 보도하지 않기는 힘들었을 것”이라면서 “다만 의혹제기 수준이 아니라 혼외 아들이 있다고 기정사실화한 제목은 과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윤평중 한신대 교수는 이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좌파진영 일각에서 ‘아동인권’과 ‘사생활 보호’를 이유로 채 총장 혼외 자식 문제의 본질을 흩트리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 교수는 “학적기록부, 혈액형 등의 정보가 새어나간 것이 ‘아동인권 침해’라는 주장은 형식논리로는 말이 된다”면서도 “하지만 그 부분만 강조한다면 채 총장 부인과 딸의 인권은 어떻게 되나. 임모 여인과 아동의 인권만 강조하는 것은 이번 사태에 대한 물타기”라고 비판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