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야당 의원들이 공영방송사에 개인의 뒷조사에 해당되는 자료를 요구해 언론탄압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그러나 야당 측은 “정당한 자료 요구”라며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고, 이에 반해 새누리당은 “야당 의원들이 개인 뒷조사에 가까운 자료 요구로 언론 길들이기에 나섰다”고 비판했다.
논란을 야기한 건 야당 의원들이 지난 2일 KBS·MBC에 보낸 자료 요구서 때문이다. 이 자료 요구서에는 공영방송사 사장을 포함해 본부장과 부장급 인사의 유·무선 전화 통화 내역을 제출하라는 내용, 사장의 법인카드 사용 내역 등이 담겼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야당이 요구한 자료는 △안광한 사장, 김진숙 보도본부장, 김장겸 보도국장, 박상후 전국부장의 유무선 전화 통화기록과 법인카드 사용내역 일체·차량 사용 내역 일체, △박상후 부장의 ‘일베’ 접속 로그인 기록, △5월 1일 이후 <뉴스데스크> 큐시트(오전시트·오후 5시 경큐시트·실제 방송된 큐시트), △세월호 관련 취재기자의 보고 내용, △데스크 수정을 거치기 전 최초 리포트 일체(4월 16일~4월 30일), △안광한 사장·이진숙 보도본부장·김장겸 보도국장에 보고된 문서 및 참석한 회의 자료 일체(4월 16일 이후) 등이다.
이 같은 대목은 마치 범죄 혐의자에 대한 검찰 수사를 연상시킬 정도로 황당한 대목이다.
이에 대해 윤상현 새누리당 사무총장은 10일 국회에서 열린 세월호 국정조사 특위 회의에서 "야당의 국정조사 요구 자료 목록 중에는 시시콜콜한 개인 정보부터 정치 공세용 자료까지 도무지 세월호 침몰사고 진상 규명과 관계없는 것이 뒤섞여 있다"며 "세월호 국정조사마저 정략적 목적에 따라 뒤틀리고 표류할 우려가 상당하다"고 비판했다.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이것이 세월호 사건과 무슨 관계가 있느냐”며 “야당의 요구가 세월호 참사와는 관계없이 정치적·정략적 목적에서 시작된 것으로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장우 원내대변인도 "거대 야당이 힘을 내세워 언론을 탄압하고, 재갈을 물리려고 무차별적 자료 요구를 해 언론을 길들이려는 게 아니냐"고 말했다.
그러나 야당 간사인 김현미 의원은 "세월호 참사에서 언론의 오보가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철저히 조사하자는 것"이라며, 오히려 "저희가 자료 요구한 것을 어떻게 새누리당 의원들이 알았는지 놀랍다"고 발끈했다.
한편, 평소 언론자유와 방송독립을 외치던 언론노조 기관지 미디어오늘과 미디어스 등은 야당의 이 같은 무리한 요구에 대해 여야 공방으로 다뤘을 뿐 비판하는 기사를 일체 내지 않았다.
자유언론인협회 박한명 사무총장은 “언론노조 기관지의 극명한 이중성을 이번에 또 그대로 보여주고 말았다”면서 “야당이나 언론노조, 그들의 기관지 매체들이 남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식 언론자유를 주장하는 이상 대다수 국민의 공감과 지지를 받기는 힘들 것”이라고 꼬집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