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식 시흥시장에게 제기된 6.4지방선거 관련 불법선거운동과 공직자 상대 각종 비리 의혹 등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의혹제기 2달여가 지난 지금까지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어 ‘봐주기 수사’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미 시흥 경찰서 측은 지난 4월 시흥시 A부서가 발주한 수의계약 비위첩보를 입수하고 수사에 들어가 수의계약 일부가 부정하게 진행된 것을 확인했으며, 1천만 원이 넘는 계약의 경우 공개입찰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시흥시 수의계약 관련 조례에 위배된 또 다른 불법하도급 행위도 추가로 확인한 바 있다.
또한 경찰은 6.4지방선거 불법선거운동과 관련하여 일부 혐의를 입증했으나 이에 대한 결과물도 “수사할 것이 너무 많아 현재까지 사건을 종결짓지 못했다”는 말로 차일피일 미루고 있는 형국이다.
공직자 등 사회 특정분야 종사자의 경우 경찰 관행상 일부 혐의가 입증되면 법정구속 상태에서 여죄를 수사하는 것이 일반적인 수사방식임에도 현재 관련 공직자들은 불기소 상태로 지역사회에서는 이에 대해 ‘봐주기 수사’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것.
이에 대해 시흥경찰서 측은 “물론 밖에서 보면 왜 이렇게 수사가 지연되나 할지 모르지만 계좌라는 게 경찰, 검찰, 법원, 은행 등을 거치며 이뤄지는 일이기에 시간적인 부분에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계좌를 일부 제출 받았으나 제출 받은 것으로 되는 일이 아니기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미 영장이 발부되어있고 계좌 부분에 대한 추가 수사가 이뤄지고 있는 상태”라며 “계좌 수사 결과에 대해서 어차피 검찰이 기소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검찰 측과 협의도 필요한 부분”이라 말했다.
수사 결과 발표 시기에 대해서도 경찰은 “선거와 관련된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늦어도 7월달 안에는 수사 결과를 내놓을 방침”이라며 “결국 원칙에 따른 수사 결과가 나올 것”이라 덧붙였다.
한편 시흥시청 앞에서는 지난 7일부터 시흥시 장애인단체총연합회 김민수 회장의 1인 시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서울대 유치 문제, 최 모 도의원 자녀의 산업진흥원 4급 공채 취업, 김 모 비서실장 조카 시흥시청 무기계약직 채용, 대형부동산 준주거지역 용도변경 특혜, 모 단체에서 막말 여부 등’ 의혹에 대한 즉각적인 사과와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소훈영 기자 firewinezero@gmail.com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