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백운산에 국립공원을 추진한다는 단체가 최근 서울대 광양 남부 학술림 앞에서 집회를 하면서 서울대 광양캠퍼스 유치활동에 대해 “근거 없는 유언비어 ”라며 비난했다고 한다.
최근 서울대 광양 남부학술림 앞 집회에 참석한 관계자에 따르면, 이들은 筆者를 포함한 광양지역의 뜻 있는 인사들이 추진하는 서울대 광양캠퍼스 유치활동에 대해 백운산 국립공원 추진을 가로막는 행위로 규정하며 온갖 악담을 늘어놓았다는 것.
이들이 여지껏 허위선동도 모자라 이제는 정상적인 유치활동마저 유언비어 운운하며 매도하고 나선 것이다.
물론 백운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는 이들의 모든 활동이 광양시민과 전라도민을 기만하는 행위로 판명 나는데는 그리 길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하지만 서울대 광양캠퍼스 유치와 관련해 이들의 이런 허위 비방 언동(言動)에 대해선 이 기회에 분명하게 시비(是非)를 가려야 한다.
왜냐하면 이들은 지난 2011년 9월 서울대가 광양시에 제안한 서울대 남부학술림 캠퍼스, 이른바 ‘서울대 광양캠퍼스’ 설립 제안을 검토조차 하지 않고 무조건 거부했기 때문이다.
"서울대가 지리산·백운산 일대 남부학술림의 무상양도를 반대하는 구례·광양 주민을 설득하기 위해 학술림 인근에 교육·연구 기능을 갖춘 캠퍼스 건립을 제안했다.
이학래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학장은 "학교 대표단이 26일 구례와 광양을 찾아가 주민 대표들에게 '서울대 남부학술림캠퍼스'를 건립하는 방안을 설명했다"고 27일 밝혔다.
서울대는 남부학술림캠퍼스를 건립해 서울대생들의 리더십 양성 교육과 지역 학생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또 인근 남부학술림과 연계해 산림환경과 생태 분야의 국제적인 연구 중심 캠퍼스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도 내놓았다.
그러나 구례·광양 주민 대표는 이같은 제안에도 여전히 남부학술림의 서울대 무상양도를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고 서울대 측은 전했다.
구례·광양 주민들은 20일과 23일 각각 상경해 서울대 정문에서 집회를 열고 "서울대는 백운산과 지리산 무상양도 요구를 포기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서울대가 ‘남부학술림’ 무상양도에 반대하는 전남 구례·광양 지역 주민들을 설득하기 위해 교육·연구기능을 갖춘 캠퍼스를 남부학술림 인근에 건립해 지방자치단체와 공동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서울대 쪽의 제안을 일단 거부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26일 “이승종 부총장 등 협상단이 구례·광양 지역 주민들과 26일 처음 만나, 지리산과 백운산에 걸쳐 있는 남부학술림 인근에 교육·연구기관인 ‘남부학술림캠퍼스’를 만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며 “갈등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면 지역 주민들의 생각도 변화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지난 5월부터 구례·광양 지역 주민들이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될 서울대에 국유재산인 남부학술림을 무상양도하는 데 강력히 반대하고 나서자, 서울대가 지역 주민들과의 협상카드로 남부학술림캠퍼스 안을 내놓은 것이다. 서울대는 남부학술림캠퍼스를 지역대학과 협력 운영해 산림환경과 생태 분야의 국제적인 연구 중심 캠퍼스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하지만 지역 주민들은 이날 첫 협상 테이블에서 남부학술림 무상양도에 반대한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다. 앞서 지난 20일과 23일 구례·광양 지역 주민들은 서울대 정문 앞에서 집회를 열어 “목포시 면적의 3배가 넘는 귀중한 산림자원을 대학법인에 넘겨 사유화시키려는 것은 국가재산 관리에 구멍이 뚫렸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서울대는 백운산과 지리산 무상양도 요구를 포기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위 기사에서 보았듯이, 서울대는 이미 지난 2011년 9월 26일 광양시를 방문, 서울대 광양 캠퍼스 설립을 제안한 사실이 있고 이는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 그 이후 심지어 청와대도 서울대의 이런 방침에 찬성취지로 입장을 밝힌 바 있다.(사진下)
당시 서울대가 지역과 상생하겠다는 차원에서 제안안 서울대 광양캠퍼스 제안을 일방적으로 거부한 것은 ‘백운산지키기’ 라는 단체다. 그리고 이 단체의 후신(後身)이 지금의 백운산 국립공원 추진 단체다.
筆者는 당시 이들이 서울대와 무모한 싸움을 벌이는 대신 서울대 광양캠퍼스 제안을 수용해 서울대와 광양시가 상생할 것을 권유하며 서울대 광양캠퍼스 유치 타당성에 관한 글을 누차 쓴 바 있다.
하지만 광양시는 서울대와 이런 상생방안을 강구하는 대신, 2012년 여수엑스포 기간에 맞춰 무려 100억이 넘는 혈세를 쏟아부어가며 생면부지(生面不知)의 국제서커스를 추진했고, 그 결과는 참혹하게 나타나고 있다. 사라진 혈세의 행방과 책임을 놓고 광양시와 서커스 주관회사가 벌이는 법적공방은 차라리 쇼에 가깝다.
한마디로, 애향(愛鄕)을 빙자한 토착좌파 시민단체의 선동에 휘둘린 포퓰리즘 행정의 표본인 것이다.
문제는 筆者의 이런 제안조차도 왜곡하며 비방하던 자들이 이제와서 筆者의 유치 활동에 대해 자기반성은 커녕 ‘유언비어’ 운운하며 시비를 거는 것.
이런 적반하장(賊反荷杖) 행위야말로 언어도단(言語道斷)이자, 몰염치(沒廉恥)의 극치이지만, 결론적으로, ‘백운산 국립공원 추진위’라는 단체가 지금껏 광양 백운산에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한답시고 광양시민과 전라도민을 기만한 대가에 대해선 법적·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이들 선동세력에 부화뇌동한 광양시 역시, 그 책임을 면치 못하기는 마찬가지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