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국내외 역사전문가들, “‘위안부 학살’은 신빙성 낮다”

이우연 연구위원, 박유하 교수, 아사노 토요미 교수 ... “‘위안부 학살’은 신빙성 낮다”

국내외 역사전문가들이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을 비판하고 나섰다.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신빙성이 의심되는 자료를 일본군에 의한 조선인 위안부 학살 근거라며 제시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27일, 정진성 서울대 교수와 강성현 성공회대 교수를 위시한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은 서울시청에서 열린 한·중·일 ‘일본군 ‘위안부’ 국제 콘퍼런스‘에서 일본군에 의한 조선인 위안부 학살의 근거라며 ’사상 최초‘라는 타이틀로 한 영상자료를 공개했다.  

이 영상자료에는 흙구덩이에 옷이 벗겨진 여성 시신 6구가 뒤엉켜 있었으며, 이를 수습하러 온 듯한 중국 국민당군이 시신에서 양말로 보이는 옷가지를 벗기는 장면이 나온다. 누가 봐도 끔찍한 장면임에는 틀림이 없다.

하지만 영상자료를 확인한 국내외 역사전문가들은 해당 자료가 과연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학살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 의구심을 표명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 언론들도 마찬가지 입장이다.(관련기사 : 日 유칸후지, 한국 반일좌파가 공개한 ‘위안부 학살 영상’ 반박 칼럼 게재)

국내외 역사전문가들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자료가 더구나 ‘조선인’ 위안부에 관한 것이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인지, 실질적인 의미에서의 ’사상 최초‘로 공개된 자료라고 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도 의구심을 표명하고 있다. 



이우연 위원 , “위안부 학살? 논리적 비약임에도 언론이 그냥 받아 썼다”

일제하 징용노동 문제와 관련 우리 한국의 역사왜곡 문제를 비판해온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우연 연구위원이 가장 먼저 포문을 열었다.

2월 28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이우연 위원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위안부 학살’을 주장하는 논거가 무엇인지부터 서두에서 짚었다.

관련 보도를 찾아 약 90분간 읽었다. 그로부터 내가 알게 된 사실은 다음.

1. 6명의 시신을 찍은 19초의 동영상이 미국국가기록원(NARA)에 소장되어 있다.

2. 미중 연합군은 1944년 9월 14일에 텅충을 점령하였고, 미군이 15일에 작성한 보고서에는 함락 하루 전 "13일 밤, 그 도시에서 일본군은 한국 여성 30명을 총살했다(Night of the 13th the Japs shot 30 Korean girls in the city)는 기록이 있다.

3. 텅충 점령과 함께 포로가 된 사람 속에는 조선인 위안부 23명이 있었다.

강성현`정진성 교수는 이 세 가지 사실을 한 데 묶어 '당시 텅충에는 일본군에 의해 끌려온 조선인 위안부가 7~80여 명 있었는데, 일본군은 옥쇄를 명령하였다. 이에 불응한 30여명은 학살되었고, 23명이 살아남아 포로가 되었다'고 한 모양이다.


이우연 위원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제시한 근거들은 애초 단일한 자료들로부터 나온 것도 아니며 어떤 역사적 사건을 보여줄 수도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학자로서 일단 품을 수 밖에 없는 다음 세 가지 의문사항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이번에 나온 ‘위안부 학살’ 주장은) 강성현`정진성 교수가 상상력을 과도하게 발휘, 엮어 만든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의문사항은 첫째, 미군 보고서에 나온 “13일 밤, 그 도시에서 일본군은 한국 여성 30명을 총살했다(Night of the 13th the Japs shot 30 Korean girls in the city)”라는 기록이 조선인 위안부 포로의 심문 결과인지, 목격자 증언인지, 풍문인지를 알 수가 없다는 것이다. 점령 다음날 작성된 문서이므로 체계적인 포로 심문의 결과는 아닐 텐데, ‘학살’이 사실이라면 미군이 적군(일본군)의 전쟁범죄 문제에 대해 전면적 조사를 하지 않은 이유도 의심스럽다. 말하자면 ‘한국(조선인) 여성 30명 총살’은 일단은 설(設)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둘째, 문제의 19초 영상 자료에 나오는 6명의 희생자들이 미군 보고서에서 언급된, 총살됐다고 하는 한국(조선인) 여성 30명의 일부인지 그 연결고리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컨대, 19초 영상 자료에 나오는 희생자들은 전투 중에 발생한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들일 수도 있고, 군기가 서지 못한 중국군에 의한 희생자들일 수도 있다.

셋째, 포로가 된 ‘조선인 위안부 23명’이, 미군 보고서가 거론한 그 ‘총살’(학살)을 면하고 살아남은 이들이라는 근거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한국(조선인) 여성 30명 총살’ 설(說)과 ‘23명의 조선인 위안부 포로’라는 사실은 그 자체로 서로 무관하며, 전자는 진위를 밝혀야할 설(設)인 반면 후자는 별 새로울 것이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둘째의 19초 영상자료와 셋째의 ‘조선인 위안부 23명 포로’는, 첫째의 미군 보고서에서 언급된 ‘한국(조선인) 여성 30명 총살’을 입증할 수가 없는 근거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은 ‘조선인 위안부 학살’을 말하며 논리적 비약을 하고 언론들도 문제의식없이 이를 받아썼다는 것이 이 위원의 비판 요지다.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선구적 연구를 무시했던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

이우연 위원은 3월 1일에 페이스북에 재차 올린 글을 통해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위안부 학살’ 주장의 문제점을 계속해서 비판했다.

이 위원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제시한 영상자료의 내용과 관련, 아사노 토요미(浅野豊美) 와세다(早稲田) 대학 교수가 이미 20여 년 전에 동일한 자료, 소재를 다뤄서 선구적으로 논문까지 쓴 바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은 일본 아사노 토요미 교수가 강성현 교수 연구팀의 발표 사실을 듣고서 3월 1일에 페이스북에 밝힌 의견을 페이스북에 공유했다.

이 사진은, 산(山)사면이고 더구나 매장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학살이 아니라 폭격으로 희생된 것이라고 20년 전 ‘아시아여성기금(アジア女性基金)’ 보고서에서 소개한 적이 있다( http://www.awf.or.jp/pdf/0062_p061_088.pdf ). 

늦었지만 이 문제가 한국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어서 감개무량하다. 이 보고서는 이후 많이 수정 보완되어 이와나미(岩波)에서 발간하는 ‘세계(世界)’ 99년 11월호 논문과 ‘군사사학(軍事史学)’ 2008년호 중일전쟁재론(日中戦争再論)에 게재한 논문이 되었다.

버마인이 증언한, 30명을 일본군이 쏴 죽였다는 자료가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지만, 옥쇄가 북동성벽 구석에서 이루어진 점, 바깥에 성벽을 지키기 위한 진지는 있었지만 수비대가 30명을 데리고 나가서 바깥에서 학살할 만큼의 여유를(수류탄/총알도 다 떨어졌다고 한다-번역자 주) 갖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는 점, 시체가 성벽 바깥에 있다는 것을 사진이 보여주고 있다는 점, 성벽 안에 몰려 고립되기 이전 단계에서 성벽 바깥에서 학살당했다고 한다면 시체부패가 꽤 심했을 것이라는 점, 대만인/조선인/일본인 위안부가 살아남아 중국의 군포로가 되어 사진까지 남아 있다는 점.

이런 점들을 고려한다면 조선인 위안부의 시체 사진은 성벽 안에서 마지막날 밤에 집단으로 대만인/조선인/일본인 위안부들이 탈출했을 때 박격포탄을 맞고 흩어졌을 때 희생된 여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탈출과정 혼란 속에서 사살된 위안부가 있었을 수도 있지만 그건 일본군 수비대들이 옥쇄하는 과정에서 당한 일이 아닐까.

탈출 혹은 옥쇄가 교차되는 혼란 속에서 같이 죽음을 선택하도록 사살된 위안부가 있고, 그 현장을 빠져 나온 이들이, 포로가 된 대만인/조선인/일본인 위안부들이었는지도 모른다.

아무튼 무엇을 역사적 사실로 보는지에 있어서 한국과 일본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일본에서 1970년대에 고도 성장기가 일단락되었을 때 여기저기서 전쟁에 관한 기억이 되살아났을 때, 여러 곳에서의 옥쇄와 그에 동반되었던 강제가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문제시되었던 일이 생각난다.

하지만 전투과정의 역학을 프로세스로서 이해해나가는 일에 의해서, 소모적인 대립을 넘어서서 국민감정이 동반된 진실된 주체적 사죄와 용서, 그리고 자연스러운 화해가 가능해지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되기를 바라고 싶다.

(편집자주: 위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글은 원 번역을 박유하 세종대 교수가 하였으며 ‘미디어워치 편집부’가 추가로 일부 교열교정을 하였다).


이 위원은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그들”로 줄임)은 20년 전에 아사노라는 일본의 한 연구자가 발견한 사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료를 내세웠다“면서, ”그로부터 반 걸음도 나가지 못한 채, 무모하게 ‘일본군이 30명의 한국인 위안부를 학살하였다’는 엄청난 주장을 내놓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위원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제시한 자료의 신빙성 문제를 지적하며 거듭해서 해명을 요청했다.

첫째, 그들은 자신들이 2016년에 “수집”한 사진의 실체와 이번에 미국국가기록원에서 ‘발굴’한 19초 분량의 동영상의 대상이 같다고 주장했다. 그것은 맞다. 그런데 그들은 2016년의 사진이 마치 자신들이 이번에 새로이 ‘발굴’했다는 듯이 말했다. 하지만 아사노 교수는 그 사진을 20년 전 [아시아여성기금]의 보고서( http://www.awf.or.jp/pdf/0062_p061_088.pdf )에서 소개하였고, 1999년과 2008년에 발표한 두 논문에도 게재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들이 새로이 찾아낸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그들이 주장하듯이 이번에 '발굴'한 동영상이 2016년의 사진과 같은 내용이므로, 그 동영상은 오히려 별 가치가 없다). 위안부 문제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이러한 사실을 모를리 없다.

둘째, 아사노 교수에 따르면 미군의 “30명 사살”은 버마(현재 미얀마)인의 증언이다. 다시 말하지만, 미군의 체계적 조사 결과가 아니다. 여하튼 이는 신중에 신중을 기하여 조사해야 할 지극히 중요한 역사적`외교적 문제임이 분명하다. 그런데 그들은 고작 이미 20년 전에 일본 연구자가 소개한 자료와 같은 자료(19초 분량의 동영상)를 들이대면서, 새로운 자료나 논리 없이 “한국인 위안부 30명 학살”을 주장하였다. 학자로서 이렇게 비약할 수 있는 무모한 용기는 어디에서 나오나?

셋째, 아사노 교수는 옥쇄가 성벽 내 북서쪽 모퉁이에서 행해졌다는 점, 미중 연합군에게 함락되기 바로 전날 밤에 일본군들이 위안부들(아사노 교수에 따르면 사진과 동영상에 나오는 그들 6명 모두가 한국 여성들이라고 볼 수도 없다)을 시신이 발견된 성 밖의 山斜面 으로 데려나가 학살할 여유는 없었을 것이라는 점, 성벽 내로 몰리기 전 단계에서 성벽 바깥에서 학살되었다면 시체는 상당히 부패되어 있었을 것이라는 점, 대만인`조선인`일본인 위안부가 생존하여 중국군의 포로가 되어 사진까지 찍었다는 점 등을 이유로 “학살”로 볼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그들은 지난 2년여 시간동안 이러한 점을 검토하지 않았다는 말인가? 아사노 교수는 이러한 점을 지난 보고서와 2편의 논문에서 분명하게 지적했다고 말한다. 그것을 읽지 않았는가? 읽었다면 그에 대한 하등 반론 없이 "학살"이라는 어마어마한 주장을 감행하는 그 오만함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연구자로서 게으르거나, 상식적인 사고능력조차 없는 것인가?


이어서 이우연 위원은 3월 2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글을 다시 한번 공유하면서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늦었지만 이 문제가 한국 사회의 주목을 받게 되어서 감개무량하다’는 표현에서 한국 연구자들은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고 일갈했다.



박유하 교수, “우리 한국인들이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선구적 연구를 평가해줘야” 

한편,  한일간 평화적 관계와 관련해서는 이제 하나의 ‘상징’이 된 박유하 세종대 교수도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위안부 학살’ 주장의 문제점을 짚었다.

박 교수는 3월 1일, 본인의 페이스북 계정에 올린 글을 통해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제시한 자료는 ‘위안부 학살’ 자료로 단정하기가 어려운 자료라는 점을 지적했다.

박 교수는 자료의 신빙성 문제를 지적하기에 앞서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이미 사실상 똑같은 소재를 다룬 바 있는 일본의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선행 연구를 언급하지 않은데 대해서 유감부터 표시했다. 학자라면 연구의 출처와 계보를 중요시해야 하는데, 자칫 연구윤리 상 결함 문제도 있지 않느냐는 암시다.

연구윤리 문제를 떠나서도 이런 사안에서 선행 연구를 정확히 밝히는 것은 위안부 문제로 인해 위태해져 있는 한일 관계를 생각해봤을 때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한국인 학자도 아닌 일본인 학자가 어쨌건 조선인 위안부의 비극적 죽음 문제를 일찍이 20여 년 전에 먼저 찾아내어 전 세계에 고발했다는 점은 우리 한국인들이 분명 평가해줄만한 일이기 때문이다.

박유하 교수는 페이스북의 관련 논의에서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선행 연구가 위안부 문제에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는 일본인들이 대대적으로 성금을 모아 만든 ‘아시아여성기금’(출연금은 특히 일본 정부가 출연)의 후원에 의해 이뤄진 것이기도 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러면서 박유하 교수는 자신도 이전에 위안부 문제를 연구하면서 아사노 토요미 교수의 논문을 읽고서 일본군이 옥쇄과정에서 위안부를 희생시켰을 개연성, 또 일본군 중에서 위안부를 죽이려 했던 경우도 있었을 개연성도 충분히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런 짓을 저지르려고 한 동료 일본군들을 비판하고 위안부를 오히려 안전한 후방으로 보내려고 한 일본군들도 있었다는 사실도 역시 알게 됐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아사노 토요미 교수가 내렸던 원 결론은 여전히 지지할만하다면서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이번 발표에서의 희생자 여성들이 꼭 모두 조선인이라는 보장은 없어 보인다. 같은 지역에 대만인도 일본인도 있었기 때문이다”라는 입장을 전했다. 아울러, “영상 속 위안부들은 폭격에 의한 죽음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덧붙여, “사실, ‘일본군이 대부분의 조선인 위안부들을 학살했다’는 그간의 인식은 사실과는 많이 다르다”면서 “그 점이 새롭게 인식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일본군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은 필요하지만, 목적이 앞선 연구는 새로운 인식을 얻는 것이 아니라 기존생각을 강화시키는데 그치는 경우가 많다”면서 아쉬움을 드러냈다.



검찰까지 활용하고 나선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신빙성이 의심되는 자료

‘위안부 학살’ 문제에 대해서 함부로 단언하는 일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 박 교수의 통찰은 이제와선 마치 선견지명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국내외로 비판받고 있는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자료가 결국 ‘제국의 위안부’로 인해 형사재판을 받고 있는 박유하 교수 자신을 공격하는 근거로까지 활용되어버렸기 때문이다. 
 
3월 2일, 검찰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위안부 학살’ 관련 일방적 입장만을 그대로 반영한 3월 1일자 연합뉴스 신문기사를 박유하 교수의 상고심(대법원) 참고자료로 제시했다. (관련기사 : 일본군의 조선인 위안부 학살 있었다…영상기록 최초 발굴)

검찰은 상고심에 제출한 의견서에서 “최근에 찾은 조선인 위안부들이 일본군에 의해 학살된 후 한꺼번에 버려진 영상에서도 알 수 있듯이 패전에 임박한 일본군들은 조선인 위안부들을 잔인하게 학살하였습니다”라고 주장했다.

박유하 교수는 3월 13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검찰이 이번에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발표한 1차 자료조차 아닌, 이를 아무 문제의식없이 인용한 신문기사를 들고 나온 데에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특히 서글픈 건 그 모든 생각(‘박유하 교수가 위안부 문제로 틀린 주장을 하고 있고 생존 위안부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을 대부분 학자들이 나서서 만들었거나 지탱하고 있다는 점”이라면서 “나는 이 사태가 21세기 초반 한국 아카데미즘의 오점으로 남을 거라고 확신한다”고 단언했다.

박 교수는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자료와 관련해 자신이 세 가지 비판 논점 △ ‘버마에서의 위안부의 죽음이 밝혀진 건 이미 20년 전이라는 점’,  ‘사망자들이 조선인이라고 단정가능한 근거가 없다는 점’, △ ‘폭격이 아닌 총살이라고 단정가능한 근거가 없다는 점’을 제시했지만 해당 연구자들이 열흘이 지나도록 제대로 된 해명을 못하고 있는 데에 대해서 안타까움을 표명했다.

박유하 교수는 이런 한국 학자들의 무책임 문제가 바로 일본에서 ‘혐한’을 부르고 있는 면이 있다면서, 일본의 한국 비난에 명분을 주는 일을 경계했다. 한국의 반일강박관념이 평범한 일반인이 아니라, 엘리트라고 할 수 있는 권력 지향 지식인이 조장하고 있음을 명확히 지적한 것이다. 

러면서 박 교수는 미국인의 81% 는 일반적으로 일본에 신뢰를 보내고 있다는 설문조사 자료도 추가로 인용해, 자칫 앞으로 위안부 문제로 인해 일본에게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한국에 대한 인식이 나빠질 수 있음도 우려했다. 

박 교수는 “나를 위해서가 아니라, 한국인들 모두를 위해서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이) 책임있는 대답을 해주면 좋겠다“면서 다시 한번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해명을 요청했다.


이우연 위원,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과 검찰은 나중에 역사의 심판받을 것”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자료를 검찰까지 인용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낙성대경제연구소 이우연 위원도 3월 14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여전히 아무런 해명이 없는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을 다시 한번 비판했다.

이 위원은 자신이 관련해 분명 문제제기를 했으며, 또 이 문제의 선구적 연구자인 아사노 토요미 교수도 문제제기를 했음에도 무려 보름이 지나도록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은 물론, 정대협이나 나눔의 집,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그 누구로부터도 ‘위안부 학살’을 주장하는 근거가 무엇인지 해명이 나오지 않고 있다는 문제를짚었다.

그러면서 이 위원은 “누누히 말했던 한국사학계에 만연한 고질적이고 저열한 악습, 자료와 논리에 근거하여 비판하면, 읽었으면서도 읽지 않은 척 반론을 제기한 연구자를 유령 취급하고 하등 응대한지 않는, 저자와 그 연구자를 없는 것인냥 무시하는 악습이 이번에도 반복되었다”고 개탄했다.

이 위원은 검찰까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의 자료를 인용한 문제를 간단히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국가기관이 학계의 무책임에 능멸당할 셈이라는 것이다.

이우연 위원은 “(서울대 인권센터 연구팀도 자신들의 결론을 디펜스하지 못하는) 이런 상황에서 그 보도 내용을 상식 수준에서조차 검토하지 않은 채, 검찰은 상고심이라는 대한민국 최고의 사법절차 과정에서 그것을 제 주장의 근거로 제출했다는 것을 오늘 알게되었다”면서 “이는 사실상, 법정모욕이며, 철부지나 할 법한 대한민국 사법질서에 대한 기만이다”라고 단언했다. 

이 위원은 검찰보다 우리 학계 비판에 더 방점을 찍었다. 이 위원은 “(검찰의 잘못을 떠나서) 1차적인 책임은 더러운 습관을 체득하여 실천한 ‘서울대 연구팀’에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연구팀은 이러한 상식적인 질문이 널리 퍼져있음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자신들 주장에 합당한 티끌만한 근거라도 있다면, 지금이라도 당장 제시하든지, 그것이 아니라면 오류를 고백하거나, 최소한 논리적 연쇄에서 자신들이 감당할 수 없는 단절이 있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또 다시 ‘무시’로 일관하면, 우리는 연구자라는 저들의 가면에 침을 뱉어야 한다. 검찰 또한 이 오점으로 가득한 ‘연구발표’와 신문 기사를 그대로 가져가서 이 나라 최고 법정인 상고심에 제출했다는 점에서, 우리가 저들과 마찬가지로 침을 뱉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후손들은 이 기록을 보면서 제 조상들의 몰지성과 반이성에 대해 부끄러고 참담한 눈물을 흘리게 될 것이다.

3월 14일, 일본 오키나와(沖繩)현의 지역신문인 ‘야에야마닛포(八重山日報)’는, 1944년 9월 20일자 중국 국민당군 기관지인 ‘소탕보(掃蕩報)’가 ‘조선인 여성 30명이 투항했다’고 보도한 사실을 인용해 조선인 위안부가 일본군에 의해 학살을 당한 것이 아니라 중국 국민당군의 포로가 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한 바 있다.(관련기사 : 日 야에야마닛포, “‘위안부 학살’ 근거 없다...중국 사료 직접 확인”)

한편, 본지 취재 결과 서울대 인권센터의 센터장인 정진성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악명높은 반일종북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약칭 정대협)의 대표를 지냈던 것으로 확인됐다. 정 교수의 남편은 조선일보 주필을 지낸 강천석 현 조선일보 논설고문이다.



[편집자수첩] 위안부 학살론은 잘못된 추론


반일동상진실규명공동대책위원회(공동대표 최덕효, 이우연 등)은 이 사안과 관련하여 재조사를 진행해 2020년 9월 23일 아래 내용과 같은 성명서를 발표했다. 아예야마닛포의 관련 보도 역시 오류가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는 만큼, 이 사안과 관련해서는 아래 조사 내용이 정확성과 객관성 등에 있어서 최신의 내용이니 참고하기 바란다.(2020년 10월 9일)



* * *



[42차] 기자회견문: 반일감정 부추기는 위안부 집단학살론은 왜곡된 추론이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 정진성, 강성현 교수 연구팀이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자료 조사 등을 거쳐 공개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군 패전 직전 30명 조선인 ‘위안부’ 피해 여성들 집단 학살에 대한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3 작전일지(미중연합군 보고서) 9월 14일 보고서의 한국인 위안부 30명 사살설은 전언 형식의 소문을 언론에서 보도한 내용일 뿐이다.


텅충(騰越) 일본군의 마지막 옥쇄직전 탈출한 요시히로 타카히로(吉野孝公, Yoshino  Takahiro) 의 수기 ‘텅충옥쇄기(騰越玉砕記)’와  역시 같은 장소에서 탈출하였다가 포로가 되어 쿤밍에서 수용된 센다 가코(千田夏光)의 ‘종군위안부 속편(従軍慰安婦〈続編〉)’을 보면, 일본인 위안부들은 승홍(昇汞, mercuric chloride)이라는 극약을 먹고 자결을 택한 반면, 조선인 위안부들은 자기의 의지로 대부분 이 지역을 탈출하였다는 증언이 보인다.


둘째, 정진성과 강성현 등 한국학자들은 G-3 9월14일 작전일지상의 학살보고를 NARA에서 발견된 당시 동영상 및 시체사진의 증거로 연관시키고 있으나, 양자가 동일한 피해자라고 볼 수 있는 아무런 논증 과정이 생략된 무리한 추론일 뿐이다.


셋째. 정진성, 강성현 등 한국학자들은 당시 텅충지역에  70~80명의 위안부가 존재했으며, 미중연합군 보고서 G-3 9월14일 작전일지상에서 보고된 희생자 30명을 이들 중 일부라고 단언하고 있으나, 여러 증언자료 및 G-3 9월 9일자의 보고에 따르면, 텅충지역에는 30명 안팎의 위안부들이 존재했음이 분명하다. 텅충은 연대단위임을 감안할 때 애초에 70~80명의 대규모 위안부를 수용할만한 건물이 존재하지 않았고, 버마지역에서 이런 대규모의 위안부를 고용한 위안소 시설은 없었다. 


아사노 토요미(浅野豊美, Asano Toyomi)교수는 그의 논문에서 중화민국 제198사단 제592단 단장 도달강(陶達綱)의 저서를 인용, 텅충 전투가 종료된 후 중국군에게 체포된 위안부는 모두 18명으로 대만인 3명, 조선인 2명, 나머지는 모두 일본인이라는 설명과 함께 사진을 제시하였다.

 

한편 쿤밍포로수용소의 미군 심문기록에 따르면, 한국인 포로 25명중 여성 23명은 이중 13명이 텅충지역에 주둔한 56사단 113연대 소속 위안부라는 것을 밝혔다. 텅충지역의 위안부 총수가 30명인데, G-3 9월14일 작전일지상의 학살보고를 신뢰한다면, 조선인 위안부들은 9월 13일 모두 전멸했어야 맞다. 그렇다면 종전후 생존한 위안부들은 무엇으로 설명할 것인가. 정진성, 강성현 등 한국학자들은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근거도 없이 텅충지역의 위안부 총수를 70~80명으로 전제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발견된 이 동영상에 등장하는 사체들이 위안부 사체들인지, 조선인 사체인지 확언할 수 있는 아무런 근거도 없다. 아사노 토요미의 논문 ‘운남과 버마 최전선 종군위안부(雲南・ビルマ最前線における慰安婦達-死者は語る)’ 에 따르면, 이 사체들은 9월 13일 일본군이 옥쇄했던 마지막 전투지가 아닌, 성 밖의 내봉산 기슭에서 발견된 사체들이다. 


내봉산 지역의 방어전투는 한 달 반 정도 전에 있었던 일이며, 당시 후퇴할 때 수습하지 못하고 유기한 사체들이고, 사망한 지 오래되어 이미 부패가 심하게 진척된 상태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 사체는 내봉산 지역에서 후퇴할 당시에 폭사하거나 자결한 사체들로 보는 것이 타당하며, 이 사체들이 G-3 9월14일 작전일지상의 희생된 위안부들의 물증으로 본다는 것은 무리한 가설에 기반한 것이다.


이상에서 보듯 근거가 불확실한 위안부 ‘집단 학살론’은 국민들로 하여금 극도의 분노를 유발케 하며, 따라서 반일감정을 선전 선동하는 일부 지식인들의 잘못된 정치적 연구는 반드시 중단되어야 할 것이다. 


2020.9.23.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페이스북 근대사 논쟁 관련 기사 :









박유하 교수 2심 유죄 판결 관련 비판 기사 :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