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 체니 미 부통령이 이라크전 비판론자들을 잠재우기 위해 무소불위의 재량권을 행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루이스 리비와 함께 자신이 잘못된 이라크 정보에 관여했다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조지 부시 대통령의 측근들을 오도하기도 했다고 뉴욕타임스가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리크게이트' 관련 위증 등의 혐의를 받고 있는 리비 재판과정에서 나온 증언과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시 1기 백악관의 결속력이 그다지 강하지 않았으며 체니 부통령이 유능한 내부 조정자라는 명성만큼 효율적으로 활동했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이 신문은 이라크전 개전 명분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킨 조지프 윌슨 전 대사의 2003년 6월6일 뉴욕타임스 기고문이 나온 이후 백악관 참모들이 부시 대통령을 우려하고 있는 동안 리비는 자신의 상관인 체니 부통령의 안위에 대해 더 걱정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윌슨 전 대사는 당시 기고문에서 부통령실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아프리카 니제르를 방문, 이라크의 핵무기용 농축우라늄 구입설이 사실이 아닌 것을 확인, 중앙정보국(CIA)과 국무부에 보고했음에도 부시 행정부가 이라크의 우라늄 구매 의혹을 침공의 구실로 삼았다고 주장해 파문을 일으켰다.
백악관은 윌슨의 기고문이 몰고온 파장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윌슨 전 대사의 부인으로 CIA 비밀요원이었던 발레리의 신분을 언론에 유출시켰다는 이른바 '리크게이트'가 불거졌다.
신문은 백악관 참모들도 모르는 사이에 체니 부통령과 리비가 비밀리에 이라크전의 명분을 보호하는 동시에 잘못된 정보에 대한 체니 부통령의 연루 의혹을 차단하기 위한 언론공작을 시도했다면서 이들은 매우 민감한 비밀 정보자료까지 이용했지만 서툰 일처리로 원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말했다.
신문은 기고문이 나온 뒤인 6월8일 열린 백악관 참모들의 대책회의가 열렸을 때에도 다른 참모들은 체니 부통령과 리비가 이미 언론공작에 나선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면서 이들은 백악관 참모들 모르게 잘못된 이라크 정보가 체니 부통령과는 상관없는 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던 것이라고 부연했다.
(뉴욕=연합뉴스) kp@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