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이후 기업환경개선대책, 서비스산업 경쟁력향상 종합대책 등 현장과 밀착된 정책을 강조해 온 권오규 경제부총리가 다시 한번 철저한 현장확인을 통한 고품질정책 마련을 직원들에게 주문하고 나섰다.
권 부총리는 4일 재경부 직원게시판에 올린 '새로운 출발점에 서서'라는 글에서 "현장확인은 고품질정책의 필수요건"이라며 "업계 간담회, 권역별 현장점검단 운영, 정책 대화 등 현장확인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사무실에 앉아서도 모든 정보를 수집할 수는 있지만 현장확인은 중간단계에서 생기는 정보의 왜곡을 막을 수 있다"면서 "직접 정책고객과 당사자들을 만나 현실을 파악하면 그들이 생각하지 못했거나 생각했던 것과 완전히 다른 훨씬 좋은 정책 대안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말했다.
권 부총리는 이어 "세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폭이 넓어졌고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면서 "전문가나 지식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한 지식지도인 'Knowledge Atlas'의 구축을 상반기 중 완료하고 하반기부터 본격 활용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청했다.
권 부총리는 "새로운 거버넌스(Governance)는 정부 혼자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함께 적극적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면서 "이는 과거 정책과정에 수동적으로 참여했던 언론과 국회, 시민사회, 민간전문가들을 적극적으로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시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새로운 거버넌스 하에서는 국회와 언론, 시민사회단체 등에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알아야 한다"면서 "언론의 경우 기자들이 취재를 해서 기사를 뽑는 과정, 출입기자와 데스크간의 관계 등 언론사 내부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의 법안 심사.처리와 관련해 국회 각 상임위원회별 특성, 보좌관이나 사무처의 기능과 역할 등도 심층적으로 알아야 한다"면서 "시민사회단체가 그들의 주장을 만들고 정부 의사결정에 반영시키는 방법이나 경로도 공부해 둘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권 부총리는 "재경부는 정부 혁신평가에서 혁신 리더십과 혁신역량 측면에서는 전 부처 중 거의 최상위 수준으로 인정받았는데 혁신문화나 성과 측면에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아쉬움을 남겼다"면서 "지금까지 제시한 거버넌스 개선과제와 혁신과제를 확고히 추진해간다면 평가에서도 최상위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pdhis959@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