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늦어지는 17대 대선 대진표

후보 8∼9월에야 확정..16대 비해 넉달 늦어
학습효과, 범여권통합, 한반도정세가 주요인



17대 대통령직을 놓고 대회전을 벌일 대선후보들의 '대진표'가 역대 대선 때에 비해 상당히 늦게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최근 선거 120일 전인 8월21일 20만명 규모로 선거인단을 꾸려 경선을 치르기로 사실상 확정했고 열린우리당과 통합신당모임, 민주당 등 범(汎)여권은 5월까지 통합신당을 창당, 8월말이나 9월 중순쯤 대선후보를 선출한다는 구상이어서 올해 대선 대진표는 8월말 이후에나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

범여권은 유력한 대선주자가 떠오르지 않고 있고 통합신당 움직임도 일고 있는 만큼 현재로서는 후보 확정시기가 불투명하지만 그렇다고 후보선출이 9월 이후로 마냥 늦춰지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가장 중요한 선거운동 무대인 대선후보 초청 TV토론이 선거 90일 전인 9월20일부터 시작되는 만큼 어떻든 그 전까지 후보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기 때문이다.

지난 16대 대선의 경우 민주당 노무현(盧武鉉) 후보가 선거 8개월 전인 4월27일 후보로 확정됐고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후보는 그로부터 약 보름 뒤인 5월10일 후보로 공식지명됐던 데 비하면 올해 대선후보 확정은 4개월 가량 지연되는 셈이다.

이에 따라 각 정당의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레이스 역시 자연스럽게 늦춰지게 됐다. 우선 한나라당은 5월말이나 6월초 경선후보 등록을 받아 2개월 이상의 경선운동을 거치는 방안을 검토중이고 범여권은 통합신당 창당 성공을 전제로 7, 8월 두 달간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연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올해 대선 대진표 확정이 지연되는 데는 무엇보다 이전 선거의 '학습효과'가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2002년 16대 대선과 지난해 5.31 지방선거 당시 여론 지지율 1위 후보가 막판 돌출변수에 의해 정작 선거에서는 패배한 전례가 있어 후보를 늦게 확정할 수록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졌다는 것.

16대 대선 당시 노무현 후보는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의 세 아들을 둘러싼 의혹이 터져나오고 말 실수 등이 겹치면서 한 때 60%까지 상승했던 지지율이 15% 안팎으로 추락했으나 대선 한달전인 11월25일 정몽준(鄭夢準) 의원과의 극적인 후보단일화 등을 통해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후보에 역전승했다.

5.31 지방선거 때도 우리당 강금실(康錦實) 후보가 한나라당 후보군들을 두자릿수 차이로 앞서며 '보랏빛 돌풍'을 이어갔으나 선거 한달전에 뛰어든 한나라당 오세훈(吳世勳) 후보의 '오풍(吳風)'에 무릎을 꿇었다.

여기에 지난해 북핵사태로 벼랑 끝으로 치닫던 한반도 정세가 올들어 2.13 6자회담 합의로 인해 급속히 해빙무드로 전환되면서 북미수교와 남북정상회담 여부가 대선의 중대변수로 부상하고 있는 것도 각 당으로 하여금 후보 조기선출을 주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해석이다. 공연히 일찍 후보를 선출해 갖가지 불안정한 요소에 노출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

범여권이 추진중인 정계개편 역시 대진표 확정을 늦추게 하는 요소다. 범여권의 통합신당 작업이 민주당의 4.3 전당대회 이후에나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이고 정파간 협상과 창당 작업, 오픈 프라이머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할 때 8월 이전에 범여권 후보가 가시화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상태다.

`돈' 문제도 대선후보 조기선출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앙당 후원회는 아예 폐지됐고 대선주자는 당내 경선기간에만 후원회를 열 수 있으며 선거 국고보조금은 11월25,26일 대선후보 등록 다음날에야 지급되는 만큼 전국을 무대로 동시다발적 득표활동을 벌여야 하는 선거운동 기간을 단축할 필요성이 대두됐다는 것. '빅3'가 지난해부터 경쟁을 벌이고 있는 한나라당보다는 주로 범여권쪽에 해당되는 문제다.

우리당 핵심당직자는 "내놓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후보 선출이 늦어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돈 문제"라며 "중앙당 후원회 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돈을 쓸 수밖에 없는 데 누가 그만한 실탄을 갖고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현행 선거법상 선거 240일 전인 4월23일부터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준(準)선거운동'이 가능하고 11월25, 26일 양일간 후보등록을 거쳐 22일간의 공식 선거전이 펼쳐진다.

현재 유력 후보군이 가시화한 한나라당의 경우 4월23일부터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 등이 예비후보 신분으로 일반 유권자를 상대로 제한적인 선거운동을 할 수 있지만 통합신당 창당 등 정계개편의 밑그림부터 짜야 하는 범여권은 한나라당 후보군들의 독무대를 한동안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서울=연합뉴스) mangels@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