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칠레 포도주 수입 급증..차-휴대폰 수출 증가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우리나라의 대(對) 칠레 무역수지 적자 규모가 주요 수입품인 동(銅) 가격 폭등으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한.칠레 FTA 발효 3년째인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간 우리나라의 대 칠레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22억3천900만달러에 달했다. 이는 협정 발효 직전 1년간(2003년 4월∼2004년 3월) 무역수지 적자액 8억200만달러보다 179.2% 많은 것이다.

같은 기간 수출은 15억7천600만달러로 협정발효 직전 1년간보다 199.6%, 수입은 38억1천500만달러로 187.3%나 많았다.

재경부는 "FTA 발효 이후 외견상 대 칠레 무역수지가 악화됐지만 이는 칠레산 수입제품의 79.5%(2006년 기준)를 차지하는 동(銅)의 국제가격이 상승했기 때문"이라며 "동 가격의 변동에 따른 효과를 제외하면 무역수지는 오히려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동 제품의 국제 가격은 한.칠레 FTA 발효 직전 1년간 t당 평균 2천50달러에서 발효 후 3년째는 t당 7천80달러로 245% 이상 폭등했다.

FTA 발효 이후 동을 제외한 주요 품목의 수출입 증가율(연평균)을 보면 수출은 자동차(51.8%), 무선통신기기(107.6%), 컬러 TV(23.5%), 경유(308.5%) 등 공산품 위주로 큰 폭 늘어났고, 수입은 돼지고기(125.3%), 포도(108.8%), 포도주(321.1%), 키위(583.3%) 등 농산물 위주로 확대됐다.

재경부는 칠레산 농수산물 수입이 크게 늘었지만 미국 등 경쟁국의 수입 농수산물을 대체하면서 국내 농업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했다.

수출입 규모는 확대됐지만 투자 부문 실적은 미미했다. 우리나라의 대 칠레 투자는 협정 발효 직전 1년간 1천480만달러에서 발효 후 1년차에는 230만달러로 급감했고 2년차에는 350만달러, 3년차에는 390만달러로 다시 늘고있다.

이는 협정 발효 직전인 2003년에 10월 LG전자(500만달러), 11월 대우일렉트로닉스(980만불) 등의 대규모 투자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전반적인 투자는 호조세라는 게 재경부의 설명이다.

칠레의 대 한국 투자는 발효 직전 1년간 4만달러에서 발효 후 1년차 710만달러, 2년차 4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고 3년차에는 투자실적이 없었다.

FTA 발효 이후 양국간 방문객 수는 늘어나 지난해 한국에서 칠레로 입국한 사람은 총 6천764명으로 2003년 4천291명에 비해 57.6% 증가했고, 칠레 국민의 방한은 2003년 799명에서 지난해 1천348명으로 68.7% 늘었다.

재경부 관계자는 "한.칠레 FTA는 양국간 교역확대, 인적교류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pdhis959@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