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이경태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은 29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관련, "양국이 협상 결렬보다는 타결 의지가 더 강한 것 같다"면서 "서로 원하는 것의 100%가 아니라 70∼80% 만족하는 수준에서 타결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장성민입니다'에 출연해 "한미 FTA 협상이 시기적으로는 막바지지만 아직 내용상 갈 길이 멀다"면서 이렇게 밝혔다.

이 원장은 "쇠고기 수입 재개 문제는 미국 축산농가의 이익이 크게 걸려있는 만큼 의회에 이어 부시 미국 대통령도 지원에 나선 것"이라며 "국제수역사무국(OIE)이 미국을 광우병 위험을 통제할 수 있는 국가로 판정을 내리면 우리나라의 쇠고기 수입 정책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미국이 요구하는 것처럼 쇠고기 완전개방 일정을 제시하는 것은 힘들다"면서 "결국 쇠고기 관세철폐 기간이 핵심 쟁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과 관련해 이 원장은 "개성공단 문제는 협상 출발 당시부터 비통상적인 성격이 강했다"면서 "이 문제는 한미 간의 정치외교적 동맹 관계 등의 연장선상에서 해결돼야 하므로 양국 정상들이 진지하게 논의해야 할 과제"라고 분석했다.

그는 "수년 내 북미관계가 개선되고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가 완화되면 개성공단 제품의 대미 수출이 (자연스럽게) 이뤄질 수 있다"면서 "개성공단에 너무 비중을 두면 협상 전체에서 왜곡된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회 내 반(反) FTA 움직임에 대해 이 원장은 "미국은 한국의 쇠고기 시장 개방이 자국 이익에 중요하다고 보고 행정부와 국회가 한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FTA를 반대하거나 다음 정부로 넘기자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어 협상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pdhis959@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