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개월간 온갖 우여곡절을 겪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조만간 중저강도 수준에서 타결될 것으로 보인다. 양국은 밤샘 협상을 통해 2일 새벽 대부분 쟁점을 정리하고 협상대표인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카란 바티아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최종적으로 이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최종 조율 작업을 진행중이다. 최대 쟁점 중 하나인 쇠고기 검역 문제는 노무현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상호 신뢰에 입각, 정상적인 절차를 밟아 쇠고기 시장 재개방 문제를 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방법 등이 거론되고 있다. 오는 5월 국제수역사무국(OIE)이 미국산 쇠고기 광우병 등급을 확정하더라도 한국이 수입재개 절차를 일부러 늦출 것이라는 미국의 의구심을 노 대통령이 직접 해소하는 것이다. 협상단 고위관계자는 이와 관련 "미국은 쇠고기 검역 문제에 대한 한국측의 뜻을 이해한 상태이며 40%인 쇠고기 관세 양허(개방) 등이 막판까지 쟁점이었다"고 밝혔다. 돼지고기, 닭고기, 오렌지 등 주요 민감품목의 관세 양허안(개방안)도 상당 부분 우리측 의지가 관철돼 즉시 철폐는 없고 주로 5-10년 중장기에 걸쳐 관세를 없애는 방향으로 의견을 좁혔다. 대신 미국도 우리측이 공세
48시간 연장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중저강도 수준의 타결로 가닥을 잡았다. 1일 속개한 한미FTA 농업분야 협상에서 미국은 전날 새벽 최종적으로 전달받은 우리측 관세 양허안(개방안)에 대해 추가 양보를 요구했으나 우리측은 쇠고기 위생조건 문제 해결 문서화 등을 수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농업 고위급 회의의 미국측 대표인 리처드 크라우더 미 무역대표부(USTR) 수석협상관은 "이걸 갖고는 본국에 얼굴을 내밀기는 어렵다"고 불평한 뒤 오후 5시30분께 협상장을 빠져나가 출국했다. 하지만 쇠고기와 돼지고기, 오렌지 등 핵심품목의 관세 양허(개방) 부문에서는 우리측이 일부 양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 분야는 우리측이 승용차의 경우 관세 즉시 철폐를, 픽업트럭은 5년내 철폐를 요구해 이중 일부를 관철시켰으며 대신 배기량 기준 세제 개편 등 미국의 일부 요구를 들어주기로 했다. 미국은 승용차의 관세철폐 시기를 3년내로 하는 양보안을 제시했다. 방송 분야에서는 현재 49%로 설정된 케이블TV 프로그램 공급업체(PP)의 외국인 지분제한은 유지하되 국내 별도 법인 설립을 통한 간접투자는 허용하고 외국채널의 더빙방송은 허용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시한을 10여일 앞둔 19일 한미 양측은 타결점 모색을 위해 서울과 워싱턴에서 고위급 회담을 통한 막판 절충에 들어갔다. 양측은 이번 주 협상에서는 남은 쟁점을 더 줄인 뒤 다음주 서울에서 통상장관급의 '끝장 토론'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나 자동차와 무역구제, 농업과 섬유 등 핵심 쟁점 의견차가 워낙 커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종훈 한미 FTA 우리측 수석대표와 웬디 커틀러 미국측 수석대표는 18일(현지시간) 협상장인 미국 워싱턴 D.C의 르네상스 메이플라워 호텔 인근에서 이튿날부터 시작될 고위급 협상 진행 방향을 사전 조율하는 등 협상을 사실상 시작했다. 현지 시간 19일부터 시작되는 고위급 절충에서는 ▲자동차분야 세제.제도개편(미국 요구)과 관세철폐(한국 요구) ▲반덤핑 제도 개선(한국 요구) ▲개성공단산 제품의 한국산 인정(한국요구) ▲외국방송 더빙 허용(미국요구) ▲의약품 신약 최저가 보장(미국요구) 등의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양측은 쟁점을 좀 더 축소하고 잔여 쟁점은 '주고받기'식 패키지로 정리하는 작업을 오는 21∼22일까지 벌인 뒤 이를 서울에서 열릴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수전 슈워브 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 시한을 10여일 앞둔 19일 한미 양측은 서울과 워싱턴에서 고위급 회담을 통한 막판 절충에 들어갔다. 양측은 서로 민감한 분야에서 양보할 수 있는 최후의 마지노선을 제시하며 쟁점을 일괄 타결하기 위한 '묘수풀이'에 나설 전망이나 자동차.무역구제.농업.섬유 등 핵심 쟁점을 둘러싼 시각차가 여전해 진통이 예상된다. 김종훈 한미 FTA 우리측 수석대표와 웬디 커틀러 미국측 수석대표는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의 르네상스 메이플라워 호텔에서 쟁점 분야 핵심 분과장들만 대동한 가운데 '몸통 주고받기' 절충을 시작한다. 고위급 절충에서는 ▲자동차분야에서 세제.제도개편(미국 요구) ▲지나친 비관세 장벽 해결(한국 요구) ▲개성공단의 상품을 북한산이 아닌 한국의 역외가공품으로 인정(한국요구) ▲외국방송에 대한 더빙 허용(미국요구) ▲의약품 신약 최저가 보장(미국요구) 등의 문제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벌어진다. 양측은 쟁점을 좀 더 축소하고 잔여 쟁점은 '주고받기'식 패키지로 정리하는 작업을 오는 21∼22일까지 진행한 뒤 26일부터 서울에서 열릴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과 수전 슈워브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간 통상장관 회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