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슈렌(呂秀蓮, 뤼슈롄) 전 대만 부총통이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을 개최하는 변희재 본지 대표고문과 ‘변희재의 진실투쟁 카페’ 회원들에게 감사편지를 보냈다. 다만, 이번 행사는 우한폐렴의 재확산으로 광화문 주대만대표부 앞에서 개최되지 못하고 실내 스튜디오 생방송으로 치러진다. 변 고문이 제2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을 개최한다는 소식을 전해들은 뤼 전 부총통은 “여러분들의 뜻이 대만에도 알려지게 되어 저희는 매우 감사하다”며 축전을 보내왔다. 그녀는 대만 민주화의 상징과도 같은 인물이다. 뤼 전 부총통은 “지난 해 저는 ‘미디어워치’의 초청에 응하여 서울을 찾았다”며 “국회 청사에서 강연 했을 때 분명히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분의 친구 중 일부는 한국과 대만이 아주 가깝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줬다”며 “한국인과 대만인이 친밀한 사이라는 것을 몸소 증명해 주었다”고 밝혔다. 뤼 전 부총통은 우한폐렴(COVID 19)으로 인해 올해초 한국에 마스크가 매우 부족했던 상황을 회고하면서 당시 “저는 ‘미디어워치’ 동지들에게 우편으로 마스크를 보내고자 귀국에 주재하는 대만 외교관들과 상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당시 (마스크
한국이 문재인 정권 출범 이후 극단적인 친중반일 노선을 내세우면서 일본을 노골적으로 적대시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의 한 유력 주간지가 일본-대만의 동맹을 적극 주장하고 나섰다. 지난 20일, 일본의 ‘슈칸포스트(週刊ポスト)’는 2020년 8월 29일호 기사 ‘미국도 중국도 한국도 믿을 수 없는 시대, 지금이야말로 대만과 마주하자(米国も中国も韓国も信用できない時代、今こそ台湾に向き合おう)’를 인터넷판 ’뉴스포스트세븐(NEWSポストセブン)‘에 공개했다. 이 기사는 최근 방위비 인상 등 자국중심주의를 내세우고 있는 미국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논조를 내비쳐 더욱 눈길을 끌었다. “미중패권전쟁에서 존재감 높여가는 대만에 주목해야” 슈칸포스트는 “2013년 시진핑 국가주석 취임 이후 패권주의를 강화하는 중국은, 돈다발 외교로 각국을 아래에 두면서 올해 6월에는 홍콩에 ‘국가안전유지법’을 제정하여 민주파를 몰아붙이고 있다”며 “한편 미국은, 2017년 트럼프 정권 발족 이후 ‘아메리카 퍼스트’를 추진하고, 대두하는 중국을 봉쇄하려고 기를 쓰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종래, 아베 정권은 친미 노선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제일주의를 심화시키고, 앞서 했던 말을 뒤집거나 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4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행사에 영상 메시지를 보냈다. 이어 15일에는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기념행사에 출석해서 반일을 선동하는 연설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위안부 문제와 징용공 문제에 대해 언급할 때 친중좌익 특유의 고정된 레퍼토리에서 단 한발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그는 14일 영상메시지에서 “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원칙은 피해자 중심주의”라며 “할머니들이 ‘됐다’고 할 때까지 피해자가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15일 연설에서는 징용공 판결과 관련해서 “정부는 사법 판결을 존중하여, 피해자가 동의할 수 있는 원만한 해결책을 일본 정부와 협의해왔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연이은 반일 행보에 무토 마사토시(武藤正敏) 전 주한일본 대사가 나섰다. 18일(현지시각), 일본 유력지 ‘슈칸다이아몬드(週刊ダイヤモンド)’가 운영하는 오피니언 사이트 ‘다이아몬드‧온라인(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은 ‘한국 문 대통령의 연설로 보는 일한관계 악화의 원흉, 전 주한대사가 해설(韓国・文大統領の演説に見る日韓関係悪化の元凶、元駐韓大使が解説)’ 제하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5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제75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정부는 사법부의 판결을 존중한다”며 일본과의 징용공 손해배상청구소송과 관련된 입장을 번복할 의사가 없음을 재확인했다. 수년째 한국 정부의 친중반일 성향을 경험했기에, 일본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입장을 바꿔서 양국이 우호관계를 회복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거의 기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한국의 친중좌익 정권이 무너지고 문재인 대통령이 실각한다는 전제에서만 징용공 문제 해결과 한일 협력이 가능하다고 전망하기도 한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일본의 유력 비지니스 격주간지인 ‘프레지던트(プレジデント)’의 온라인 버전 ‘프레지던트온라인(プレジデントオンライン)’은 11일(현지시각)자로 칼럼니스트 사오 잇뽀(沙鴎 一歩)의 ‘징용공 문제를 해결하려면, 문재인 대통령이 그만두는 수 밖에 없다(’徴用工問題‘ を解決するには、文在寅大統領に辞めてもらうしかない)’ 제하 칼럼을 게재했다. (해당 기사 번역 블로그 바로가기) 사오 칼럼니스트는 “전 징용공의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일본제철(日本製鉄)이 8월 7일, 즉시항고장을 제출하였다”며 “즉시항고를 한 이유는, 한국 법원(대구지법 포항지원
※ 본 칼럼은 일본의 유력 시사잡지 ‘겟칸하나다(月刊Hanada)’의 인터넷판인 ‘하나다프러스(Hanadaプラス)’에 2020년 3월 9일자로 게재된 ‘한국 최대 반일(反日) 조직 ‘반크(VANK)’의 정체(韓国最大の反日組織「VANK」の正体)’를 ‘겟칸하나다’ 측의 허락을 얻어 완역게재한 것입니다. (번역 : 황철수) 한국 최대 반일(反日) 조직 ‘반크(VANK)’의 정체 (韓国最大の反日組織「VANK」の正体) [필자소개] 야마자키 후미아키(山崎文明)는 1955년 오사카(大阪) 출생에 정보안전보장연구소(情報安全保障研究所) 수석연구원이다. 전 아이즈(会津) 대학 특임 교수를 지냈다. 1978년, 고베(神戸) 대학 해양과학부 졸업했으며 손해보험회사를 거쳐 1983년 미국국제감사회사 프라이스워터하우스 공인회계사 공동 사무소에 입소했고 시스템 감사부 매니저로 주요 IT 업체 및 주요 통신 사업자의 보안 감사를 담당했다. 이후, 여러 시스템 컨설팅 회사, 보안 컨설팅 회사에서 현장 경험을 쌓았다. 2016년부터 현직(정보안전보장연구소 수석연구원)에서 일하고 있다. 리서치 활동에 있어서 “자신의 눈으로 직접 사실 확인”하는 것을 신조로 하며 당사자와 관계자에게 직접 취재
‘중공폐렴(코로나19)’ 사태로 중국 공산당의 국제적 입지가 좁아지는 가운데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한국과 대만, 일본의 국교정상화를 촉구하는 뜻깊은 행사가 열린다. 오는 24일 월요일 오전 11시, 서울 광화문빌딩(동화면세점 건물) 주한국대만대표부 앞에서 ‘제2차 한국-대만-일본 국교정상화 선언식’이 개최된다. 행사는 변희재 본지 대표고문이 주최하고 본지가 주관한다. 변 고문은 지난해 8월 23일 처음 한국-대만 국교정상화 선언식을 개최했다. 우리나라 정부가 중공과 수교를 맺기 위해 대만대사관에 철수를 통보한 날이 바로 1992년 8월 24일이다. 양국 간 아픈 역사를 기억하고 사과의 뜻을 전하기 위해 매년 24일 대만대표부 앞에서 국교정상화 선언식을 개최하는 것이다. 다만, 지난해의 경우 24일이 주말이라 23일 선언식을 했다. 지난해 행사 소식을 듣고 대만 민주주의의 상징 뤼슈렌(呂秀蓮) 전 부총통이 변 고문 측에 감사 인사를 전해왔다. 뤼 전 부총통은 11월 변 고문의 초청으로 한국을 전격 방문, 단교 이후 대만 고위급 인사로는 처음으로 국회에서 강연을 했다. 이번 제2차 선언식에는 일본 측 자유주의 보수우파 인사들이 참여, ‘한국-대만-일본’의 3개국
※ 본 콘텐츠는 ‘위키피디아 일본어판(ウィキペディア 日本語版)’에 게재된,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 국민기금(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항목을 번역한 것이다(기준일자 2020년 8월 10일판, 번역 : 황철수). 본 항목에서 원 기술 내용 중 일부 오류가 있는 부분은 편집을 가했다. 본 항목 내용은 일본 위키에서 ▲ ‘일본의 위안부(日本の慰安婦)’(한국어 번역) 항목, ▲ ‘위안부(慰安婦)’(한국어 번역) 항목, ▲ ‘여자정신대(女子挺身隊)’(한국어 번역) 항목, ▲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 문제(朝日新聞の慰安婦報道問題)’(한국어 번역) 항목, ▲ ‘고노 담화(河野談話)’(한국어 번역) 항목, ▲ ‘미국 하원 121호 결의(アメリカ合衆国下院121号決議)’(한국어 번역) 항목, ▲ ‘맥두걸 보고서(マクドゥーガル報告書)’(한국어 번역) 항목, ▲ ‘쿠마라스와미 보고서(クマラスワミ報告書)’(한국어번역) 항목을 병행 참조해주기 바란다.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 국민기금(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재단법인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 국민기금(財団法人女性のためのアジア平和国民基金, 약칭 : 아시아 여성기금(アジア女性基金), 영어: Asian Women 's Fun
이전기사: [이승만TV 위안부의 진실⑮] “정대협의 과도한 사과 요구...한일관계 파탄 의도” 이영훈 이승만학당 교장(전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은 지난 2019년 6월 20일 16회차 마지막 동영상 강의(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를 통해 같은해 2월 15일부터 시작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 동영상 강의 전체를 마무리했다. 이 교장은 “제가 12번 강의를 하고, 주익종 교사가 3번 강의를 하는 사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기존의 통념에 대한, 어떤 대담한 도전이 나름대로는 이뤄졌다고 생각한다”면서 종강 소회를 밝혔다. 실제 이승만학당의 관련 동영상 강의에는 매 강의마다 많게는 1만 여명의 시청자들이 6, 70여개의 긍정적 댓글을 다는 등 뜨거운 반응이 이어졌다. 미래세대의 ‘종족주의’ 극복을 위한 강의 하지만 종강을 앞두고도 정작 위안부에 대해 연구하거나 운동을 이끈 단체들은 지난 4개월간 이승만학당의 강의에 대해 아무런 반응도 내놓지 않았다. 이승만학당의 강의 내용이 위안부 단체들이 그간 내세워온 명분, 주장을 정면으로 부정, 반박하고 있음에도 그들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위안부 단체들이 아무런 반응이 없는 이유와 관련, 이영훈 교장은 “우리의 강의
※ 본 콘텐츠는 ‘위키피디아 일본어판(ウィキペディア 日本語版)’에 게재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クマラスワミ報告書)’ 항목을 번역한 것이다(기준일자 2020년 7월 31일판, 번역 : 황철수). 본 항목 내용 중 하타 이쿠히코(秦郁彦)의 입장에 대한 소개 등 일부 오류가 있는 부분에서는 편집을 가했다. 본 항목 내용은 일본 위키에서 ▲ ‘맥두걸 보고서(マクドゥーガル報告書)’(한국어 번역) 항목과 함께, ▲ ‘일본의 위안부(日本の慰安婦)’(한국어 번역) 항목, ▲ ‘위안부(慰安婦)’(한국어 번역) 항목, ▲ ‘여자정신대(女子挺身隊)’(한국어 번역) 항목, ▲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 문제(朝日新聞の慰安婦報道問題)’(한국어 번역) 항목, ▲ ‘고노 담화(河野談話)’(한국어 번역) 항목, ▲ ‘미국 하원 121호 결의(アメリカ合衆国下院121号決議)’(한국어 번역) 항목도 병행 참조해주기 바란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クマラスワミ報告書) ‘쿠마라스와미 보고(クマラスワミ報告, Coomaraswamy Report)’는, 유엔 인권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제출된 ‘여성에 대한 폭력과 그 원인 및 결과에 관한 보고서(女性に対する暴力とその原因及び結果に関する報告書, Report
※ 본 콘텐츠는 ‘위키피디아 일본어판(ウィキペディア 日本語版)’에 게재된, ‘맥두걸 보고서(マクドゥーガル報告書)’ 항목을 번역한 것이다(기준일자 2020년 7월 28일판, 번역 : 황철수). 일부 주석은 유려한 편집을 위해서 위치 등 변경을 가했다. 본 항목 내용은 일본 위키에서 ▲ ‘쿠마라스와미 보고서(クマラスワミ報告書)’(한국어 번역) 항목과 함께, ▲ ‘일본의 위안부(日本の慰安婦)’(한국어 번역) 항목, ▲ ‘위안부(慰安婦)’(한국어 번역) 항목, ▲ ‘여자정신대(女子挺身隊)’(한국어 번역) 항목, ▲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 문제(朝日新聞の慰安婦報道問題)’(한국어 번역) 항목, ▲ ‘고노 담화(河野談話)’(한국어 번역) 항목, ▲ ‘미국 하원 121호 결의(アメリカ合衆国下院121号決議)’(한국어 번역) 항목도 병행 참조해주기 바란다. 맥두걸 보고서(マクドゥーガル報告書) ‘맥두걸 보고서(マクドゥーガル報告書, McDougall Report)’란, 1998년 8월 유엔 인권위원회의 차별방지・소수자 보호 소위원회에서 채택된 게이 맥두걸(ゲイ・マクドゥーガル, Gay McDougall) 전시 성노예제 관련 특별보고자에 의한, ‘무력분쟁 하의 조직적인 강간・성노
이전기사 : [이승만TV 위안부의 진실⑭] “위안부 문제, 출구를 잃어버렸다” 주익종 이승만학당 교사(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실장)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진실’ 15회차 동영상 강의 '한일관계 파탄 날 때까지'(2019년 6월 12일)를 통해 정의기억연대(구 정대협)가 학문적 입지가 없는 ‘위안부 성노예설’을 계속해서 주장하고 있는 음험한 이유에 대해 짚었다. ‘위안부 성노예설’은 조선 식민지 시절 일본이 군대를 이용, 일반인 조선 여성을 강제로 연행해 일본군의 위안부로 삼고 성노예로 대우했다는 학설이다. 강의에서 주 교사는 “정대협, 정의기억연대의 주장이 과연 얼마나 근거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라며 일본군 강제연행설의 주장을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했다. 주 교사가 분석한 두 가지는 측면은 ‘위안부의 동원방식’과 ‘위안부의 생활방식’이다. 그는 “(정대협은) 이 두 가지 측면을 갖고 위안부를 성노예로 보고 있는 것”이라며 강의를 시작했다. 일본정부의 관여는 사실...그러나 강제성은 없었다 주 교사는 먼저 영화 ‘귀향(鬼鄕)’에서 위안부 소녀가 일본군에게 강제로 끌려가는 장면과 그림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살펴본 두 장의 사진과 그림이 우리 한국인
이른바 ‘아베사죄상’을 제작해 논란을 일으킨 김창렬 한국자생식물원의 원장은 전형적인 운동권 출신으로 좌파 인맥이 상당히 두터운 인물이다. 김 원장은 70년대에 대학에 다닌 운동권 출신으로 3년간 옥살이를 했다고 한다. 2015년 10월 6일자 이투데이 기사 ‘김창렬 한국자생식물원장 '인생 마라톤' 이야기’에는 다음과 같이 소개돼 있다. 1970년대 대학생활을 했던 그는 소위 ‘운동권’이었다. 어수선한 시국 속에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구속당해 3년간 감옥살이를 했다. 석방 이후 뚜렷한 길이 보이지 않았다. 회사를 몇 군데 두드려봤지만 꼬리표가 늘 발목을 잡았다.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풀 농사를 짓겠다”며 강원도행을 결심했다. 그는 충청도 출신이지만 고향으로 가고 싶지는 않았다. 새로운 곳에서의 새로운 도전이 필요했다. 하지만 김 원장이 학부를 어느 대학에 재학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조선일보 인물검색DB에도 대학원만 기록돼 있다. 또 언론 인터뷰에선 “충청도 출신”이라고 밝혔지만, 공개 프로필에는 ‘경상북도 상주’로 나와 있다. 조선일보는 인물검색 서비스에 대해 “수록자 본인이 제공하신 프로필의 수록을 원칙으로 하며, 본인이 공개를 원하지 않는 경우는
위안부 소녀상 앞에 한 남성이 무릎 꿇고 사과하는 형상의 조형물 ‘영원한 속죄’를 제작한 김창렬 한국자생식물원의 원장이 거짓말을 하는 정황이 포착됐다. 지난 25일 경향신문의 기사 ‘소녀상에 무릎 꿇는 아베…‘영원한 속죄’ 공개’에 따르면, 김 원장은 자신이 사비로 만든 동상이 아베 신조 일본총리를 상징한다고 설명했다. 조형물을 사비로 조성한 한국자생식물원 김창렬 원장은 “국내·외에 있는 소녀상들을 비난하고 조롱하거나, 훼손하는 실태를 보면서 단순히 입장을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속죄 대상을 확실하게 형상할 필요가 있어 소녀상의 대상을 아베로 상징해 조성했다”고 말했다. 이날 조선일보는 좀 더 자세한 보도를 했다. 조선일보의 26일자 ‘‘소녀상 앞 속죄하는 아베상’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보도에 따르면, 조각가도 아베를 언급했다는 것. 작품을 제작한 조각가 왕광현씨는 “속죄를 모르는 일본이 작품과 같이 머리를 조아리고 우리가 그만 됐다고 할 때까지 속죄해야만 비로소 용서를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형상화한 조형물”이라며 “아베 총리는 식민지배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과를 회피하는 정반대 행보를 하고 있음을 각인시키고 반성을 촉구하는 작품”이라고 밝혔다. 왕 조
※ 본 콘텐츠는 ‘위키피디아 일본어판(ウィキペディア 日本語版)’에 게재된, ‘미국 하원 121호 결의(アメリカ合衆国下院121号決議)’ 항목을 번역한 것이다(기준일자 2020년 7월 26일판, 번역 : 황철수). 미국 하원 121호 결의(アメリカ合衆国下院121号決議) ‘미국 하원 121호 결의(アメリカ合衆国下院121号決議,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과를 요구한 2007년 미국 하원 결의안이다. ‘종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대일 사과 요구 결의안(従軍慰安婦問題の対日謝罪要求決議)’이라고도 호칭한다.* [* 편집자주 : 정식 영문명칭은 다음과 같다. H.Res.121 - A resolution expressing the sense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that the Government of Japan should formally acknowledge, apologize, and accept historical responsibility in a clear and unequivocal manner for 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