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황우석사태' 정부ㆍ서울대ㆍ언론 공동책임"



서울대 우희종 교수(수의미생물학)는 19일 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정부ㆍ서울대ㆍ언론이 `황우석 사태'를 빚어낸 장본인이라고 비판했다.

우 교수는 "치적 홍보에만 신경 쓰는 과학기술부, 성과주의와 연구 윤리 불감증에 매몰된 서울대, 검증 없이 부풀리기에 나선 언론이 `황우석 논문 조작 사태'를 불러왔다"며 이렇게 주장했다.

그는 `황우석 사태'가 1년이 지났지만 최근 연구진실성위원회의 조사를 받고 있는 이병천 교수(수의산과학)의 `늑대복제' 논문에서 보듯 정부ㆍ서울대ㆍ언론은 아무런 반성 없이 그릇된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 교수는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이 지난 1월 `늑대복제' 논문 발표에 앞서 서울대 수의대를 방문한 것을 두고 "학술적 검증 없이 (늑대 복제를 홍보한 것은) 일반인을 상대로 저지른 일종의 `테러'"라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그는 "약 2개월 뒤 서울대가 `늑대복제' 기자회견을 한 것은 김 부총리 방문의 연장선 위에서 과학기술부 홍보담당 국장과 관련돼 이뤄진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늑대복제 논문을 과기부가 적극 밀어줬다'는 일각의 지적을 뒷받침했다.

우 교수는 "서울대가 성과주의와 연구 윤리 불감증을 버리지 못한 채 `서울대 폐지론'에 대한 대응으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보여주기 식' 연구 홍보를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유명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만 홍보하겠다'는 등 책임 회피에 급급하지 말고 단과대 학장의 추천과 더불어 관련 연구자의 의견서를 첨부해 연구 결과의 의미와 가치를 객관적으로 검토하려는 노력을 보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언론이 제 역할을 하기는 커녕 나태하고 구태의연한 모습만 보였다는 비판도 이어졌다.

우 교수는 "연구 결과가 사회에 알려지고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는 언론의 힘이 더 크게 작용하는데도 언론은 철저하고 정확한 검증 없이 증폭시키는 `녹음기' 역할을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언론의 과학ㆍ의학 전문기자 제도가 결국 유명무실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하며 "언론이 과학 연구의 학문적ㆍ사회적 의미를 비판하지 못한다면 과학자보다 더 큰 사회 혼란을 일으키는 위험한 존재일 수 있다"고 말했다.

토론회에 참석한 이현숙 교수(생명과학)는 "`황우석 사태'는 아무런 시스템이 없어서 생긴 데 비해 `늑대복제' 문제는 시스템은 갖춰졌지만 그것을 사용하는 서울대의 의지가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연구부정 내부고발자 보호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상지대 홍성태 교수는 "황 전 교수의 논문 조작은 과학의 상업화와 정치적 이용의 연장선 위에서 발생한 것"이라며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해 이 사태에 정치적 동력을 제공한 측에서 전혀 반성하지 않는 한 제2의 `황우석 사태'는 앞으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연합뉴스) zheng@yna.co.kr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