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친노포털 - ‘롯데그룹‘ 하루에 두번 죽여

인미협 7월 19일 포털뉴스 모니터링


■ 친노포털 - ‘여당’은 죽이고, ‘야당’은 덮고

7월 19일 오전 11시 30분경 네이트의 메인화면에는 ‘박지원 불출석...검찰, 소환 재통보 방침’ 이란 기사가 게재 되었다.

정두언, 이상득 의원 등 여당 인사의 금품수수에 대해서는 굵은 글씨체로 강조하여 하루종일 보도하던 것에 비하면 상당히 대조되는 편집 행태를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각, 네이트의 다른 메인화면에는 ‘군사기밀 교환위해 추진 “ 국무위원 ’이견 無‘ 통과’란 기사를 게재하였다.

세계일보는 ‘한·일 군사협정 안건을 몰래 통과시킨 지난달 26일 국무회의의 정황을 기록한 회의록이 처음 공개됐다. 군사비밀보호협정은 지난해 일본이 초안을 작성했고 지난달 양측이 문안에 최종 합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날 회의에는 국무총리를 비롯한 16개 부처 장·차관이 국무위원 자격으로 참석했지만 아무런 이견 없이 통과됐다. 19일 세계일보가 입수한 ‘제27회 국무회의 회의록’에는 지난달 26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군사협정 안건과 토의내용, 참석자 명단 등 담겨있다.‘ 라고 보도 했다.

그러면서 국무회의록을 공개하였는데, 그 안에는 참석자 명단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민주통합당 한 의원이 한일 포괄적군사정보보호협정 전문 전체를 언론에 보도한 데 이어, 민감한 기록들이 기록되어 있는 국무회의록이 언론에 공개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언제부터 극비로 다루어야 할 사항들이 언론에 아무런 거리낌 없이 공개되었는지 정확하게 알수는 없지만, 극비 사항들이 자꾸 언론에 노출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적성국들을 도와주는 꼴이 된다.

극비로 다루어져야 할 사항들이 적의 손에 들어가게 되면 그런 정보를 역으로 이용하여 우리에게 위해를 가할 수도 있다.

자극적인 폭로를 통해서 광고를 많이 유치하려는 언론사와 포털사들의 입장은 이해 하겠지만, 몇 푼의 돈에 대한민국과 국민들의 안전을 팔아먹는 짓들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메인화면에도 박지원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의 검찰 소환 소식은 게재되지 않았다. 정두언, 이상득 의원 등 여당 인사의 검찰 소환에 대해서 생중계 하듯 각종 기사들을 게재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편집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여당의 악재는 퍼뜨리고, 야당의 악재는 덮어 민심을 야당 쪽으로 흐르게 하려는 네이트의 의도적인 편집 기법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겠다.



■ 친노포탈 미디어다음 - 검찰자료 제목만 보고 쓴 기사도 게재

같은 시각, 미디어다음의 메인화면에는 ‘불법사찰 재산서 공개된 ’VIP 보고‘ 문건은 이란 기사가 굵은 글씨로 강조되어 게재 되었다.

한겨레는 ‘18일 민간인 불법사찰 관련 재판에서 드러난 '091112공직윤리지원관 거취 관련 VIP(브이아이피) 보고' 문건은, 비록 제목만 노출됐지만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지원관실)의 인사 문제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됐음을 보여주는 정황이다.’ 라고 보도 하였다.

그러나 한겨레의 보도대로 제목만 노출된 문건에 대해서 어떻게 구구절절하게 기사를 쓸 수 있겠는가?

결국, 추측성 기사란 사실을 한겨레가 자백한 셈인 것이다. 한겨레의 보도대로 제목만 노출된 문건을 보고 쓴 기사를 미디어다음은 굵은 글씨체로 강조하여 게재 함으로써 청와대와 국민들을 사이를 이간질 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와 반대로 박지원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의 검찰 소환소식은 한 줄도 찿아 볼 수 없다. 여당인사들의 비리에 대해서는 며칠씩 대대적으로 홍보하던 것과는 사뭇 다른 편집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미디어다음의 노골적인 야당 편들기의 증거라 할 수 있겠다.



같은 시각, 미디어다음의 다른 메인화면에는 여전히 ‘불법사찰재판서 공개된 VIP 보고’ 문건은‘이란 기사가 굵은 글씨로 강조되어 게재 되었다. 다른 기사들이 다 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여당에게 불리한 기사만 지속적으로 게재 하였다.

또, ’“CD거래 전혀 없어도 매일 금리통보” 사실상 조작‘, ’금감원 전전긍긍‘ 등의 기사가 굵은 글씨로 강조되어 게재 되었다.

여당에게 불리한 기다들은 굵은 글씨체로 강조되어 지속적으로 게재 되는 반면, 박지원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의 검찰 소환 관련 소식은 한 줄도 볼 수 없었다.미디어다음은 지독스러울 정도로 야당에게만 유리한 편집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여당에게 불리한 기사들을 집중 게재하는 것은 박지원 민주통합당 최고위원의 검찰소환에 대해서 물타기를 하려는 게 아닌지 의심이 드는 편집이었다.




■ 친노포탈 네이트 - 박지원 검찰소환 ‘물타기’

같은 날, 오후 4시 30분경 네이트의 메인화면에는 ‘미래권력 눈치... ’NO 말 못하는‘ 경제당국’, ‘경제팀의 ’안일한 경제인식‘, ’이석현, 검찰 압수수색에 “보복수사” 반발‘ 등의 기사가 굵은 글씨로 강조되어 게재 되었다.

여전히 민주통합당 박지원 최고위원의 검찰 소환 소식은 한 줄도 찿아볼 수 없었다. 정부의 무능을 질타하는 기사와 민주통합당 이석현 의원이 검찰 압수수색이 부당하다고 항변하는 기사를 한 화면에 배치함으로써 야당 의원들의 비리 사건에 대해서는 물타기를 시도하였다.




■친노포탈 미디어다음 - ‘롯데그룹‘ 하루에 두번 죽여

같은 시각, 미디어다음의 메인화면에는 ‘롯데그룹, 계열사에 통행세’ 챙겨주다 적발‘, ’검찰 이미 무혐의 처분‘ 이란 상반된 기사를 굵은 글씨체로 강조하여 게재 하였다.

머니투데이는 '‘‘롯데그룹, 계열사에 통행세’ 챙겨주다 적발‘이란 기사에서 ’롯데그룹이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계열사를 통해 간접 구매하는 방식으로 계열사를 부당지원하다 공정거래위원회에 적발돼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아무 역할도 없는 계열사를 거래 중간에 끼워 넣어 중간 마진을 챙기게 하는 계열사 부당지원, 이른바 '통행세'에 대한 첫 번째 제재다.‘ 라고 보도 하였다.

그리고 머니투데이는 ‘검찰 이미 무혀의 처분’ 이란 기사에서 ‘공정거래위원회가 롯데그룹의 계열사 부당지원 혐의에 대해 시정명령과 검색하기 과징금을 부과한 것과 관련, 롯데그룹 측은 "검찰에서 이미 무혐의 처분을 받은 내용"이라며 "당혹스럽다"는 입장을 19일 밝혔다.’고 보도 하였다.

이미 무혐의가 난 사건을 가지고 한 기업을 파렴치한 기업으로 만들었다가, 불과 몇 분 사이에 무혐의가 난 사건이라고 보도한 머니투데이의 오락가락 보도를 미디어다음은 한 화면에 나란히 표기를 함으로써 롯데그룹을 공격한 것이다.

‘무혐의 사건’이라 보도 하면서 사건 경위를 세세히 다 밝혔으니, 두 번 공격한 셈인 것이다.

두 개의 상반된 기사가 있다면, 진위 여부를 확인해 보고 게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보고, 아니면 말고’ 식으로 상반되는 기사 두 개를 게재하여 대기업을 공격하고, 반기업 정서를 유포하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다음이 기업체들을 공격해서 ‘삥 뜯기’하는 파렴치한 악덕 존비 기업체라는 것을 미디어다음 스스로가 증명한 편집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