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KJB광주은행(은행장 송기진)은 지역 금융의 역사를 한 눈에 살필 수 있는 ‘KJB금융박물관’을 오는 20일 광주은행 창립 44주년 기념식에 맞추어 개관한다고 밝혔다.

‘KJB금융박물관’은 광주은행 본점 2층에 들어서며 연면적은 519㎡(156평) 규모로 금융의 발전 역사를 담고 있는 1만여점의 유물 및 사진들이 전시되거나 보관되어 있어 지역 금융의 다양한 발자취를 살펴볼 수 있다.

전시관 입구에 들어서면 역사존, 홍보존, 화폐존 등의 전시실이 펼쳐지고 박물관 한 켠에는 수장고를 설치하여 지역 금융의 역사 자료를 전시 및 보존한다. 또한 우리 지역 어린이 및 청소년들을 위한 체험 학습실, 금융 교육실이 마련되어 있어 체험학습이 가능한 금융교육 공간으로 활용된다.

전시실의 역사존은 남도의 자연이 베풀어 준 풍요로움 속에서 싹튼 지역 금융의 역사를 한 곳에 담았다. 전통의 물물교환 수단부터 백제의 화폐 거푸집, 상평통보, 조선시대 어음, 아름다운 돈 ‘별전’ 등 전통시대의 금융문화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근대의 통장 및 은행 전표, 수표발행기 등 현재까지의 금융의 발전사를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 및 사료들이 관람객들을 맞이한다.

홍보존은 ‘위기의 광주은행을 지역민이 살리다’, ‘지역경제의 맥(脈) 세계로 뻗어 나가다’등으로 구성 되어있다. 특히 전시관 중앙에는 1960~70년대 충장로 시대, 80년대 금남로 시대, 97년 이후 현재의 대인동 소재 광주은행 본점 건물들을 각각 시대별로 재현한 모형이 마련되어 있어 옛 추억에 잠시나마 푹 빠져 들 수 있다.

화폐존은 우리나라의 화폐를 고대의 화폐부터 현재의 화폐까지 시대순으로, 세계의 화폐는 세계 대륙별 주요화폐로 전시하였고 위조지폐를 직접 감별하는 체험을 하도록 꾸몄다.

이번 박물관 설립에서 가장 신경을 많이 쓴 금융체험실은 흥부와 함께 똑똑한 부자 되기’라는 주제로 흥부네 도량형, 세상으로 떠난 흥부의 경제여행, 행복한 부자 불행한 부자 등 이야기가 있는 놀이 중심의 교육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했다. 또한 금융교육실은 어린이 및 청소년의 올바른 경제관념 정립을 위한 다양한 금융교육 장소로서 연중 상시 운용 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수장고는 지역 금융 및 광주은행의 사료를 유물 특성에 적합한 수납, 보존, 관리 하기 위한 데시게이터 및 수납시설이 갖추어져 있으며, 유물등록실은 유물관리, 등록을 전산화로 하기 위한 작업실로 미래 광주은행의 역사를 지속적으로 담아내게 될 것이다.

또한, KJB금융박물관 건립에 맞추어 박물관 도록이 함께 편찬된다. ‘새로운 맥박이 뛴다-KJB 금융박물관’ 이라는 제목으로 편찬되는 박물관 도록은 직원 및 지역민들이 보내주신 소중한 유물들을 250여 페이지에 걸쳐 사진 및 다양한 설명으로 꾸며졌다.

이번 KJB금융박물관 건립은 어느 덫 반세기의 역사를 간직하게 된 광주은행의 과거를 잘 보존하고, 또한 지역 금융의 역사와 세계 화폐의 역사 등을 담아내 지역민의 문화적, 경제적 욕구를 채워주기 위해서 이뤄졌다. 여기에 더해 어린이들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및 체험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여 자라나는 지역 꿈나무들의 올바른 경제관념 정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KJB금융박물관 설립 사무국장인 김준원 본부장은 “KJB금융박물관은 지역 금융의 역사를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 친근감을 높였다”며 “심혈을 기울여 지역 금융의 역사를 한 곳에 담은 만큼, 광주 전남 지역민들과 많은 어린이, 청소년들에게 좋은 역사 문화 공간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KJB금융박물관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개관하며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이고, 휴관은 토, 일요일 및 법정공휴일이며 관람료는 무료이다. 한편, 광주은행은 오는 20일 박물관 개관에 앞서 19일 오후 2시에 언론인을 대상으로 프레스 데이(Press Day)를 펼쳐 대대적인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