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콘텐츠는 '과학중심의학연구원(http://www.i-sbm.org)'이 제공하는 공익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미국의 대표적인 의학 비평가 중 한 사람인 예일대학교 신경과 임상교수 스티븐 노벨라(Steven Novella)의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 운동에 대한 비판 글로, 'Antifluoridation Bad Science'라는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황의원 과학중심의학연구원 원장이 번역했습니다. 본 글에 인용된 하바드 연구의 관련 기사는 국내에도 <메디컬투데이>가 (“충치 예방하는 '불소' IQ 떨어뜨린다")라는 기사로서 과장되게 소개된 바 있으며, 쿠키뉴스 등을 타고 포탈 뉴스 섹션에까지 널리 퍼지기도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또한 비용절감 측면에서도 효율적이라는 매우 인상적인 근거를 갖춘 공공보건정책를 적대시하는 사회운동이 있어왔다. 정부가 훌륭한 공중보건정책을 오래 전부터 지원해 왔음에도, 묘하게도 역시 오랫동안 계속 이 정책을 비난해온 사람들이 있었던 것이다. 그 사람들은 이 정책이 그간 제시된 근거와 달리 안전하지 않고 효과도 없으며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고, 또 원하지 않는 ‘의료적 개입(medical intervention)’을 거부할 권리도 침해한다고 주장해 왔다.
지금 내가 이야기하는 것이 혹시 마치 ‘백신 반대 운동(anti-vaccine movement)’ 문제에 관한 것처럼 들릴는지도 모르겠다. 실은 나는 이번에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 운동(antifluoridation movement)’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문제와 관련된 사회적 논쟁(과학적 논쟁이라고는 도저히 보기 힘들다)은 수시로 뉴스에 나타나곤 한다 – 이를 둘러싼 논란 중 상당수는 목소리 큰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 운동가들 또는 단체들에 의해 고무된다. 지역 내에서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을 차단하려는 주민투표에 의해서 이런 논란이 촉진되는 경우도 있다.
최근 하버드 대학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문를 발표한 바 있다 – ‘발달적 불소 신경독증: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Developmental Fluoride Neurotoxic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이 연구가 실제로 발견한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 불소농도조정과 관련해선 그 어떤 위험도 존재하지 않는다(뭔가 있긴 했지만 그건 안전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 운동가들에 의해 이상하게 이용됐고, 그들에 의해 이 연구결과는 유언비어 유포의 목적으로 왜곡되어 소개됐다. 불행하게도, 현재 인터넷은 유언비어 유포의 온상인 상황이다.
‘불소농도조정 반대 뉴욕 연합(NYSCOF)’은 이 연구의 결과를 왜곡하는 보도자료를 냈다. 그들의 보도자료 제목은 “하버드 대학 연구에 따르면 불소가 IQ를 낮춘다 – 연방 정부 저널에 출판됨(“Harvard Study Finds Fluoride Lowers IQ – Published in Federal Gov’t Journal")이었다. 이는 많은 인터넷 뉴스사이트들에 의해 마치 과학 뉴스인 것처럼 보도됐다.
편집상의 아무 여과도 거치지 않는 매체를 활용해 보도자료를 내보내는 것은, 자신들의 주장을 뉴스처럼 보이게 하는데 있어서 저렴하고 쉬운 길이다. 예컨대 ‘새크라멘토 비(The Sacremento Bee, http://www.sacbee.com)'라는 뉴스사이트는 자신들의 “뉴스” 탭 아래에 저 불소 관련 보도자료를 게재했다. 그리고는 웹사이트 맨 위쪽에 작은 글씨로 ‘일러두기(disclaimer)’를 적어놨다.(그나마 다른 대부분의 뉴스사이트보다는 양반이다) :
“이 섹션은 ‘뉴스와이어(PR Newswire)‘라는 홍보대행사에 의해 유통되는 편집되지 않은 보도자료들을 게재한다. 이 보도자료들은 발행기관(issuing entity)들의 시각을 반영하며 ‘새크라멘토 비(Sacramento Bee)’ 관계자들에 의해 검토되지도 편집되지도 않는다. ’뉴스와이어‘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그들의 웹사이트에서 찾을 수 있다.”
아무 것도 안 적는 것보다야 낫겠지만 그렇게 작은 글씨로 적어놔서야 그 보도자료를 읽은 수많은 사람들 중 과연 몇 명이나 일러두기까지 읽어봤을는지 의문이다. 내 개인적 견해로는, 인터넷뉴스들은 몇몇 ‘정치적 대변 조직(advocacy organization)’들이 특정 아젠다를 조장하기 위한 명백한 목적으로서 유포하는 보도자료들을 그대로 게재하게 내버려둬서는 안 된다. 이 경우 특히 그들이 “뉴스”라는 타이틀을 함부로 달아서는 더욱 안된다. 일러두기로는 불충분하다. 그 잘못된 “뉴스 아이템”이 페이스북 및 다른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 이를 입증한다.
일부 배경설명
하버드 대학의 연구를 살펴보기 전에, 먼저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정책을 둘러싼 기본적인 사실관계들부터 검토해 보자.
1940년대와 1950년대에 미국에서는 치아 건강에 있어 불소의 역할을 살펴보는 핵심적인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당시의 연구를 통해 수많은 식수 공급원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다량의 불소가 치아를 검게 만들거나 표면에 반점을 생기게 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현재 ‘불소침착증(fluorosis)‘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소량의 불소는 치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하며 충치(tooth decay)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도 역시 밝혀졌다. 불소는 치아 에나멜질의 재생을 도울 수 있으며, 산(acid)을 생산하는 박테리아에 의한 치아 손상을 저지하거나 줄이기도 한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의 유용성과 관련된 근거의 측면에서 전환점은 1950년에 한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부터였다. –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치위생과의 책임자인 트렌들리 딘(H. Trendley Dean) 박사는 미시간(Michigan)주, 그랜드 래피드(Grand Rapids)에서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한 지역에는 식수에 불소가 추가됐으나 다른 지역에는 추가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 불소농도조정 지역에서는 대조군 그룹에 비해 충치가 50% 감소했다. 이러한 근거와 또다른 여러 근거는 지역 식수의 불소 농도를 1 ppm 정도로 조절하라는 권고로 이어졌다. 일부 지역에서는 식수 내 불소의 자연적 농도가 더 높으며, 이들은 불소농도조정 조절 과정에서 불소를 외려 감소시키게 하는 경우도 많다. 불소 농도를 조정할 것인지, 또 과연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는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정부 차원에서 결정되며, 연방정부의 소관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지역에서는 불소를 추가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번역자주 : 불소첨가가 아니라 불소조정라고도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원래 식수에 자연적으로도 불소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컨대, 바닷물에서 불소는 12번째로 많이 들어있는 원소로 약 1.3ppm 이 함유되어 있다. 바닷물을 증류한 물의 경우에도 역시 마찬가지이며 지하수, 약수에도 비슷한 정도의 불소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불소는 통상의 정수기로는 걸러지지 않는 원소이며, 우리 신체에도 원래 미네랄(무기영양소)의 일종으로 3g 정도의 불소가 있다.)
그런데 이 권고가 나오고 일부 지역에서 식수에 불소를 추가하기 시작한 직후에, 불소농도조정 반대 운동이 시작됐다. 불소농도조정 반대 운동가들의 공개된 주요 동기는 개인적 선택권에 대한 억압(imposition)에 반대한다는 것으로 보인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을 일종의 ‘강제 투여(involuntary medication)’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을 적대시하는 단체들은 실은 자유에 대한 논쟁에 관심이 있는게 아니다. 대신에 그들은 명백하게 실존하는 근거에도 불구하고,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정책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정책이 아니라면서 기존의 근거를 왜곡하는 일에만 몰두한다. 일각에서는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이 국민들을 생각 없는 노예들로 만들려는 정부의 검은 음모의 일환이라는 주장까지 한다. (이 음모론은 뛰어난 영화인 ‘닥터 스트레인지러브(Dr. Strangelove)’에서 풍자된 것으로 유명하다. 영화에서 잭 리퍼(Jack Ripper) 장군은 관련 자신의 “고귀한 체액”(precious bodily fluid)의 훼손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 50년간의 과학적 연구 결과는, 불소농도조정의 안전성 및 효능만을 계속 재확인하고 있을 뿐이다. 2008년에 실시된, 가장 믿을만한 의학 연구방법론인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식수의 불소농도조정은 지역사회 전체에 불소를 통한 충치 예방 혜택을 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면서 사회적으로 공평한 방법이라는게 확인됐다. 여기서 불소의 농도는 해당 지역의 기후(climate)에 따라 0.6-1.1 ppm 이내여야 한다는 게 권장사항이다. 이 농도는 ‘불소침착증(dental fluorosis)‘의 발생과 충치 감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Yeung CA.,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fluoridation, Evid Based Dent. 2008;9(2):39-43.)
관련 추가적인 배경설명을 원한다면 ‘사이언스인메디슨 연구소(Institute for Science in Medicine)’가 발표한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에 대한 정책보고서(policy statement)'를 참조하라. (나를 비롯한 다른 사이언스베이스드메디슨 블로그의 저자들도 사이언스인메디슨 연구소의 회원이다)
하버드 대학의 연구
본론으로 돌아가자. 하버드 대학에서 실시한 연구는 사실 새로운 것이 아니며, 기존 연구를 재검토한 것에 불과하다. 덧붙여, 이 연구에서는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프로그램들에 대한 검증은 포함되지도 않았다. 하버드 대학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관련 연구 결과는 다량의 불소가 어린이들의 신경 발달에 역효과를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출생 전 불소 노출, 신경행동학적 수행능력(neurobehavioral performance) 및 농도 조절의 공변량(covariates for adjustment)에 대한 상세한 개인적 정보가 포함돼야 한다.”
추후 연구를 정당화시키는 어떤 특정 효과(위험)의 “가능성”이라는 것은 실제로 그런 효과가 있다는 결론과는 반드시 같은 내용은 아니다. 그러나 이번 경우의 문제는 이 연구가 더 깊이 진행된다는 점이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 단체들이 주장하는 것은 불소농도조정 프로그램이 미국과 다른 나라들에서 어린이들의 IQ를 위험한 수준으로 낮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저 연구의 데이터는 그런 결론을 뒷받침하는 데 사용될 수가 없다.
먼저 지적할 수 있는 부분은 저 논문에서 검토된 연구들의 대부분이 미국이 아니라 중국에서 시행됐다는 사실이다(다른 한개의 연구는 이란(Iran)에서 이뤄졌다). 중국에서는 그간 제한된 불소농도조정 프로그램만이 있었으며, 2002년 이후에는 식수에 불소를 넣지도 않았다. 그런데도 왜 대부분의 연구가 중국에서 수행됐는가?
중국에는 음용수중에서 자연불소농도가 높은 많은 시골지역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의 연구들은 대부분 이 지역들에 대한 것이다.
여기서 나올 수 있는 질문은 이런 높은 농도의 불소 노출이 미국에서의 수돗물 불소농도조정과 대체 무슨 관계가 있느냐다(함유량을 떠나 불소를 그냥 무조건 독성물질로 분류하겠다는 얘긴가?)
이 연구들 전반에서 많은 가변성이 있었지만, 일반적으로는 높은 불소 농도 그룹은 2~10 ppm 내의 범위에 있었고 낮은 불소 농도 그룹의 농도는 0.5~1 ppm이었다. (불소 농도가 훨씬 더 높게 나온, 석탄을 많이 사용한 지역에서의 연구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프로그램의 불소 농도 권장 수치는 0.5 ppm 에서 1 ppm 사이다. (대부분의 국가들에서 비슷하다. 예컨대 호주에서는 0.6~1.1ppm 이다. 번역자주 : 한국에서는 0.8 ppm 이다.) 미국환경보호청(EPA)은 안전 상한선을 4.0 pm으로 정했고 2차적 권고선은 2.0 ppm으로 했다. 자연 불소량이 많은 지역들은 사실 식수에서 불소 중 일부를 일부러 제거하기도 한다.
다시 말하지만, 미국 내에서의 불소농도조정된 물은 중국에서의 연구에서 사용된 대조군, 또는 낮은 불소 농도 그룹의 불소와 같은 농도다. 그리고, IQ와의 부정적 관계는 불소 농도가 훨씬 더 높은 지역(EPA 권고의 상한선 이상)에서만 확인된 바 있다.
또한, 이 연구들은 대부분 역학적(epidemiological)이거나 생태학적(ecological)이다. 이 연구들은 (앞서 트렌들리 딘 박사의 그랜드 래피드에서의 연구와는 달리) 관계된 변인들(variables)이 어떤 방법으로든지 잘 통제된 실험적 연구가 아니었다. IQ 와의 부정적 관계는 자연 상태 또는 산업적 원인에서 비롯된 높은 농도의 불소 노출(고의적인 불소농도조정은 아닌 경우)이 있었거나 또는 비소(arsenic)와 같은 다른 오염물질의 노출과도 상관관계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결론
이 글에서 검토된 역학적(epidemiological) 연구에는 많은 약점들이 있다. 그것은 높은 이종성(heterogeneity), 다른 변인들에 대한 빈약한 통제, IQ 평가에 있어 맹검(blinding)에 대한 무언급 등이다.
그러나 백번 양보해서 이 연구들을 그대로 받아들이더라도, 이 연구는 낮은 IQ와 미국에서 식수에 첨가된 불소 농도와의 어떤 연관성도 보여주지 못한다. 사실, 이 연구들에서 대조군으로 사용된 식수에 불소가 첨가된 그룹에서는 더 높은 IQ가 나타났다. (효과크기(effect size)에서 많은 가변성이 있었지만, 메타분석에서 IQ에 대한 순수한 효과크기는 표준편차 -0.45였다.) 따라서, 결국 이 연구는 불소농도조정의 안전성에 대한 또다른 큰 근거를 덧붙이게 되는 셈이다.
이 사실에도 불구하고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 단체들은 자신들의 선전선동 목적을 위해 해당 논문의 결과를 악용하는 짓을 멈추지 않았다. 꽤 많은 뉴스사이트들이 자신들의 뉴스섹션에 아무 필터링도 없이 보도자료를 게으르게 받아쓰는 행위를 함으로써 무심코 이 반과학적인 유언비어 캠페인에 협력하고 있는 것이다.
“불소 전쟁(fluoride wars)”은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한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정책만큼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비용절감적인 공공 안전 정책이 없다고 말하는 수많은 근거들에도 불구하고,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반대세력들은 격렬하게 이 정책을 적대시하고 있다.
※ 기존에 사용하던 '수돗물 불소화(water fluordiation)'라는 용어는 국민건강진흥법의 개정에 따라 새로이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었습니다. 본 원고도 국민건강진흥법의 개정 취지에 맞게 '수둣물 불소화'를 모두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으로 표기합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