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자유통일강대국코리아 (역사/외교)


배너

[독립검증위원회] 일본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에 대한 검증보고서 (영향2·맺음말)

‘강제연행’과 ‘성노예’라는 허위 날조로써 만들어진 정치적 프로파간다, ‘반일좌익’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 (5/5)





제2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한국 신문에 미친 영향
(第2章 「92 年 1月プロパガンダ」の韓国紙への影響)

- 아라키 노부코(荒木信子) (집필 담당) -

머리말(はじめに)

이 장은 1991년 8월 1일부터 1992년 1월 31일 사이에,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한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대상 매체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경향신문, 한겨레 등 7개 신문이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각 사 사이트에서 검색했고, 다른 5개 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이트에서 뉴스기사 통합검색을 이용했다. 모두 한국어로 된 기사 원문을 분석했다. 

“위안부 OR 정신대”를 키워드로 검색하고 541건을 개관했다. 월별 건수는 8월 43건, 9월 12건, 10월 24건, 11월 42건, 12월 73건, 1월 347건이다. 인용한 기사 등의 일역(日譯)은 부기(附記)가 없는 한 본인(아라키 노부코)이 번역한 것이며, 밑줄은 인용자가 넣은 것이다. 

일본발 위안부 문제(日本発の慰安婦問題)

한국에서는 위안부를 비롯한 일련의 문제 제기는 “일본발”이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1992년 1월 16일자 중앙일보 사설은 “정신대뿐만 아니라 일제의 징용희생자에 관한 자료조차도 일본인의 노력에 의해 조사되어 발굴되었다는 사실이 우리를 더욱 부끄럽게 한다”(‘과거의 악몽에서 벗어나려면’)고 썼다. 

발단이 일본인일 뿐만 아니라 그 보도의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 의심하는 논조도 있다. 즉 대일적자 문제와 기술이전 문제를 호도하기 위한 사죄로 양심 있는 일본인을 내세워 위안부 문제에 시선을 모았다는 것이다(92년 1월 19일자 조선일보 ‘대일 거래방식을 바꿀 때-김대중 칼럼’) 그중에서도 상황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다음 1월 20일자 동아일보 사설이다. 

건국 반세기 가까이 우리 정부는 정신대 문제를 거론한 일조차 없었다. 원폭피해자와 징병징용자 문제의 꼬리에 매달려 정신대의 존재가 제기된 것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등 민간단체에 의해서였다. 이제까지의 정부의 기본입장은 65년 한일회담기본조약에 얽매여 정신대를 위시한 징병징용자에 대한 배상을 거론치않는 것이었다. 우리 정부는 일본에서 먼저 제기되고, 국내 여론이 비등하자 피동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착안한 격이 되고 말았다.(‘과거를 청산해야 미래가 있다, 한일 정상회담이 남긴 숙제’)


이 가운데 “건국한 지 반세기 가까이 우리 정부는 정신대 문제를 거론한 일조차 없었다”고 기록한 점에 주목한다. 수교교섭 때도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 



글 속에서 “민간단체”라고 했는데 일본 측에서도 전쟁책임이나 배상을 요구하는 민간단체, 사회당, 여성단체 등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일본과 남북한 여성단체의 공동활동도 보도되었다. 

위안부는 1980년대까지 크게 문제 되지 않고 90년대 들어서부터 민간단체에 의해서 제기되었다. 

위안부 문제의 근거(慰安婦問題の根拠)

그러면 한국 언론은 강제연행, 군 개입의 근거를 무엇에 두고 있는가. 일본 정부의 “위안부 동원에 관여하지 않았고 자료도 없다는 견해, 입장”을 부정하는 재료로서 요시다 증언을 들고 있다. 예를 들면,

태평양전쟁 중 일본군의 종군위안부(여자정신대) 동원을 담당한 노무보국회가 사실상 당시 일 정부 산하기구였음을 밝혀주는 자료가 발견됐다. (중략) 종군군위안부를 동원한 노무보국회가 당시 일 정부의 산하기구임을 뒷받침하는 주장을 담고 있는 자료는 한인 여성들의 강제연행에 관여했던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 씨(78)가 지난 77년에 쓴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신인물왕래사 간)라는 저서 ... (91년 12월 8일자 조선일보 ‘‘정신대 일본정부 관여’ 자료 발견, 동원담당 노무보국회, 당시 각료들이 고문역, 연행 관여, 일인 요시다 세이지 씨 저서서 밝혀져‘)


라고 하여, 여기서도 요시다 씨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이다. 

덧붙여 이 기사는 표제어에 ‘발견’이라고 되어 있지만, 77년에 쓰여 이미 알려진 요시다 씨의 저서를 말하는 것이며, ‘발견’은 아니다. 한국 신문에는 이런 방식이 곳곳에서 보인다. 



91년 12월 7일자 서울신문에는 ‘정신대 연행은 군에서 명령한 것, 징집책임자 요시다’라는 제목으로 요시다 증언 자체를 실었다. 그 밖에도 요시다 증언을 근거로 하는 기사와 논설은 일일이 열거할 수도 없지만 같은 날짜에 가까운 것만 해도 ‘치욕스럽고 비열한 망언’(8일자 서울신문 사설), ‘또 정신대를 부인하는가’(8일자 조선일보 사설)를 들 수 있다. 

요시다 증언은 한국 신문에서 반복하여 ‘강제연행’의 근거로 언급되며 ‘권위’를 갖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 요시다 증언을 구체화하는 산 증인의 등장으로 김학순의 커밍아웃(1991년 8월)을 꼽을 수 있다. 

한국에서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韓国における「92 年 1 月強制連行プロパガンダ」)

92년 1월,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는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씨의 표현을 빌리면 “빅뱅”을 일으켰다. 한국에서의 빅뱅은 1월 11일자 아사히신문 ‘군 개입’ 뉴스와 한국 신문에 의한 14일자 “12살 초등생까지 위안부로 삼았다”라는 뉴스에 의해 야기되었다.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다. 

둘 다 아사히신문의 보도와 관련이 있음은 이하에 기술한다. 

1월 11일자 아사히신문 조간에 ‘위안소에의 군 관여 나타내는 자료, 방위청 도서관에 구일본군의 통달 일지(「慰安所への軍関与示す資料、防衛庁図書館に旧日本軍の通達・日誌)’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 기사는 한국의 각지에 보도되었다. 

또 일본에서는 별로 화제가 되지 않은 것 같지만 이날 아사히 석간은 ‘군의 종군위안소 관여, 홋카이도에서도 자료, 육군성이 ‘창부 유치’(「軍の従軍慰安所関与、北海道でも資料、陸軍省が『娼婦の誘致』)’라는 기사를 게재했으며, 이것 역시 한국에서 보도되어 “증거” 중 하나가 됐다. 

한국에서는 방위청에서 발견된 도서관 자료가 군 관여의 결정적 증거로 포착돼 일본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한층 커졌다. 1월 12일자 한국일보 칼럼 ‘기자의 눈’은 ‘시치미 떼는 일본’이란 제목으로 이렇게 썼다. 

11일 아침 일본신문의 1면 톱으로 보도된 종군위안부(여자정신대) 관련기사를 보고 한때 의아한 생각이 들었다. 일본군 당국이 1938년 중국 주둔 일본군부대에 위안소를 설치케 하고 위안부 모집과 관리에 직접 관여했음을 입증하는 공문서의 발견이 1면 톱의 비중이 있을까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사를 읽으면서 이내 고개를 끄떡일 수 밖에 없었다. 일본정부가 경찰과 헌병과 면서기를 동원해 ‘사냥하듯’ 한국의 처녀들을 잡아간 사실①은 우리만 알고 있을 뿐 일본인들은 모르는 일이라는데 생각이 미친 것이다.

더구나 이 기사는 지금까지 녹음기를 틀어 놓은 것처럼 “민간업자들이 한 일이지 정부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해온 일본정부를 향해 “이래도 모른척 하겠느냐”고 다그치는 투였다. (중략)

이번 공문서 발견 사실에 대해 일본정부 소식통은 “군이 직접 위안부를 징용했다는 직접적인 자료는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육군성이 휘하부대에 보낸 문서에 “위안부 모집은 파견군이 통제하고, 모집인물 선정을 주도 면밀히 하라”고 지시한 것이 직접적인 자료가 아니라면 무엇이 더 필요할까.

정신대 사냥에 동원됐던 인물의 참회수기②도 발표됐고, 전(투)력의 낭비를 막기 위해 군위안소를 설치한다는 기밀문서들도 세상에 알려진지 오래이다. 또 지난해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낸 당사자가 일본 전국을 돌며 생생히 증언③도 했다.


글 가운데 ①, ②는 요시다 세이지, ③은 김학순이라 생각된다. 방위청에서 발견된 문건의 무게를 얘기하면서 이것을 내놓을 수 없게 되는 근거가 여기서도 나온다. 



아사히신문 1월 11일자의 ‘위안소에의 군 관여 나타내는 자료, 방위청 도서관에 구일본군의 통달 일지(「慰安所への軍関与示す資料、防衛庁図書館に旧日本軍の通達・日誌)’의 기사에 대해서, 제3자위원회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이 기사에 대해서는 게재의 타이밍에 대한 비판뿐 아니라 과거 아사히신문의 요시다 증언의 기사와 전쟁터에 위안부가 “연행”됐다는 내용의 기사 등과 더불어 한국과 일본 내에서 위안부 강제연행에 군이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이미지를 여론에 주입했다는 취지의 비판도 있다. 그러나 기사에는 잘못된 사실이 기재돼 있지 않고 기사 자체에 강제연행 사실이 포함돼 있는 것은 아니다. 

아사히신문이 본 기사에 의해 위안부 강제연행에 군이 관여했다는 보도를 한 것처럼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18~19페이지)


앞의 12일자 한국일보 칼럼을 읽어보면 군 관련 기사는 한국에서 군관(軍官)이 연루됐다는 이미지를 더욱 강화해 유력한 근거로 삼았음을 이해할 수 있다. 

‘12살 정신대’(「12 歳の挺身隊」)

중앙일보는 1월 14일 ‘정신대 국교생까지 끌고갔다 당시 日(일본)인 여선생’이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전했다. 

일제가 국민학생인 12세 소녀까지 정신대로 동원한 사실을 입증하는 당시의 학적부가 14일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당시 방산국교 6학년 담임이었던 일본인 이케다(지전정지·68·여·일본 생구시거주)씨가 지난해 7월 이들의 소재를 찾던중 방산국교졸업생들의 학적부를 위탁 보관해오던 서울 일원동 영복국교를 방문,자신이 직접 작성했던 6명의 학적부를 찾아냄으로써 확인됐다.

영복국교(교장 안중복)에 보관돼 있는 이 학적부에는 당시 국민학생들이 정신대로 출발한 날짜·장소·동원경위·설득과정 등이 생활기록란에 상세히 기술돼 있다. (중략)

학적부에 따르면 6학년 4반(여학생반)학생 70여명중 5명이 44년 7월2일,이듬해 2월25일에 추가로 1명이 각각 일본 도미야마(부산) 불이월정신대원으로 출발한 것으로 돼 있으며 당시 이들의 나이는 1명이 13세이고 나머지 5명은 모두 12세였다.


다른 신문들도 12살 정신대를 크게 보도한다. 예를 들어 ‘일, 국교생도 정신대 징발, 당시의 일본인 교사, 가책감 추적’(15일자 조선), ‘총독부 지시에 따라 보낸 당시의 일본인 교사 이케다 씨 인터뷰’(15일자 동아), ‘정신대, 전국에서 조직적 징발’(16일자 서울신문)이 있다. 이 소식이 알려진 뒤 각급 학교에서 학적부를 조사하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동아일보는 15일 사설에서 이렇게 썼다. 

그동안 우리는 일본군의 종군위안부로 끌려가 처절하게 유린당한 정신대원들의 아픔과 슬픔을 막연하게만 헤아려왔다. 그러나 12세짜리 국교생(초등학생)까지 동원, 전쟁터의 성적 노리개로 짓밟았다는 보도에 다시 끓어오르는 분노를 분노를 억누르기 어렵다. (중략)

당시 이 학교에 근무하며 이들을 정신대로 보낸 일본인 담임교사 이케다(68, 여) 씨는 이들을  근로정신대로 보냈다고 말하고 있다. 이케다의 말대로 일제는 이 철부지들과 그 부모들에게 황국신민으로 근로정신대에 가 보국해야 한다고 설득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새빨간 거짓부리였다. 근로정신대라는 이름으로 동원한 후 이들을 종군위안수로 빼돌린 사실이 여러 사람의 증언으로 입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케다가 죄책감으로 한국쪽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한 채 독신으로 살아왔다고 말하는 것을 보아도 이케다는 근로정신대의 정체가 무엇이었는지를 잘 알고 있었을 것이다. (중략)

이렇게 아무것도 모른채 부모의 품을 떠나 정신대로 끌려간 소녀들이 부지기수였다. 울부짖는 여자들을 후려갈기고 젖먹이를 팔에서 잡아떼며 애엄마를 끌고간 경우도 있었다. 마치 노예사냥과 같았다. 

이렇게 동원된 종군위안부가 8만~20만명으로 추산된다.(1월 15일자 동아일보 사설 ‘12세짜리 정신대원’, 니시오카 쓰토무 일본어 번역)


여기에서 밑줄 친 부분은 1991년 10월 10일자 아사히신문에 실린 요시다 세이지 씨의 증언 “위안부, 가해자 측에서 다시 증언, 젖먹이로부터 엄마를 떼어놓았다(‘여자들의 태평양전쟁’)”와 이미지가 겹친다. 



그런데 아사히신문은 위안부와 정신대의 오용에 대해서 “당시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가 진척되지 않았고, 기자가 참고한 자료 등에도 위안부와 정신대의 혼동이 있었기 때문에 오용했습니다”(2014년 8월 5날짜 아사히신문)라고 설명했지만 의문이 남는다. 

‘초등학생이 위안부로’라는 오해가 한국에서 꿈틀거리던 그 때, 92년 1월 16일자 산케이신문에서는 구로다 가쓰히로(黒田勝弘) 서울 특파원의 ‘‘정신대’로 번진 파문, 위안부와 같다고 규정하고 한국 신문 보도(『挺身隊』で広がる波紋、慰安婦と同じ位置づけ、韓国紙報道)’가 게재됐다. 

특히 한국의 유력 언론은 이 초등생 ‘정신대’를 위안부와 동일하게 규정하고 캠페인처럼 연일 크게 전하고 민족감정을 자극하고 있다. (중략) 일련의 언론보도로 한국 사람 대부분은 “전쟁 중 일본은 한국에서 초등생까지 종군위안부로 끌고 갔다”고 받아들이고 있다.


또, 22일자 마이니치신문 석간에는, 시모카와 마사하루(下川正晴) 서울 특파원이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이 기사의 글쓰기에서는 독자에게 근로정신대와 종군위안부를 혼동시킬 우려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 14일 지국에서 한국 신문 석간을 읽고 있었는데 알고 지내던 한국인으로부터 이런 전화가 걸려왔다. (중략)

조선일보 독자 페이지에 장문의 편지가 실렸다. 여자정신대가 곧 종군위안부는 아니었다며 “사죄와 보상을 얻으려면 정확한 자료를 가지고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식민지시대의 경험을 가진 사람일 것이다.(‘[아시아 NOW] 정신대와 위안부(「アジア NOW」挺身隊と慰安婦)’


그때부터 다른 점을 지적하는 사람이 있었던 것이다.

한국에서는 정신대가 곧 위안부라는 오해를 재촉하는 기사가 또 있다. ‘내 어머니가 그럴 리가’(1월 17일자 한겨레신문 칼럼 동네방네)라는 기사는 이케다 선생이 찾던 제자의 딸의 시각에서 쓰여진 것이다. 실제로 딸을 취재해 썼는지, 가상의 대화를 칼럼으로 썼는지, 자신의 어머니가 정신대였다는 말에 대하드라마 ‘여명의 눈동자’의 여주인공 여옥이 떠올랐다고 한다. 

‘여명의 눈동자’는 1991년 10월부터 이듬해에 걸쳐 MBC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로 1943년부터 1953년까지 조선반도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남녀 3명을 주인공으로 그렸다. 여주인공 여옥은 위안부였다. ‘여명의 눈동자’는 “평균 시청률 44. 3%”의 인기 드라마로, “드라마를 통해 위안부의 존재가 공공연히 되어 대중적 관심의 표적이 됐다”고 한다(구로다 가쓰히로(黒田勝弘), ‘한국 반일 감정의 정체(韓国反日感情の正体)’, 52페이지)


이야기를 기사로 돌리면, “(어머니는) 일본인 여선생 이케다와 만난 것이 분노를 부른 것 같아 후회의 빛이 역력했다. 옛 선생님은 보고 싶었다, 걱정했다, 미안해요라며 짧은 사과를 했다고 한다. 그러나 어머니의 깊은 한은 그 사과 한 마디로 씻겨 내려가지 않았다”고 적혀 있다. 

이 제자는 공장에서 일하고 있었을 뿐인데, 마치 위안부가 된 것처럼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글쓰기를 하고 있다. 

사실과 괴리되어 ‘12살 정신대원’은 확산되어 간다. 조선일보의 명물 칼럼 ‘이규태코너’는 “심지어 12살 초등학교 아이까지 데리고 가 성적 위안부로 삼고 수십만 명을 희생물로 바쳐”라고 쓰고 있다(17일자 ‘일본인의 인신 사채(私債)’). 

다음으로 12살의 정신대와 아사히의 관계에 대한 것이다. 

교사 출신인 여성이 한국에 와 학적부를 확인한 것은 앞서 말한 1월 14일자 중앙일보 기사에 따르면 1991년 7월로 나타났다. 

전 교사가 한국에서 제자를 찾아낼 수 있었던 이유는 “90년 9월 21일 오사카에서 전쟁반대 집회가 열려 나의 설득으로 근로정신대로 간 제자를 걱정한다고 말씀드렸더니 취재하러 온 도야마 TV가 찾아주었기” 때문이다(92년 1월 15일자 중앙일보 ‘배불리 먹을 수 있는 유혹, 일본인 교사 이케다 씨 인터뷰’). 

한 전직 교사가 서울에 간 것과 같은 해 9월 16일 아사히신문 오사카판에는 ‘제자를 여자정신대로(편지 여자들의 태평양전쟁)(教え子を女子挺身隊に…(手紙 女たちの太平洋戦争))’라는 제목으로 그녀의 편지가 실려 있다. 이 중에는 서울에 갔을 때의 에피소드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이 운동에 모든 것을 걸고 계신 윤 선생(윤정옥, 전 이화여대  교수) 댁에 갔을 때 “정신대에 응모한 사람 중 조금 나이 든 사람은 종군위안부에 보내진 거야”라는 말을 듣고 놀랐습니다. 몰랐습니다. 종군위안부들의 고통을. 그리하여 제자들의 지난 46년간의 고뇌를.


윤정옥 씨는 위안부 문제를 내세워온 정대협의 중심인물이다. “정신대에 응모한 사람 중 조금 나이 든 사람은 종군 위안부에 보내진 거야”라고 명쾌하게 말하지만, 여기에서는 그 근거를 짐작할 수 없다. 

92년 1월 16일자 아사히신문 오사카 판은 ‘비판 강해지는 한국 여론 ’초등학생까지 위안부로. . . ’(批判強める韓国世論『小学生まで慰安婦に…』)’라는 표제로 “한국 언론의 대일 비판이 더욱 심해졌다”, “국민의 대일감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라고 썼다. “한국 언론에서는 정신대가 곧 종군위안부라고 파악하는 일이 두드러지면서 한국 국민의 대부분은 “‘일본이 초등학생까지 위안부로 삼았다’고  받아들이고 있다”고 쓰고 있지만, 전년에 아사히신문이 이 사건을 게재하고 정신대가 곧 위안부로 쓰고, 오해를 확산시킨 일은 언급하지 않았다. 

‘프로파간다’의 효과(プロパガンダの効果)

‘12살 정신대’의 보도 타이밍은 일본에게는 최악이었다. 미야자와 총리의 방한은 이제 이틀 후인 16일로 다가오고 있었다. 미야자와 총리의 서울 체류 중 한국일보에 요시다 세이지 씨의 증언이 실렸다. 

위안부 모집은 노예사냥식으로 강요로 체포, 위안소는 일본 정부가 관리……사람이 살 수 없는 곳에 가두고 하루 수십 명씩 군인을 상대로 한 집단 강간. . . ,

노무보국회는 공단 및 공사 같은 국가 기관……전국 회장은 귀족원 의원 요시다 시게루 전 총리. . . 

위안부는 처음부터 극비 사항이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문서는 없었다고 생각된다.(92년 1월 17일자 한국일보 (‘‘징용의 귀신’ 요시다 세이지 본지 증언 내용’)


라고 쐐기를 박듯 일본의 만행과 악랄함을 말했던 것이다. 

미야자와 방한 모습을 한국 신문들은 “미야자와 총리가 서울에 오기 며칠 전부터 뜨겁게 달아오르기 시작한 정신대 논쟁이 언론을 뒤덮고 있다”(17일자 한겨레 사설),  “미야자와 총리가 오자 눈 내리는 거리에는 삼엄한 경비가 펼쳐졌고 신문들은 모두 국민학교 여자아동 정신대 기사로 난리다”(18일자 경향신문 칼럼)라고 표현했다. 

미야자와 총리 방한 중 2번째 정상 회담 75분 중 22분간이 위안부 문제로 소요되고, 그 사이에 총리는 여덟 차례 사과했다고 청와대가 무례하게도 기자회견에서 발표했다. 

대일 무역적자 시정과 기술이전을 요구했던 한국은 이들 문제에서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일본에서 보면 대일 무역적자는 한국의 경제구조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기술이전은 민간차원의 이야기였다. 위안부 문제에 관해서는 예상이 빗나갔다고 할 수 있고, 사과해도 사태를 수습할 수 없었던 것은 손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1월 18일자 중앙일보 사설은 ‘한일 정상, 무엇 때문에 만났는가’라고 썼을 정도다. 

원래 이 시기에는 냉전 종식, 전년의 남북 유엔 동시 가입, 북핵 문제, 일조(日朝) 교섭의 진전 등 대국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이 있었다. 

92년 1월의 이 일련의 사건들은 일한(日韓)관계사에 남을 것이다. 가장 큰 상처는 사실오인에 근거한 위안부 문제로 양국 국민의 감정의 골이 깊어진 것이다. 위안부 문제가 성(性) 문제와 관련이 있었기 때문에 서로의 모멸감, 증오는 한층 강해진다. 

나아가 전후 일한관계의 출발점인 1965년 조약을 뒤흔드는 사태가 나타난 점, 한국에 새로운 반일 카드를 주어 버린 점은 장래의 화근을 남겼다. 이 한 건으로 일한관계는 상당히 훼손된 것이다. 

확실히,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성공”했다고 말할 수 있다. 

국제적 확산의 조짐(国際的な広がりの兆し)

더욱 심각한 것은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영향이 일한 간에 그치지 않고 국제적인 확산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미야자와 방한 이후 한국 신문들은 서구 언론의 인용을 늘렸다. 

동아일보는 1월 20일 ‘미국 언론, 정신대 만행 관심, WP 사설, 일 정부개입 인정, 책임져야’에서 다음과 같이 인용했다. 

워싱턴 포스트지는 18일 ‘위안부, 야만 행위’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서 “이것은 전쟁때 흔히 일어나는 단순한 잔학 행위가 아니라 일본제국군대 스스로가 고무, 지원한 전쟁의 추악한 얼굴”이라고 지적하고 “잔인한 죄과를 숨김없이 인정해야할 책임이 일본 정부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야자와 일본 수상이 한국 국회에서 연설한 지난주까지 일본은 일본군의 여성 유린이 상인들의 개인적 죄악이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고 비난했다.


29일자 동아일보 ‘미 언론, 정신대 만행, 맹공격, 있을 수 없는 인권유린’은 16, 18일자 워싱턴포스트, 27일자 뉴욕타임스를 인용한 뒤 이렇게 썼다. 

정신대 문제에 대한 미국 언론의 반응에 관심이 가는 것은 무엇보다도 일본 정부의 태도를 촉구해나가는데는 국제적인 여론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정신대 문제에 제삼국 정부가 관여하는 것은 우스운 일이지만 그 문제를 두고 국제적인 공감대가 조성된다면 그것은 일본에 대한 압력이 될 수 있다. 한일 양국 간에 벌어지고 있는 단순한 갈등이라는 측면이 아니라 이처럼 복합적인 요소들이 가미된 시각에서 사태추이를 추적하고 있다. 


위안부 문제의 미국으로의 파급을 예언한 듯하다. 상기의 미국 신문 세 기사에 대해서는, 제1장에서도 언급되었다. 





또한 1월 22일자 중앙일보에서는 ‘정신대 배상 문제, 유엔 상정 추진, 대책협 기자회견’이라고 언급하며 유엔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보였다. 

독일의 신문을 인용해 1월 21일 경향신문은 ‘일 정신대, 46년간 발뺌, 배상회피는 뻔뻔한 자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는 정신대 문제에 지난 46년간 엉터리 주장을 거듭, 발뺌하던 일본이 마침내 사실을 인정한 것은 최초로 정의가 승리한 역사적인 일이라고 지적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손해배상을 회피하는 것은 과거의 뼈아픈 역사에 대한 통찰이 없는 뻔뻔한 자세라고 비판했다.


1월 22일자 동아일보 1면 칼럼 ‘횡설수설’은 영국의 더 타임스를 인용해 이렇게 썼다. 

정신대 만행은 이제 세계적 비난의 표적이 되고 있다……차마 옮기기가 주저될 정도의 끔찍스런 만행실태를 낱낱이 보도, 일제의 잔혹성을 인류의 양심에 고발하고 있다. 한 일본 군인은 정신대원이 지쳐서 성관계를 거부하자 폭력으로 정신대원의 하반신에 깨진 병을 집어 넣었다고 이 신문은 보도했다.


이렇게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영향이 구미로 확산된 것이다. 





일과성이 아닌 영향(一過性ではない影響)

1991~1992년 당시 한국에서 위안부 문제의 근거가 된 사항은 아직도 살아 있다. 

2012년 8월 30일자 조선일보 사설은 노다 총리, UN서 ‘일본군 성노예 없었다’ 연설해보라’고 하면서 이렇게 썼다. 

1992년 요시미 요시아키 일본 주오대 교수는 일본군이 위안부를 모집할 때 유괴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했다는 내용이 담긴 1938년 일본 육군성 작성 ‘군 위안소 종업부 등 모집에 관한 건’이라는 문서를 공개했다. 이를 뒷받침할 일본인의 증언도 속속 이어졌다. 1942년부터 3년 동안 야마구치현 노무보국회 동원부장으로 일했던 요시다 세이지는 “육군성은 ‘성전을 위해 대의멸친하는 시책’이라고 이름 붙인 극비 통첩을 발부해 조선 여자들을 위안부로 동원했다”며 “1943년 5월 17일 시모노세키를 출발해 제주도에 도착해 ‘처녀 사냥’에 나섰다”고 증언했다. 그는 “위안부에 관한 일은 모두 군사기밀로 분류됐다”고 했다. (니시오카 쓰토무 일본어 번역)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는 계속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요시다 증언이 허위라고 판단된 후에도 ‘근거’로서 거론되는 것은 중대하다.


이 지점에서 한국의 역사 교과서에 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이영훈(李栄薫)의 연구에 따르면 교과서가 처음 정신대를 언급한 것은 1952년이다. 이 시점에서 정신대와 위안대의 혼동은 없었으며, 1960년대 초반까지도 둘의 구분이 존재했다. 이영훈의 표현을 빌리면 “(당시까지) 정신대와 위안부를 동일시하는 한국인의 집합적 기억은 성립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1968년에는 정신대와 위안부가 겹치는 것 같은 기술이 나타나지만 오래가지 않았고 그 후 1978년까지 정신대와 위안부에 대한 기술은 보이지 않는다. 1979년 교과서가 국정으로 될 때 “(일제는) 학도지원병제와 징병제를 실시해 우리 학도와 청년을 전선으로 데려갔고 심지어 젊은 여성들까지 산업시설과 전선으로 압송해 갔다”고 표현하게 되었다. 그 다음번 국정교과서는 1983~96년으로 “우리나라 여성들까지 침략전쟁의 희생으로 삼았다”는 표현으로 되어 있다. 

획기적인 것은 1997년이다. 이 해 “일제는 (중략) 강제징병제와 학도지원병제를 실시했다. 여기에 많은 한국의 청장년들이 각 지역 전선에서 희생됐다. 이때 여성도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연행되어 일본군 위안부로 비인간적인 생활을 시켰다”고 표현되어 있다(이영훈, ‘국사 교과서에 그려진 일제의 수탈의 양상과 그 신화성’, ‘동아시아 역사 인식 논란의 메타 히스토리’에 수록). 

물론 이러한 한국 교과서 기술의 변화가 아사히신문의 영향이라고 가볍게 말할 수 없지만 적어도 한국 교과서에 ‘위안부 강제연행’과 ‘정신대가 곧 위안부’라는 기술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은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이후라는 점은 지적해도 좋을 것이다. 

참고로 현재 사용 중인 것으로 보이는 교과서 ‘중학교 역사(하)’(두산동아, 초판 2012년, 2쇄 2013년)는 칼럼 ‘역사자료실’에서 “성노예. . . 생활을 강요당한 일본군 ‘위안부’”이라는 제목을 달고 위안부 여성에 대해서 싣고 있다(79페이지). 그 삽화에는 여성이 그린 ‘끌려간 날’이라는 제목이 붙었다. 한복에 조선식 머리를 한 가냘픈 소녀가 팔을 붙잡혀 꽃밭에서 끌려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끌고 가는 사람은 팔밖에 보이지 않는다. 같은 일러스트는 ‘고등학교 한국사’(삼화출판사, 초판 2011년, 2014년 제4판, 276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강제연행, 성노예의 이미지는 계속 확산되고 있다. 



2011년 8월 30일 한국 헌법재판소는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위안부 보상을 요구하는 외교협상을 하지 않는 것을 헌법 위반이라고 결정을 내렸다. 이에 근거하여 한국 외교통상부는 일본 정부에 대해 일본이 위안부에게 보상을 하는 문제에 대한 외교 교섭을 계속 요구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일본 측은 그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반면 이명박 대통령은 노다 총리에게 격렬히 해결을 요구하다가 다케시마(竹島) 상륙 강행이라는 압력 행사까지 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일본이 위안부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일한수뇌회담을 거부하고 외국 정상에 대해서 일본 비판을 하고 있다. 일한관계 악화의 원인을 제공한 헌법재판소 결정에서는 첫머리의 사건 개요에서 “청구인들은 일제에 의해 강제적으로 동원되어 성적 학대를 받고 위안부로서의 생활을 강요받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다”라고 썼다. 이 인식을 전제로 하여 의견 결정이 내려졌다. 아사히의 ‘92년 1월 프로파간다’가 만들어낸 강제연행, 성노예의 이미지가 의견 결정의 전제였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을 생각하면, 제3자위원회 보고서에서 오카모토 유키오(岡本行夫) 씨, 기타오카 신이치(北岡伸一) 씨가 “일본군이 직접 집단적 폭력적 계획적으로 많은 여성을 납치하고 폭행하고 강제로 종군위안부로 삼았다는. . . 이미지의 정착에 요시다 증언이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없을 것이고, 아사히신문이 이런 이미지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증거도 결정적이지 않다”(52쪽)라고 쓴 부분은 한국의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 이 두 사람이 “(그러나) 한국의 위안부 문제에 대한 과격한 언설을 아사히와 기타 일본 미디어가 이른바 엔도스(배서(裏書))해 왔다”(52쪽)고 말하는 점은 확실히 그러한 부분도 있다. 그러나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아사히신문이 시동을 건, 혹은 조심스럽게 말해도 그것을 유발한 한국의 과격한 언설을 아사히 등이 재차 뒷받침한 것이다. 

1991년부터 92년까지의 소동의 영향은 일회성이 아니었다. 적어도 2012년까지 한국의 신문 기사와 사설에 요시다 증언이 반복하여 위안부 강제연행의 근거로 등장했으며 한국 신문은 여전히 그 기사와 사설을 취소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結論)

“일제는 만행을 저질렀다”는 것이 우리의 암묵적인 이해다. 일본시대를 알고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표면적으로 그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소수파다. 한쪽에서는 그 시대를 모르는 한국인들은 만행이 있었다고 믿고 있다. 당연히 시대가 지날수록 일본시대를 모르는 사람은 늘어난다. 일본을 논할 때는 사실관계보다 이미지나 감정이 우선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일본은 야만적이고 성적인 도덕이 낮은 나라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또 역사적으로 여성이 대륙의 이민족에게 공물처럼 끌려갔던 경험이 강제연행의 스토리와 잘 맞아떨어질는지도 모른다. 

그런 사회에서 ‘위안부 사냥’의 이야기가 던져졌을 경우에 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난리가 날것은 상상하기 어렵지 않다. 요시다 세이지 등의 ‘증언’은 한국인에게 위안부에 대해서 일정한 이미지를 만들었고, 위안부 강제연행을 뒷받침하는 핵심 증언이 되어 간 것은 이미 본 대로이다. 

한편 일본 측에는 일본은 어디까지나 나빴을 뿐이고 선량한 조선반도 사람들에게 몹쓸 짓을 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양심적 일본인으로서 한국에서는 환영받고 있다. 양심적 일본인의 역사관과 한국 측 역사관은 친화성이 있다. 피해자와 가해자 각각의 역할은 플러스와 마이너스처럼 딱 맞기 때문에 위안부 문제는 한국에 쉽게 침투하고 근본이 부정된 뒤에도 재생산을 계속하는 것이다. ‘양심적 일본인’ 입장에서 발신하는 매체로서 아사히신문의 존재는 컸던 것이 아닐까. 

90년대 초 일본 자신이 경제적인 성공을 거둔 뒤 정부, 국민 함께 자만하고 방심하여 스스로를 지키는 의식이 없었던 것, 나라 전체가 지나치게 속죄의식을 갖고 있었던 것이 ‘위안부 문제=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에 대한 서투른 대응을 초래했다. 

이러한 사정을 포함하여 생각한다고 해도, 제3자 보고서에 있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아사히신문 보도의 영향의 존재 여부는 위안부 문제의 일부분에 불과하다”(82페이지)고 생각하기 힘들다. 

지금까지 누누이 얘기했듯이 아사히신문 보도가 한국에 영향을 미친 것이 분명하므로 오히려 위안부 문제의 ‘출발점’이라는 게 적합하다. 


제3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유엔에 미친 영향
(第3章「92 年 1 月強制連行プロパガンダ」の国連への影響)

- 카츠오카 칸지(勝岡寛次) (집필 담당) -

제3자위원회 보고서에 결정적으로 결여되어 있는 것(第三者委員会報告書に決定的に欠けているもの)

아사히신문사 제3자위원회는 “조사 대상 사항”의 하나로, “아사히신문이 실시한 위안부 보도가 일한관계를 비롯한 국제관계에 미친 영향”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보고서 1쪽), 유엔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무시하고 언급하지 않고 있다. 

총론에서도 말한 대로 원래 제3자위원회 보고서에서는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개개의 위원들(오카모토 유키오(岡本行夫) 위원, 기타오카 신이치(北岡伸一) 위원, 하타노 스미오(波多野澄雄) 위원, 하야시 카오리(林香里) 위원)이 각각의 견해를 개별적으로 말하는데 그쳐 위원회로서의 통일된 견해는 아무 것도 나타나지 않았다.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가 “국제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검증하는 것은 아사히신문사가 이번 제3자위원회에 위탁한 가장 큰 위임 사항의 하나가 아니었던가. 제3자위원회 보고서가 개별 위원에 의한 제각각의 견해를 병기했을 뿐더러 적당히 얼버무린 것(영향 정도에 대한 위원들의 견해는 전혀 다르다)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태도라고 해야 한다.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준 국제 사회에의 영향의 유무를 생각할 경우 하나의 커다란 기둥이 되는 것이 유엔의 ‘쿠마라스와미 보고서’(1996년)임은 다수의 견해에서 일치하는 바이다. 예를 들어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2014년 9월 5일 기자회견에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일부가 아사히(朝日)신문이 취소한 기사의 내용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은 틀림없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보도가 유엔에 미친 영향의 유무에 대해서, 제3자위원회가 무시 내지 등한시하고 있는 것은 또한 보고서의 중대한 흠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은 하타노 스미오 위원과 하야시 카오리 위원이지만, 하타노 스미오 씨는 이 보고서에 대한 아사히의 논조를 분석하여 아사히의 보도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를 “전면적으로 지지했다”, “국가 보상만이 유일한 길인 것처럼 논하고 있다”는 등을 서술하고 있다(보고서 66페이지). 그러나 아사히의 과거 위안부 보도가 이 보고서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의 검토는 전혀 하지 않았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는 오늘날 전 세계로 확산된 ‘성노예’이라는 용어 및 일본군이 마치 ‘노예사냥’을 하듯이 위안부를 조직적으로 ‘강제연행’ 했다는 인식을 국제 사회가 널리 인지하게 된 단서가 된 것으로, 후의 미국 하원 결의(2007년)와 2010년 이후 미국 각지에 건립되고 있는 위안부 비문에도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다. 하야시 카오리 씨는 ‘성노예’라는 말이 확산된 원인으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와 관계되고, 게다가 거기에 아사히의 요시다 증언 기사가 영향을 주었다”는 ‘논법’은 그가 행한 구미(서양) 신문에 대한 정량분석에 의해서는 “인정되지 않았다”고 말하고, 두 개의 영향관계에 부정적이다.(보고서 별지 자료 2, 하야시 카오리(林香里), ‘데이터로 보는 ‘위안부’ 문제의 국제 보도 상황(データから見る『慰安婦』問題の国際報道状況)’, 31페이지). 하야시 카오리 씨의 말대로 “‘성노예’라는 단어는 90년대 이후 페미니즘 운동에 의해 의제로 설정된 세계적인 성폭력이나 인신매매 반대운동의 확산 속에서 서서히 침투했다”는 측면은 있지만, 아사히의 요시다 증언 기사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우리는 본다. 

따라서 본 독립검증위원회에서는 사태의 중요성에 비추어,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와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의 관계를 중심으로 독자적 검증을 시도하고자 한다. 

위안부 ‘강제연행’에 관한 아사히의 첫 보도와 ‘나의 전쟁 범죄’의 관계(慰安婦「強制連行」に関する朝日の初報と、『私の戦争犯罪』の関係)

위안부 ‘강제연행’, ‘종군위안부 사냥’에 관한 요시다 세이지 증언을 처음 세상에 소개한 것은 아사히신문 오사카 본사판의 82년 9월 2일자 기사였다. 

‘조선의 여성 나도 연행/전 동원 지도자가 증언/폭행 가해 억지로/37년만에 위기감에서 침묵 깼다(「朝鮮の女性 私も連行/元動員指導者が証言/暴行加え無理やり/37 年ぶり 危機感で沈黙破る)’라는 충격적인 제목을 붙인 이 기사는 오사카에서 전날(9월 1일)의 요시다의 강연 내용을 소개한 것이지만 위안부 ‘몰이’의 모양을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과거 조선인 강제연행을 지휘한 동원 부장이 비참한 ‘종군위안부 사냥’의 실태를 증언했다. (중략) / 이 날, 오사카·나니와 해방 회관에서의 집회에서 연단에 선 요시다 씨는 “체험한 것만 말씀 드리겠습니다”라고 말을 꺼냈다. / “조선인 위안부를 황군 위문 여자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전선에 내보냈습니다. 당시 우리는 징용이라 하지 않고 ‘몰이’라는 말을 썼습니다.” 그리고 1943년 초여름 제주도에서 200명의 젊은 조선여성을 ‘몰이’할 때의 상황이 재현되었다. / 조선남성의 저항에 대비하기 위해 완전무장의 일본인 10명이 동행했다. 마을을 찾아내자 먼저 군사가 포위한다. 이어서 요시다 씨의 부하 9명이 일제히 돌입한다. 젊은 여자의 손을 비틀어 골목으로 끌어낸다. 이렇게 해서 여성들은 잇달아 덮개가 있는 트럭에 처박혔다. 연행 도중 병사들이 덮개 안으로 뛰어들어 집단 폭행했다. 연일, 닥치는 대로 몰이가 계속되었다.


이 기사에 대해서, 전 아사히신문 외보부(外報部) 차장이었던 나가오카 노보루(長岡昇) 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 기사를 시작으로 대대적인 위안부 보도를 벌이며 다른 신문들이 추종하기도 하고, 큰 흐름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는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총리의 한국 대통령에 대한 공식사과(1992년)와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의 ‘사죄와 반성의 담화’ 발표(1993년)로 이어져 유엔의 인권문제를 다루는 위원회에서 거론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 첫걸음이 “거짓증언이었다”라고 하니 기사를 취소하면 그만입니다.(나가오카 노보루(長岡昇), ‘위안부 보도, 32년 후의 기사 취소(慰安婦報道、32 年後の記事取り消し)’, 메일 매거진 ‘코시라카와 통신 18(小白川通信 18)’, 2014년 8월 31일자)


아사히신문의 허위 보도가 보증문서를 만들어 준 모양이 되어, 요시다 세이지는 그 뒤 강연 여행과 저서의 판매에 노력했습니다.(나가오카 노보루, ‘위안부 보도 제일의 책임자는 누군가(慰安婦報道、一番の責任者は誰か)’, 전술 ‘코시라카와 통신 19(小白川通信19)’, 2014년 9월 6일자)


아사히의 “보증문서”로 요시다가 판매에 노력했다는 여기서 말하고 있는 ‘저서’란 ‘나의 전쟁 범죄 조선인 강제연행’(私の戦争犯罪 朝鮮人強制連行, 산이치쇼보(三一書房), 1983년, 요시다의 두 번째 책)이다. 요시다는 전작(처녀작)인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朝鮮人慰安婦と日本人, 신진부쓰오라이샤(新人物往来社, 1977년)에서는 ‘노예사냥’과 같은 위안부 ‘몰이’는 언급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는 제주도에서 ‘노예사냥’처럼 ‘위안부 사냥’에 종사하였다는 정반대의 주장을 하고 있다. 

일본인 징용과는 그 취급이 달랐으며, 조선반도에서의 징용은 ‘노예사냥’처럼 행해지고 있었다. /…나는 조선인들에 대해 ‘노예사냥’을 ‘신도(臣道)실천’ ‘멸사보국’의 일본정신에 의한 ‘애국심’으로 행했다.(앞 서술, 3쪽) 나는 즉시 부락 내 여자의 사냥을 명령했다. (중략) 대원이나 병사들은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울부짖는 여자를 양편에서 감싸고 팔을 잡고 차례로 골목길로 끌고 나왔다. 젊은 처녀만 여덟 명을 붙잡았다. (중략) 병정 뒤에서 대원들이, “아이고” 울음소리를 지르는 여덟 명의 처녀를 끌고 갔다. (중략) 대원이 처녀들을 붙잡고, 손을 비틀고 트럭으로 끌고 가, 덮개 안으로 밀어 넣자, 징용대는 즉시 출발했다. / 해안가의 간선도로를 5, 6킬로미터 동진하자, 다니(谷) 군조(軍曹)가 트럭을 바위산 그늘의 숲 속으로 들어가게 했다. / 해안가의 간선도로를 5, 6킬로미터 동진하자, 다니 군조가 트럭을 바위산 뒤에 있는 숲 속으로 끌고 들어가며 말했다. / “위안부의 징용, 경비는 병사들이 부수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삼십 분을 쉬게 하겠습니다.” / 그의 잠시 쉬어가라는 명령은 병사들을 기쁘게 했다. 처녀들을 실은 트럭에서 대원들이 내리자 병정들이 일제히 덮개 속으로 몰려 들어갔다. 처녀들의 비명이 터지자 대원들은 웃었다. 이 처녀들은 징용되자마자 군인들을 위한 위안부가 되어버렸다.(제3화 ‘제주도의 ‘위안부 사냥’(済州島の「慰安婦狩り)’, 107~110페이지)


요시다의 사연은 아사히의 최초 보도 기사와 대동소이하지만 더 자세하게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아사히의 거짓 보도가 ‘보증’을 해 준 모양이 되어, 요시다의 이야기는 ‘노예사냥’, ‘위안부 사냥’으로 크게 부풀었던 것이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출처의 검토(クマラスワミ報告の出典の検討)

한편 유엔의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를 보면 요시다의 ‘나의 전쟁범죄’를 직접적인 전거로 삼은 대목이 있다. 

29. …Moreover, the wartime experiences of one raider, Yoshida Seiji,are recorded in his book, in which he confesses to having been part of slave raids in which, among other Koreans, as many as 1,000 women were obtained for "comfort women" duties under the National Labour Service Association as part of the National General Mobilization Law. 10/

(10/ Yoshida Seiji, My War Crimes: the Forced Draft of Koreans, Tokyo, 1983. )

29. . . 강제연행을 한 사람인 요시다 세이지는 전시 중의 체험을 쓴 가운데 국가 총동원법의 일부인 국민 근로보국회 아래 다른 조선인과 함께 1000명의 여성을 ‘위안부’로 연행한 노예사냥에 참가했던 것을 고백했다.(주 10)

(주 10: 요시다 세이지, ‘나의 전쟁범죄 조선인 강제연행’ 도쿄, 1983)


여기서 쿠마라스와미가 요시다의 ‘나의 전쟁 범죄’를 전거로 위안부 ‘노예사냥’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중요하다. 지금은 아사히가 스스로 전면 취소하게 된 요시다 세이지라는 인물에 의해 창작된 ‘위안부 사냥’이라는 ‘허위 보도’가 그의 저작인 ‘나의 전쟁 범죄’를 매개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로까지 흘러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는, 상기의 요시다 세이지의 저서에 ‘이의’를 제기하는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씨의 의견도 소개하고 있으므로, 공평을 기하기 위해, 동 보고서의 해당 부분에 대해서도 언급해 두고 싶다. 

40. …Dr. Hata explained that he had visited Cheju-do, Republic of Korea, in 1991/92 seeking evidence and ha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major perpetrators of the "comfort women crime" were in fact Korean district chiefs, brothel owners and even parents of the girls themselves who, he alleged, were aware of the purpose of the recruitment of their daughters. To substantiate his arguments, Dr. Hata presented the Special Rapporteur with two prototype systems of recruitment of Korean women for comfort houses in the years 1937 to 1945. Both models provide that Korean parents, Korean village chiefs and Korean brokers, that is to say private individuals, were knowing collaborators and instrumental in the recruitment of women to serve as sex slaves for the Japanese military. Dr. Hata also believed that most "comfort women" were under contract with the Japanese army and received up to 110 times more income per month (1,000-2,000 yen) than the average soldier (15-20 yen). 

40. . . 하타 박사에 따르면 1991년부터 92년까지 증거를 수집하기 위해 제주를 방문하여 ‘위안부 범죄’의 주된 가해자는 조선인인 지역의 수장, 매춘업소의 소유자, 게다가 소녀의 부모들이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부모들은 딸을 데려가는 목적을 알고 있었다고 하타 박사는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박사는 본 특별보고관 ‘쿠마라스와미’에게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위안소를 위한 조선인 여성의 모집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어느 방법이든 부모와 조선인 이장, 조선인 브로커 즉 민간의 개인이 모든 것을 알고 협력하여 일본군의 성노예로 일할 여성을 모집하는 앞잡이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는 또 대부분의 ‘위안부’는 일본군과 계약을 맺어 평균적인 군인의 월급(한달 15~20엔)보다 110배(1000~2000엔)까지 받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기서 쿠마라스와미는 군과 위안부의 사이에 (직접적인) 계약 관계가 있었던 것처럼 말하지만 하타 이쿠히코 씨는 쿠마라스와미에게 “위안부의 고용 계약관계는 일본군과의 사이에서가 아니라 업자(위안소 경영자)와 맺고 있었다”고 주장한 것이며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는 “나의 논지를. . . 정반대로 왜곡 소개하고 있다”, “미군의 보고서도 무시하고 (위안부와 군 사이에) 고용 관계가 있던 것처럼 곡해된 것은 참으로 뜻밖이다”라고 저서에서 통렬히 비판한다(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위안부와 전쟁터의 성(慰安婦と戦場の性)’, 신초샤(新潮社), 1999년, 268~270쪽). 

이 문제는 위안부가 단순한 창부(娼婦)의 일종인가, 아니면 군에 의한 조직적인 성격을 띤 것이냐는 논란에도 관련된다. 하타 이쿠히코 씨는 쿠마라스와미 본인과 유엔에 정정을 요구했지만 무시당했다고 한다. 쿠마라스와미가 그의 항의를 무시하면서 위안부와 군의 고용 관계를 고집한 것은, 그것을 부정하면 군에 의한 조직적인 ‘강제연행’, ‘노예사냥’이 있었다는 논의의 전제가 무너지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지만, 그 불성실하고 완고한 자세는 유엔의 보고서에 요구되는 공정한 태도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제2장 ‘역사적 배경’은 상기의 요시다 책 외에는 모두 조지 힉스의 저서인 ‘성의 노예 종군위안부(性の奴隷 従軍慰安婦)’(G. Hicks, The Comfort Women. Japan's Brutal Regime of Enforced Prostitution in the Second War, 1995년)에 의거하고 있지만 이 힉스의 저작에 대해서도 하타 씨는 “초보적인 오류와 왜곡투성이이며 구제불능이다”라고 비판하고 있다(하타 이쿠히코, 전게서, 266쪽). 그러나 그 힉스의 저작도 또한 ‘노예사냥’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요시다 세이지의 전게서에 의거하고 있는 것이다. 힉스의 저작(일본어 번역)에서, 그 부분을 인용해 두고 싶다. 

다른 방법이 실패할 경우에는 반드시 노예사냥이 행해졌다. 노예사냥 담당자였던 요시다 세이지는 1938년 자신의 전쟁 체험을 ‘나의 전쟁 범죄 ─ 조선인 강제연행’(산이치쇼보(三一書房))로 출판했다. / (중략) 긴급한 필요성이 있는 경우, 그는 ‘노예사냥대’를 지도하고 수천 명의 남성 노동자와 위안부로 이용할 대략 일천 명의 여성을 사냥했다.(조지 힉스 ‘성의 노예 종군위안부(性の奴隷 従軍慰安婦)’, 산이치쇼보(三一書房), 1995년, 49~50쪽)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에는 요시다의 ‘나의 전쟁 범죄’를 전거로 하여 “강제연행을 했던 한 사람인 요시다 세이지는. . . 1000명의 여성을 ‘위안부’로 연행한 노예사냥에 동참했다는 사실을 고백하고 있다”라고 썼는데, 이것은 직접 요시다 책을 본 것이 아니라 이 힉스의 저작을 보고 쓴 게 아닌가 추측된다. 이는 동 보고의 제2장에 주기(注記)로 언급된 11점의 전거 중 10점은 위의 힉스의 책이고, 이에 대해서는 참조페이지도 명기해 놓았는데도(주 1~9, 11), 요시다의 책(주 10)에 관해서만 참조페이지를 기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 참고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의 주 1~11을 원문대로 인용해 둔다. 

Notes
1/ G. Hicks, "Comfort women, sex slaves of the Japanese Imperial
Force", Heinemann Asia, Singapore, 1995, pp. xiii, 24, 42 and 75. 
2/ Ibid. , p. 23. 
3/ Ibid. , p. xvi. 
4/ Ibid. , p. 115. 
5/ Ibid. , p. 19. 
6/ Ibid. , p. 29. 
7/ Ibid. , pp. 20, 21, 22 and generally. 
8/ Ibid. , pp. 23-26 (and elsewhere in the testimonies of the "comfort women" themselves). 
9/ Ibid. , p. 25. 
10/ Yoshida Seiji, My War Crimes: the Forced Draft of Koreans, Tokyo,
1983. 
11/ Ibid. , pp. 24-25. 


아마 쿠마라스와미는 힉스 책을 보고 그것에 전적으로 의거하는 형태로 제2장의 위안부의 ‘역사적 배경’을 썼겠지만, ‘노예사냥’에 대해서는 힉스가 요시다의 책을 전술한 것과 같은 형식으로 소개하고 있는 것을 보고 재인용의 형태로 출전에 추가하였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주 10번의 요시다 책에서만 참조페이지가 빠진 이유를 알 수 없다. 

힉스도, 쿠마라스와미도 일본어를 읽을 수 없기 때문에 직접 요시다 책을 본 것은 아니다. 힉스 책의 감사의 말을 보면, 재일조선인인 이유미 여사에게 “본서에 기록한 정보의 80%를” 받았으므로(앞의 게시서, 287쪽), 아마 요시다 책의 정보도 그 안에 포함되어 있었을 것이다. 쿠마라스와미는 힉스의 책에 전적으로 의존하면서 그런 모호한 정보만으로 노예사냥 이야기를 썼다. 1996년 당시 위안부에 대해서 쓰여진 영문의 정리된 저작은 힉스 책(1995년)뿐이었으니 그것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상의 검토로부터 판명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가 군에 의한 조직적인 위안부 ‘강제연행’이라는 ‘역사적 배경’의 전거로 채용한 것은 힉스 책과 요시다 책 뿐이었다. 그러나 그 힉스 책도 ‘노예사냥’에 대해서는 요시다 책에 의거하고 있으며, 결국 요시다의 ‘나의 전쟁범죄’의 ‘노예사냥’, ‘위안부 사냥’의 이야기가 힉스 책을 통해서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에 영향을 준 것이다. 게다가 그 요시다 책의 기준이 된 것은 아사히가 처음 보도하고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로 거듭해서 보도한 위안부 ‘몰이’의 허위 보도인 것이다. 

이상을 시계열로 나열하면 아사히의 최초 보도(1982년) → 요시다의 책(1983년)  아사히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  힉스의 책(1995년)  쿠마라스와미 보고서(1996년)라는 영향관계가 뚜렷히 성립하게 된다. 아사히의 초기 보도가 허위 보도인 이상 요시다의 책도, 힉스의 책도,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도 모두 허위 보도이다. 따라서 아사히신문사는 유엔에 대해, 쿠마라스와미 보고서가 전거로 한 요시다 증언은 ‘허위 보도’라고 하여 철회를 신청할 중대한 국제적 책무가 있다고 생각한다. 

아사히는 자사의 오보에 대한 중대한 국제적 책임을 자각해야(朝日は自らの誤報が与えた重大な国際的責任を自覚すべし)

아사히신문의 와타나베 마사타카(渡辺雅隆) 사장은 제3자위원회 보고서를 받은 2014년 12월 26일의 기자회견에 임해서도 “국제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영향이 있었다는 지적으로부터, 지극히 한정적이라는 지적까지 폭넓게 있었다. 이 문제는, …매우 어려운 문제가 여러 가지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했을 뿐 자사 위안부 보도가 국제 사회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인정조차 하지 않았다. 

무책임이 크다고 말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원래 쿠마라스와미 보고서가 위안부 ‘강제연행’, ‘노예사냥’의 유일한 전거인 요시다 증언은 아사히의 오보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사히가 그 오보에 의해서 ‘보증’을 주지 않았다면, 원래의 요시다 책 자체도 존재했을지도 의심스럽다. 비록 존재했다 하더라도 하타 이쿠히코 씨 등의 현지조사(1992년)에 의해 93년 이후에는 아사히 스스로도 요시다 증언의 신빙성에 의문을 품고 있었던 것이기 때문에, 그때 요시다 증언을 ‘허위보도’로서 취소했다면 그 후의 힉스의 책(1995년)은 없었을 것이고 쿠마라스와미 보고서(1996년)도 없었을 것이다.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만이 아니다. 예를 들면, 아사히가 과거 위안부 기사를 검증한 제 1차, 97년이었더라도 좋았다. 만약 아사히가 그때 요시다 증언을 ‘허위 보도’로서 취소하고 국제사회를 향해 그것을 발신했다면 쿠마라스와미의 영향을 받아 “일본 정부와 일본제국군은 20만 이상의 아시아 여성을 강제로 아시아 각지의 강간센터의 성노예로 삼았다”는 유엔의 맥두걸 보고서(1998년)도 없었고, 일본 정부에 대해 일본군이 ‘성노예제’를 강제한 것을 인정하고 사죄하고, “이 무서운 범죄에 대해 현재 및 미래 세대에게 교육해야 한다”고 권고한 미국의 하원 결의(2007년)도 없었을 것이다. 또 오늘날 미국 전국 각지에 세워지고 있는 “일본제국 군대에 의해 성노예 상태로 된 20만 명 이상의. . . 여성을 기념하여”(뉴저지 팰리세이즈 파크의 위안부 비문)라는, 다른 듯 하지만 대체로 같은 위안부 비문들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아사히는 최초의 보도(1982년) 이후 2014년까지 요시다 증언을 취소하지 않았다. 그때그때 취소하고 사과할 기회는 얼마든지 있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 아사히는 스스로의 책임을 외면하고 오보를 고의로 방치했다. 오늘의 사태는 그 아사히에 의해 초래된 것이다. 자신의 오보에 대해 책임회피와 논점 바꿔치기와 은폐로 일관한, 그러한 아사히의 자세야말로 일본군의 조직적 ‘강제연행’, ‘노예사냥’, ‘성노예’라는 허위보도가 해외에서 돌아다니게 하고 더욱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아사히신문의 책임은 지극히 막중하다. 아사히는 요시다 증언을 ‘오보’로 모두 취소한 이상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의 전면 철회를 유엔으로 가서 재촉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위안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오해를 바로잡고자 한국과 미국의 주요 언론 모두에 사과 광고를 신청하는 사회적 의무와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제4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북미에서의 실제 피해
(第4章 「92 年 1 月強制連行プロパガンダ」の北米での実害)

- 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집필 담당) - 

총론에서 말했듯이 미국 각지에 설치된 위안부 기림비의 비문이나 미국의 역사 교과서에도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영향을 주고 지역 주민들에게 깊은 균열을 가져오고, 일상생활에서 괴롭힘과 따돌림, 종교 활동상의 어려움 등의 실제의 손해가 생기고, 많은 재미일본인이 정신적 고통을 받기까지 사태는 악화되고, 미국에서 구체적인 피해를 입은 일본인이 개별 원고가 된 아사히신문 ‘위안부’ 오보 소송이 제기됐다. 

전국 각지에 설치된 위안부 기림비·상(碑·像)(全米各地に設置された慰安婦碑・像)

우선 전국 각지에 퍼진 기림비·상(碑·像)에 대해서 보고한다. 미국의 위안부 기림비는 2009년경부터 주로 한국계 주민에 의해 설치가 진행되고, 한인단체 주민에 따르면 “종군위안부 같은 반인권적 행위가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미국과 세계에 평화의 중요성을 호소하는” 것을 설치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중국계의 반일 단체인 항일연합회(정식 명칭은 ‘세계항일전쟁사실유호연합회(世界抗日戦争史実維護連合会, Global Alliance for Preserving the History of WW II in Asia)’)와 연계한 한인단체가 일본계 미국인인 미 하원의원 마이크 혼다(Mike Honda) 등과 함께 지역 의원들을 압박해서 실현시켰다. 

이 한인단체에는 뉴욕한인회, 한미공공문제위원회, 한국계 미국인권리향상협회 등이 포함돼 있다. 현지 주민의 의향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설치를 강행하는 케이스도 있어, 정치단체끼리의 주도권 싸움이나 트러블도 일으키고 있다. 

또 한국계 미국인 유권자 협의회(KAVC) 상임이사인 김동석은 기림비 설치 등의 장기적인 의도에 관해서, “미국 사회에 일본의 숨겨진 실태를 폭로하는 것은 장기적으로는 동해(일본해) (개명 문제)와 독도(다케시마)(영유 문제)의 해법이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기림비·상을 각지에 설치하는 목적은 영토 문제 해결을 위한 것임을 밝힌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관점은 매우 중요하다. 

한국 측의 주장은, 사전에 일본 정부와의 조정을 통해 증언할 전직 위안부의 인선까지 한국 측의 요구를 받아들였던 ‘고노 관방장관 담화’에서 노령의 위안부라고 나선 한국인 인물들의 애매한 증언만을 증거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그런 증언은, 과거 한국인 업자에 의한 여성의 유괴 사건이 다발하고 있었으며, “조선인 위안부는 높은 급료로 고용되었던 창부(娼婦)였다”고 하는 1944년 미국 전시정보국(OWI) 심리작전팀의 ‘일본인 포로심문 보고’ 제49호 ‘US office of War Information NO. 49’(버마·미트키나에서 포로로 잡은 20명의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 위안소 업자 2명의 청취 조사 Japanese Prisoner of War Interrogation Report No. 49: Korean Comfort Women)와 정합성이 보이지 않는다. 

참고로 이 보고서에는 “위안부는 매춘부나 군 캠프의 직업 종사자에 불과하다”라고 명기되어 있다. 


또, 글렌데일 시의 비문 외엔 일본인 위안부의 존재는 생략되고 한국계 주민에 의한 기림비·상 설치는 일본과 일본인 자체의 국제적 위상을 폄하하는 목적의 ‘디스카운트 재팬(Discount Japan)’ 운동의 일환이라고 산케이신문(지난해 1월 1일자)은 지적했다. 

위안부 비문에 공통된 키워드는 “일제의 강제연행(납치)”, “위안부 20만 명 이상”, “성노예”이지만, 이는 모두 역사적 사실에 어긋나는 ‘조작’이며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의 영향을 짙게 반영하고 있다. 

2010년 10월 23일, 미국에서 처음으로 설치된 곳은 뉴저지 주 버겐(Bergen) 카운티 팰리세이즈 파크(Palisades Park)의 공립도서관 옆에 자리 잡고 있으며, 팰리세이즈 파크는 한국계 미국인이 주민의 52퍼센트를 차지하는 한인 타운으로, 한국계인 제이슨 김(Jason Kim) 부시장과 의장이 있다. 

2012년 5월 뉴욕 주재 일본총영사인 히로키 시게후미(廣木重文) 대사가 이 비의 철거를 요구했으나 시 측은 이를 거부했다. 5월 10일에 재미일본인을 중심으로 위안부상의 철거를 백악관에 요구하는 시민 청원운동이 시작되었다. 5월 15일 자민당 영토에 관한 특명위원회가 시를 방문해 항의했으나 시장과 부시장은 “숫자는 그보다 많거나 적을지 몰라도 납치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라며 철거를 거부했고, 김 부시장은 “일본 측 주장이야말로 근거가 없다”고 말하고, 의장은 한국계 주민이 많은 22개 미국 자치단체에서 이 같은 기념비 설치 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 특명위원회의 후루야 게이지(古屋圭司) 의원은 근거 없는 일이 점차 기정사실화될 수 있다고 말하고, 현지 일본인들로부터는 일본인 학교 학생들이 범죄자의 후손이라며 인권차별적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위원회는 5월 17일 일본 정부에 설치 철거와 자료공시를 요구했다. 

2012년 6월 16일, 뉴욕 주 나소(nassau) 카운티의 아이젠하워 현충원에 미국 내에서 2번째로 위안부 기림비가 건립됐다. 이 공원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를 기념한 공원으로, 위안부 기림비는 한국계 미국인 공공문제위원회의 이철우 회장의 주도로 이 공원 내의 참전용사기념원에 설치됐다. 이철우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 경영자로 2008년 나소 카운티 정보기술국 부국장, 뉴욕주 통상교섭관 그리고 롱아일랜드 한인회장을 맡고 있다. 이 비(碑)의 상부는 위안부들의 사진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한국의 반일 운동가로서 가수 김장훈 씨와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제작을 지원하였다. 그 뒤 2014년에 같은 장소에 또 두 개의 위안부 기림비가 증축됐다. 

2012년 12월 1일,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카운티 가든 그로브(Garden Grove)에 3번째 기림비가 설치됐다. 기념비 건립비용은 로스앤젤레스와 오렌지 카운티 등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 한인들이 낸 성금과 정부지원금 등으로 충당했다. 

2013년 5월 8일, 한국계 주민들이 많이 살고 있는 뉴저지 주 버겐 카운티 해켄색(Hackensack) 시 법원 옆에 4번째 기림비가 설치됐다. 열한 명의 한국계 고교생들이 한국계 미국인 유권자 평의회(the Korean American Votes' Council)와 함께, 일본군 위안부였다고 하는 조선인을 위해서 아일랜드인,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고난에 빗대어 기림비의 건설을 추진하고, 비한국계 주민을 설득하여 서명을 모은 결과 버겐 카운티는 도서관 등 공공시설의 입구에 설치를 허용했다. 

위안부 기림비 옆에는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비, 아르메니아인 학살비, 홀로코스트비, 아일랜드인의 아사(餓死)비가 다닥다닥 붙어 있어 노예, 학살, 홀로코스트 등과 위안부를 동일시해서 고발하려는 악의가 숨어 있는 것은 명백하다. 

2013년 7월 30일, 한국 서울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조선인 위안부 동상과 같은 동상이 미국에서 최초의 위안부 동상(5번째 기림비)으로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글렌데일(Glendale) 시에 설치됐다. 서울의 일본대사관 앞 동상이 노상에 불법 설치된 반면, 이곳은 글렌데일 시 중앙도서관에 인접한 시유지 공원에 시의 허가를 받아 설치됐다. 설치비용은 한국계 미국인 시민단체가 부담해 만든 것으로, 동상의 대좌(台座) 왼쪽에 동상 설명과 장문의 비문이 삽입되어 있는 점이 한국의 동상과 다르다. 

추진 단체에 설치비용으로 30,000달러를 지불한 한국 글렌데일 부인협회(Korea-Glendale Sister City Association)의 이장(Chang Lee) 씨는 “위안부 기림비는 일본과 한국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는 인도(人道)에 대한 죄여서 우리는 두 번 다시 이런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됩니다”라며 일본 정부는 아직 조선 여성을 강제로 창부로 삼은 것을 인정하지 않고, 2007년 미국 하원 결의가 통과되었어도 일본 정부는 공식사과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2013년 7월 10일, 로스앤젤레스타임스 기사(잭 드랭(Jack Dolan), 최준영(Jung-yoon Choi) 기자)에 따르면, 글렌데일 시는 비의 설치를 “시내 한국계 주민의 조용한 선의”로 허가하고, 비는 소녀상의 옆에 의자가 있고, 거기에는 전쟁 중 8만 명에서 20만 명의 위안부(대부분은 한국 여성)이 일본군 위안소로 연행되어 하루에 50명의 일본군을 상대로 성노동이 강제됐다고 새겨져 있다. 

이 7월 10일 공청회에서는 일본계 주민의 항의와 비판이 있었지만 프랭크 퀸테로(Frank Quintero) 시의회 의원이 “14살의 소녀가 일본군에 봉사하기 위해서 과연 ‘자발적’으로 고향을 떠나겠는가”라고 답변하고, 시 의회는 찬성 4, 반대 1로 위안부 동상 설치를 정식 결정했다

2013년 12월에는 같은 시에 설치된 위안부 동상의 철거를 요구하는 백악관 앞의 서명 활동도 시작되고 주로 미국이나 일본에서 10만 명을 넘는 찬성 서명이 모였지만, 백악관은 “지방의 공원 기념비와 거리 등의 문제는 연방 정부가 아니라 지방 정부의 관할이어서 각 주(NJ, NY, CA)에 문의하라”고 회답했다. 

2014년 1월에는, 스기나미(杉並) 구의 마츠우라 요시코(松浦芳子) 구의회 의원을 대표로 하는 일본의 지방 의원단이 글렌데일 시를 찾아 동 시장에 대해 “일본군이 강제로 여성을 납치하고 위안부로 삼은 사실이 없다”, “허위 선전 때문에 큰 혼란이 생기고 있다”, “사실이 아닌 ‘성노예’라는 말을 비석에 새기고 위안부 동상으로 남기는 것은 장래에 화근을 남긴다”라는 내용의 항의문을 제출했다. 

2014년 5월 30일,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Fairfax) 카운티청 부지 내에 미국 전역에서 6번째의 위안부 기림비가 설치됐다. 이 비의 뒷면에 “합중국 의회는 2007년 7월 30일 하원 121호 결의안에서,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내내 그 식민지와 아시아와 태평양의 섬들의 전시 점령 동안 ‘위안부’로 세계에 알려진 젊은 여성을 성노예 상태에 둔 일본제국 군의 강제에 대해서,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 사과하고, 그리고 명백하게 모호하지 않은 태도로 역사적 책임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만장일치로 결의했다. ― 하원의원 마이크 혼다(CA15)(2007년 1월 31일 제출)”라고 씌어 있는 점이 다른 기림비와는 다르다. 



제막식에서는 조선의 전통무용을 선보이고, 한국의 위안부라는 사람들의 공동시설인 나눔의 집에서 위안부라는 강일출(85세) 씨가 제막식에 참석했다. 그녀는 기념비 앞에서 눈물을 흘리며 일본 정부는 사죄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2014년 8월 4일에 뉴저지 주 유니언(Union) 시에 7번째 기림비가 건립됐다. 제막식 현장에서는 위안부 피해자를 상징하는 마네킹, 피를 흘리는 소녀상 12점의 충격적인 조형물이 눈길을 끌었다. 속옷 차림에 눈을 감은 채 피를 흘리는 소녀, 벌거벗은 허리에 쇠사슬을 두른 소녀, 온몸에 상처를 입고 피범벅이 된 소녀, 입이 천으로 막히고 양손과 양발이 밧줄로 묶인 소녀상 등. 이는 유니언 시 정부가 교육적 의미를 최대한 강조하기 위해 설치한 것으로 브라이언 스택(Brian Stack) 시장은 “29만 명이 넘는 여성들이 받은 고통에 대해 올바른 역사 교육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4년 8월 16일,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시의 북서부에 있는 비즈니스 지구인 사우스필드(Southfield)의 한국인 문화회관 앞마당에 위안부 동상이 설치됐다. 미국에서 두 번째 위안부 동상으로 앞서 한국의 일본대사관 앞과 캘리포니아 주 글렌데일 시에 설치된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밖에도 텍사스 주 휴스턴의 고속도로에는 위안부 여성이 “일본 정부는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하고 보상해야 한다”라고 외치고 있는 사진 간판이 걸렸고, 뉴욕 타임스퀘어의 최대의 전광판에 1일 50회, “Do you hear”라는 제목으로 아리랑 영상의 위안부 관련 광고가 나왔다. 또 재작년에는 뉴욕 주 뉴저지 상하 양원 의회, 일리노이 주 하원 의회에서 잇달아 위안부 관련 결의가 이뤄졌다. 

이어 2014년 8월에는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카운티 푸러톤(Fullerton) 시 박물관에 위안부 동상을 설치하는 의안이 시의회에서 승인되었다. 

이들 기림비·상에 의해, 재미일본계 주민과 재미한국계 주민 사이에 갈등과 증오를 낳고, 그것에 기인하는 많은 시민생활적·정신위생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재미일본계 주민이 입은 명예, 신용, 기타의 법익침해에 대한 불법행위 책임 또는 공동 불법행위 책임을 물어 ‘일본인의 명예와 신용을 회복’하기 위한 아사히신문 ‘위안부’ 오보 소송도 일어나고 있다. 

앞으로 우려되는 것은 뉴욕 주 롱아일랜드 홀로코스트 박물관의 위안부 사진이나 자료의 상설 전시가 전국 각지와 전 세계 홀로코스트 박물관으로 파급되는 것이다. 이 전시를 추진 중인 한미공공정책위원회의 이철우 회장은 “홀로코스트 기념관 측과 논의하고 위안부 문제가 ‘아시아의 홀로코스트’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는데, “위안부는 아시아의 홀로코스트”라는 조작이 세계로 확산될지도 모른다. 

외무성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미국에 소재하는 일본의 재외 공관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생각을 발신했다. (1) 미국의 위안부 기림비·상의 설치는 일본의 생각, 입장과 양립할 수 없는 것이며, 매우 유감이다. (2) 일본은 미국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민족적 소수파들이 평화와 조화 속에서 공생하기를 바라며, 출신국가 간 의견 차이를 가지고 오는 것이 아니며 위안부 문제를 정치문제, 외교문제화 되도록 해선 안 된다. 

아사히신문은 이런 미국 각지의 기림비·상 설치의 동향에 대해서 항의하는 일본계 미국인을 소개하는 한편, 전쟁 당시 미국에 의한 강제수용의 쓰라린 기억을 보유한 일부 일본인이 “같은 전쟁 피해자”로서 호의를 갖고 있다고 기림비·상 설치에 공감하는 기사를 게재하고 있고(2013년 8월 8일자), 아사히신문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는 계속 확산되고 있다. 

역사교과서에 미친 영향(歴史教科書に与えた影響)

다음으로 미국의 역사 교과서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보고한다. 

미국, 일본, 중국, 한국에서 물의를 빚고 있는 미국의 세계사 교과서 ‘전통과의 조우(Traditions and Encounters)’(맥그로힐(McGraw Hill)사)는 테네시, 조지아, 노스캐롤라이나, 플로리다의 4개 주에서 추천 지정되어 있다. 추천 지정 제도 자체가 없는 주도 많아서, 각 학교구 또는 개별 학교가 독자적으로 교과서를 채택하는 캘리포니아 주에서는 1,600개의 공립고(약 190만 명), 로스앤젤레스 학교구 약 190개 교(약 20만 명)의 일부 고등학교에 설치된 전문과정(특진 코스)에서 이 교과서가 사용되고 있고, 위안부에 대해서 다음처럼 기술하고 있다. 

전시 여성의 경험이 항상 고상한 일, 힘을 쓰는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일본군은 ‘위안소’ 또는 ‘위안시설’이라고 불리는 군용 매춘업소에서 일을 시키기 위해 최대 20만 명에 이르는 14세부터 20세 사이의 여성을 강제로 모집, 징집했다. 일본군은 부대에 천황이 보낸 선물이라며 이들 여성을 제공했다. 이 여성은 조선, 대만 및 만주와 같은 일본의 식민지와 필리핀 및 그 외 동남아시아 국가 점령지 출신이다. 여성 대부분은 조선 및 중국 출신이다. 

일단 이 제국의 매춘 서비스에 강제 편입되면 ‘위안부’들은 하루에 20명부터 30명의 남성을 상대해야 했다. 전투지역에 배치되면서 이들 여성은 종종 군인들과 같은 위험에 직면해 상당수가 전쟁희생자가 됐다. 다른 사람도 도망을 기도하거나 성병에 걸린 경우에는 일본 병사에 의해 살해됐다. 전쟁의 종결에 있어서 이 활동을 무마하느라, 다수의 위안부가 살해되었다.


또한 ‘난징의 강간’이라는 제목으로 “일본군은 두 달 이상 7천 명의 여성을 강간하고 수십만 명의 비무장 병사와 민간인을 살해했으며, 난징 주택의 3분의 1을 불태웠다. 일본 군사가 총검 훈련에 중국인을 쓰고, 또 기관총으로 쏘아 죽이는 바람에 40만 명의 중국인이 목숨을 잃었다”고 쓰고 있다. 난징 주민들은 “전쟁에 대한 정열과 인종적 우월감에 내몰린 일본군”에게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하며 그 상징이 ‘난징의 강간’이라고 했다. 

이어 2008년에 개정된 제4판에서는 ‘일본해’라고 기술됐으나 2010년에 개정된 제5판에서는 ‘일본해(동해)’로 한국 측의 호칭도 병기했다. 다른 판에는 위안부의 수는 ‘30만 명’, ‘위안부 8할은 조선 출신자’로 표기되고 있어 근본적인 기술의 허술함이 두드러졌다. 

일본 정부 외무성은 “위안부 문제·일본해 호칭 문제·난징대학살에 관한 중대한 사실 오인 및 우리나라의 입장과 상응하지 않는 기술이 이루어지고 있거나 다양한 논의가 있다, 통설적 견해가 없는 일에 대해서 특정의 입장만 기술되어 있다”고 지난해 11월 7일 주 뉴욕 총영사관을 통해서 맥그로힐사에 일본 정부의 입장과 지금까지의 노력을 설명하고, 기술 내용의 시정을 제의했고 12월 중순에 정식으로 협의했다. 



1월 15일자의 월스트리트저널(일본판)에 의하면, 맥그로힐사는 “일본 정부 관계자가 위안부 기술 변경을 요구해왔음”을 문서로 발표하면서 “역사 교과서의 ‘위안부’에 대한 학자의 의견은 일치한다. 우리는 집필자들의 기술, 연구, 표현을 분명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또 이 교과서의 편저자이며 위안부 기술을 집필한 하와이 대학 마노아(Mānoa) 교(校)의 허버트 지글러(Herbert Ziegler) 교수는 “출판사와 저는 일본 정부 관계자로부터 개별적으로 연락을 받았고, 불쾌함을 준 글쓰기에 대한 무언가의 수정을 요구받았다. 출판사나 나는 그런 생각을 일절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맥그로힐사와 저자인 지글러 교수가 일본 정부의 정정 요청에 대해 이 같은 강경 자세를 취하는 배경에는 1월 2일 뉴욕에서 열린 미국역사학회(AHA) 연차총회에서 지난해 11월 아베 수상의 역사수정주의 발언을 비판하는 만장일치 성명을 낸 것이 영향을 미쳤다. 

아베 수상은 2015년 1월 29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미국의 공립고교용 세계사 교과서(미국 대형 교육 출판사 ‘맥그로힐’이 출간한 ‘전통과의 조우’)의 위안부 기술에 대해서, “정말 깜짝 놀랐다. 정정해야 할 점을 국제사회에서 정정해 오지 않은 결과, 이러한 교과서가 사용되고 있다”라고 말해 향후 일본이 적극적으로 정확한 정보의 발신에 노력할 것임을 강조했다. 

같은 날, 뉴욕타임스가 이날 수상 발언을 거론하며 “정정할 것은 정정해야 한다고 발신하지 않은 결과 미국에서 이런 교과서가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또 2월 7일자 한국 한겨레신문은 이 “아베 수상의 미국 역사 교과서 수정 압력에 반발”한 19명의 미국 역사학자들이 2월 5일 “일본의 역사가들을 지지한다”는 공동 성명을 내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보도했다. “우리는 최근 일본 정부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성적인 착취의 야만적인 시스템 아래에서 고통을 경험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서, 일본 및 기타 국가의 역사 교과서 기술을 억압하려는 최근의 시도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국가나 특정 이익 단체가 정치적 목적 때문에 출판사와 역사학자에게 연구 결과를 바꾸도록 압박하는 것에 반대한다”, “우리는 맥그로힐사를 지지하고 ‘어떤 정부도 역사를 검열할 권리는 없다’라는 지글러 교수의 견해에 동의한다”. 

이 공동성명은 지난해 12월, 일본의 역사학 4개 단체가 아베 수상의 위안부 문제의 왜곡을 비판하고 역사연구를 기초로 진실을 국내외에 전하는 것을 결의하자 나온 것이다. 미국 국무성은 2월 8일, “원칙적으로 우리는 민주주의 사회의 토대가 되는 학술의 자유를 강력히 지지한다”, “우리는 역사문제에 대해 ‘치유’와 ‘화해’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력하게 호소하고 있다”고 한국의 연합뉴스의 취재에서 코멘트했고, 연합뉴스는 이 코멘트를 “미국이 자국 역사교과서의 내용을 변경하려는 아베 정권의 움직임에 정부 차원의 견해를 나타낸 것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또 “제2차 세계대전 70주년을 맞아 미국이 아베 정권에 대해 역사에 대한 반성과 사죄를 담은 담화를 발표하도록 압력을 넣는 흐름과 부합하는 것”, “아베 정권의 역사 왜곡을 비판하는 미국의 역사학자에게 힘을 실어준다” 등으로 해설하고 있다. 

더욱이 중앙일보는 이날 ‘일본의 역사 왜곡을 규탄한 미국 역사학자들’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이 성명의 특별한 의미는 “일본의 양심적인 지식인들이 일본 우익의 역사 왜곡과 이와 연결된 폭력적 행태를 규탄하는 집단적 움직임을 보였다. 그런데 일본과 피해국인 한국·중국을 넘어 제3국 지식인들이 이 대열에 동참한 건 새로운 사태 발전이다. 동기는 미국 교과서지만 본질은 일본의 역사 왜곡이다. 점점 더 많은 세계 지식인이 일본의 역사 왜곡을 한·일 간 분쟁이 아니라 인권 같은 인류문명적 문제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2월8일자 조선일보는 이 공동성명의 핵심인물인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den) 코네티컷대학 교수와 일문일답 형식으로 “일본 정부의 교과서 수정 요구는 학문의 자유에 대한 직접적 위협”, “일본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경고해야 한다는 공감대와 연대감이 강했다. 역사는 자신에게 좋은대로 선택하고 필요한 것만 기억하는 것이 아니다”, “일본 정부가 독특한 것은 종군위안부 문제는 논쟁거리가 아니라 이미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는 ‘사실’인데도 불구하고 자꾸만 정치적 목적을 갖고 이를 변경, 혹은 역사 속에서 삭제하려는 점이다. 맥그로힐사는 매우 평판이 높은 출판사로, (일본 정부가) 방향을 잘못 잡았다”, “위안부에 관한 진실의 대부분이 일본인 학자인 요시미 요시아키 주오대 교수의 노력으로 증명되고 있다. 게다가 과거 수십 년간 일본의 초중고교에서 관련 기술이 있었는데 아베 정권 들어서 갑자기 아베와 그의 지지자들이 진실을 바꾸려 하고 있다. 자신들에게 유리한 기억만 간직하려 하고 있는데 이는 문제다”, “종전 70주년을 맞아 과거 침략전쟁과 식민지지배를 사죄한 1995년 무라야마 담화를 아베 수상이 계승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학문, 미디어, 표현의 자유가 계속 억압받는다면 즉각 그에 대한 행동을 취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2월 5일, 미국 역사학자들의 공동성명의 배경에는 1월 21일 조선일보의 다음과 같은 오보가 있었다. 공동성명이 “특정 이익단체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출판사나 역사학자에게 연구결과를 바꾸도록 압박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명기한 근거는 조선일보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 조선일보는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일본 정부와 이른바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 소속 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메이세이 대학교수가 미국 역사 교과서 기술을 왜곡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미국 내 전문가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 데니스 핼핀 존스홉킨스대 국제관계대학원 연구원은 20일 본지와 가진 이메일 인터뷰에서 ‘사진 등을 삭제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이슬람 성전을 주장하는 지하디스트들이 프랑스 파리 풍자 주간지의 만평 게재에 반발하는 것과 유사하다. 언론 자유에 대한 문제 제기’라고 말했다.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는 ‘미국 교과서를 상대로 한 일본의 역사 왜곡 행위는 학술 자유에 대한 직접적 위협’이라고 비판했다. (중략) 이 과정에서 극우 단체인 새역모가 실사 작업을 벌여 일본 정부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슬람 테러리스트에 의한 습격에 비유하는 데니스 핼핀(Dennis Halpin)의 발언은 논외로 하더라도, 새역모 측이 실사작업을 실시해 일본 정부에 보고한 것이 확인되고 있다고 단정하는 것은 간과할 수 없다. 도대체 누가 무엇을 근거로 확인한 것일까. 이 조선일보의 보도에 앞서, 한국 SBS TV는 1월 18일,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일본 극우단체와 정부가 미국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 기술 내용을 왜곡하기 위한 조직적 움직임에 나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략) 일본 교과서 왜곡을 주도해온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소속의 다카하시 시로 메이세이 대학 교수는 최근 국가기본문제연구소에 게재한 영문 기고문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을 탐색하기 위해 지난해 말 미국을 방문해 실사를 벌였다고 밝혔습니다. 다카하시 교수는 방미 기간 미국 전역에 8개 위안부 기념비와 동상을 직접 조사했고 역사 교과서 문제를 주제로 세 명의 고등학생과 그 부모들을 인터뷰했다고 소개했습니다. 다카하시 교수는 특히 상세한 실사 결과를 일본 뉴욕 총영사에게 보고하고 향후 대책을 협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카하시 교수는 실사결과를 소개하면서 미국 공립 고등학교 교과서 가운데 맥그로힐 세계사 교과서가 “일본군 위안부는 일왕(천황)의 선물”이라고 묘사하고 있다며 난징 대학살 현장을 보여주는 사진 삭제와 함께 이를 수정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는 지난달 중순 뉴욕주재 일본 총영사관이 맥그로힐 출판사와 교과서를 집필한 허버트 지글러 미국 하와이대 교수에게 위안부 관련 기술을 수정해 줄 것을 요청한 행보와 정확히 일치합니다.


이 정보에 따라 확인한 근거는 일본 국가기본문제연구소(国家基本問題研究所)의 1월 13일자 ‘금주의 직언(今週の直言)’(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정보전 승리, 국제홍보가 급선무(情報戦勝利へ国際広報が急務)’)으로 밝혀졌다. 이 직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안부는 천황의 선물”이라고 적힌 맥그로힐사 교과서에는 해럴드 팀펄리(Harold John Timperley, 중국명 : 전백열(田伯烈)) 편집의 ‘외국인 목격 중의 일본군 폭행(What War Means : The Japanese Terror in China)’(중국어판은 外人目撃中の日軍暴行)에 실린 사진이 ‘중국인 포로를 처형하는 일본군’으로서 소개되고 있지만, 이 사진은 히가시나카노 슈도(東中野修道), 코바야시 스스무(小林進), 후쿠나가 신지로(福永慎次郎) 지음 ‘난징사건의 증거사진을 검증한다(南京事件「証拠写真」を検証する)’(소우시샤(草思社))에서 “난징에서의 일본군에 의한 처형 사진이 아니다”라고 지적받은 것이다. 많은 구경꾼이 있기에 공개 처형 사진이지만, 당시 일본군 장병의 기록에서도 난징의 구미인의 일기 등에서도, 공개 처형 기록은 일절 나오지 않는다. 가장 큰 문제점은 구경꾼의 복장이 모순된다는 점이다. 이들은 여름철에 맞는 복장을 하고 있지만, 난징 함락은 12월 13일 겨울이었으며 함락된 지 두 달이 지나자 난징은 평온한 생활로 돌아갔고, 일본군은 전투를 위해 거의 난징을 떠났다. 그러니 여름에 가까운 시기에 난징에서 처형이 있을 리 없다. 병사의 신발 그림자 각도에서도 사진의 계절이 겨울이 아니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2003년 4월 6일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미군과 영국군의 이라크 공격을 놓고 미국 언론이 격렬한 보도전을 벌이는 가운데 로스앤젤레스타임스의 3월 31일자 1면에 실린 전방의 사진이 컴퓨터 합성이었음이 밝혀지자 이 신문은 회사규칙에 따라 카메라맨을 해고하고 다음 날 1면에 사죄광고를 게재하고 이 같은 사실을 설명했다.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과서에는 이 이상의 책임이 요구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서 “이런 사진이 교과서에 사용된 것은 중대한 문제이며, 위안부 기술과 마찬가지로 일본 정부로서 정식으로 정정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라고 제언한 것이다. 

미국역사협회는 학문의 자유에 대한 위협을 내세워 항의하고 있지만 학문의 자유는 비판받지 않을 권리나 학문의 권위 아래 일체의 비판을 허용하지 않을 권리가 아니다. 일본 정부는 미국 정부를 경유하는 외교적 압력을 가하지 않고 있으며 맥그로힐사의 교과서를 검열할 권력도 없다. 학문의 자유를 잘못 생각해서는 안 된다. 

한국 언론의 인터넷 일본어판에 대한 오해는 두 가지가 있다. 우선 다카하시 시로 교수는 2004년 모임에서 탈퇴했으며 특정 이익단체가 정치적 목적을 위해 출판사나 역사학자에게 연구결과를 바꾸도록 압박하는 것에 반대한다는 비판은 맞지 않는다. 또 다카하시 시로 씨가 뉴욕 총영사관을 방문한 것은 일본 정부의 교과서 정정 신청 이후이며 정정 과정에서 모임 측이 “실지조사를 실시해 일본 정부에 보고했다”는 것은 사실무근이다. 다카하시 시로 씨의 문제제기와 일본 정부의 정정 신청의 시계열을 왜곡, 다카하시 시로 씨가 사이타마(埼玉) 현 교육위원 취임 이전에 ‘모임’을 퇴임한 것을 확인하지 않고, “일본 극우 단체와 정부가 미국 교과서의 일본군 위안부의 기술 내용을 왜곡하기 위한 조직적 움직임에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라는 터무니없는 오보에 휘둘려 앞서 말한 공동성명이 나오기에 이른 것이다. 

그런데 재미일본인 고교생에 따르면 위안부 문제와 ‘난징대학살’을 합친 수업이 이뤄지고 30분 이상 동안 90세 이상으로 보이는 백발의 전 일본군 등이 계속 말하면서, “우리들은 주민들을 죽이기 전에 여성이라면 대여섯 사람의 병사가 반드시 강간을 하고 죽였다. 전쟁 중이라 이런 일을 하고도 죄책감을 전혀 느끼지 않았다”는 등의 증언을 하는 동영상(교사는 그 낡은 비디오테이프를 오랫동안 사용하고 있다)을 보여줘 심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동영상에는 강간당한 후의 여성의 사진 영상도 포함되어 있었다. 

반 아이들은 “오, 하느님! 이 지독한 짓을 했어! 일본 군인은 야만!”이라고 저마다 말했다. 그 말을 듣고 고개를 정면으로 들 수 없어 수업이 끝날 때까지 계속 고개를 숙였다. 자기 조국이 모진 소리를 듣는 것은 일본인인 자신이 책망을 받는 것 같아 괴로웠다고 한다. 

이 교사는 “특히 한국 여성은 일본군이 억지로 성노예로 삼았다. 일본은 한국 여성에게 특히 심했다. 그런 것도 있고 그래서 일본은 아시아 중에서 미움을 받고 있다”, “난징대학살보다 조선인 위안부에 대한 강간이 심했다”고 강조했다. 한국인 급우가 “부모로부터 일본인과 이야기하지 말라고 들었다”라며, 떠들어댔다. 해당 챕터의 학습이 끝날 때까지 이들 반 친구와 일절 눈을 맞추지 못했다고 한다. 

글렌데일 시에 위안부 기림비·상이 설치됐을 때 한국인 친구에게서 감상을 요구받았지만 “비문에 적힌 내용을 반박하기 위해서 필요한 영문 자료가 수중에 없어서 가만히 있을 수밖에 없었다”. 비와 상을 견학하기 위해 필드트립(소풍)에 끌려간 일본인 학생도 있었다고 한다. 

고교생의 어머니가 “(교과서에 있는) 위안부가 천황의 선물”라는 대목에 대해서, “이 구절은 특히 심하다. 그럴리가 없지?”라고 하면, “그 글을 반에서 읽었어. 얼마나 굴욕적인 기분이 들었는지, 상상이 되지?”라고 대답하였고, 이어 다음과 같이 계속하였다. 

불만을 이야기해도 소용없다. 불만이 있으면 그것을 바로잡는 행동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만약 역사 교과서가 바뀐다면 지금 초등학생인 지인의 아이들이 고등학생이 될 무렵에는 이런 안 좋은 일을 당하지 않아도 될지도 모른다. 시간은 걸리겠지만, 일본이 열심히 해줬으면 좋겠다. 정치인은 국토와 국민을 지키는 것이 일이라고 들었는데, 이 교과서 문제도 일본 국민을 지키는 일이잖아? 미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우리들은 일본인인 걸. 우선은 좀 더 영어로 발신해야겠다. 일본 내에서만 떠들어서 아무것도 바뀌지 않으니까. 겨우 여기에 와서, 간신히 영어로도 발신하게 된 것은, 늦지만 안하는 것보다는 낫다. 그렇다 치더라도, 이 교과서의 내용이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 너무 늦은 것은 아닐까? 한국이나 중국은 매년 일본의 교과서 내용에 불평하는데 왜 일본은 다른 나라의 교과서에 대해 조사하지 않는 것일까? 앞서 본 한국·중국·일본 대학생 토론회에서 중국에서는 천안문 사태가 교과서에 실려 있지 않다고 했다. 한국 교과서에는 베트남전이 없고, 정책 대실패로 기아상태가 된 것도 교과서에는 가뭄 때문이라고 한다고 했다. 이 대학생들은 자국을 떠나 타국에서 공부하기 때문에 그런 사실을 알 수 있었지만 자국 내 학생들은 국가에 불리한 사실은 교과서에 실리지 않는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그런데도 반일교육만은 확실히 하니까, 순전히 일본이 싫어져 버리는 것이다 ... 전쟁을 경험하지 못한 우리 세대가, 전시중의 일로 아직도 불쾌한 일을 당하는 것은 가엾다고 생각한다.


고교생의 어머니에 따르면, 일본인 학생들에게 한국인들이 와서, “독도는 한국의 것이다!”라고 소리를 지르고 가는 일이 몇 번 있었고, 그들은 아연실색해서 어떻게 돌려주면 좋을지 하는 생각도 나지 않고, 그저 싫은 감정만 남았다고 한다. 대다수 고교생은 수업 내용 등을 부모에게 말하지 않는다. 적어도 일본어 보습학교에서…… 하고 생각하며 확인했지만, 보습학교의 역사교과서가 일본에서 문제시되고 있는 도쿄쇼세키(東京書籍)의 것이었다. 적어도 일본어 보습학교에서라도 재미동포 아이들이 일본이라는 조국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교과서를 제공해 주었으면 한다. 재미일본인 고교생이 역사 날조의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것을 꼭 알아주시고, 일본국으로서 일본의 명예를 되찾는 노력을 하여 결과를 도출해 주시기를 간절히 바란다. 이 소리를 꼭 아베 총리또 시모무라 문부과학 대신에 전하여 달라는 것이었다.(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위안부’로 여기까지 온 미국의 일본인 차별(『慰安婦』でここまできたアメリカの日本人差別)’, ‘세이론(正論)’ 2015년 3월호 참조). 

이 맥그로힐사의 세계사 교과서의 위안부 기술의 베이스에는 전술한 미국 하원 결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결의를 추진한 마이크 혼다 의원을 전면적으로 지원했던 중국 측 ‘항일연합회’의 로비 활동이나, ‘일본해’ 표기를 ‘동해’ 병기로 고치는 로비 활동을 정력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VANK를 중심으로 한 한국 측의 압박이 전후 70년을 맞아 격화하고 있고, 중국, 한국의 프로파간다가 미국을 끌어들이고 있다. 일본의 논리적인 주장이나 일본 정부의 정정 건의를 전혀 외면한 채 중국과 한국의 반일 프로파간다에 동조하는 논조가 미국 언론에 만연해 있다. 

그 근저에 있는 것이 아사히신문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아사히신문이 더 빨리 국제 사회에 이 선전이 사실이 아닌 것을 홍보하였다면, 이러한 기림비·상이나 미국의 역사 교과서의 편향 기술과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대일 비난 결의로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집단 괴롭힘의 구체적 사례(いじめの具体的事例)

게다가 해외재류 일본인 자녀에 대한 집단따돌림(이지메)이 6, 7세부터 고교생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확대되고 있다. 캘리포니아 주, 뉴저지 주에서만 10건 이상이 보고되고 있어 ‘도시 전설에 지나지 않는다’ 등으로 말할 수 없는 실태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 현재 재적생 자녀에게 피해가 갈까봐 나서지 못하는 당사자들의 속은 헤아리고도 남음이 있다. 

구체적 사례의 일부를 소개한다. ① 역사 수업에서 제2차 세계대전을 배울 무렵 학교에서 중국계 학생 몇 명으로부터 집요한 괴롭힘을 당했다. 바인더에 추잡한 말을 낙서해놓거나, 여럿이 합세하여 일본인임을 비난하는 말을 하거나 했다. ② 2~3회 구두로 여러 가지 헤이트 스피치(I hate Jap! 등)가 있었지만 급기야 4번째로 주먹을 휘둘렀다. 싸움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때렸다. 게다가 “다음엔 죽이겠다”고 했다. 학교장이 양측의 의견을 듣고 논의했지만 며칠간의 정학 처분만 하고 사과의 말도 없었다. ③ 한국 남자 아이가 아이의 얼굴에 침을 뱉기 시작했다. 아이가 놀라서 도망가자 재미 삼아 쫓아와 몇 번이나 침을 뱉었다. 괴롭힘이 너무 심하다고 생각해, 학교의 선생님(중국계나 한국계)과 상담했지만, “학교 바깥의 사건이기 때문에 대처할 수 없다”고 거절당했다. 부지에 있는 수영장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심술을 부려 자물쇠를 채워 쫓겨난 적도 있다. 

해외 재류 일본인이 개별 원고가 된 아사히신문 ‘위안부’ 오보 소송에서 ‘일본인의 명예와 신용’이 침해된 구체적인 피해 사례가 법정에서 차례로 증언된다. 

캐나다 국립 인권 박물관의 위안부 전시에 대한 영향(カナダ国立人権博物館の慰安婦展示への影響)

아사히신문에 의한 위안부 오보의 영향은 캐나다에도 미치고 있다. 캐나다 거주 일본인 번역가 마리노후 토시에(マリノフ利江) 씨에 따르면 지난해 9월에 캐나다 위니펙(Winnipeg) 시 국립인권박물관이 개관했는데, 재작년에 필리핀에서 일본의 ‘종군위안부’였다고 밝힌 여성과 그녀의 상담사를 초청하여 인터뷰와 강연회를 캐나다 각지에서 개최했다. 이 상담사는 강연에서 1992년 1월 11일자 아사히신문이 보도한 내용을 언급하며 아사히신문 보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마리노후 씨는 그 아사히의 위안부 보도가 오보였음이 밝혀지면서 이 박물관에 전시된 일본군에 의한 필리핀 여성의 강제연행 전시회에 대한 항의 행동을 하고, 캐나다 총리에게도 편지를 내고 항의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마리노후 토시에(マリノフ利江), 다카하시 시로(高橋史朗) 대담, ‘국제오해라는 ‘국난’과 어떻게 싸울 것인가(国際誤解という『国難』といかに闘うのか)‘, ‘치치(致知)’ 2015년 3월호 참조). 



이 위안부 전시와 역사박물관 건설 장기 프로젝트를 추진하던 캐나다의 인권단체 토론토알파(Toronto ALPHA, Toronto Association for Learning and Preserving the History of World War II in Asia)는 토론토 가톨릭 교육위원회와 함께 제2차 세계대전 중 아시아에서 일어난 일본군 위안부 등의 안타깝고 악랄한 행위를 가르치고 고교 과정에서 배울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의 양해 각서를 체결했다. 토론토알파는 매년 캐나다 교사를 스터디 투어 형식으로 중국 난징대학살기념관이나 한국 나눔의 집 등에 보내오다 2015년부터는 고교생을 이 스터디 투어에 포함시키려 하고 있다. 



첨부자료(添付資料)


캐나다 국립인권박물관의 위안부 전시 내용(カナダ国立人権博物館の慰安婦展示内容)


[대일본제국(大日本帝国)]

제2차 세계대전 때부터 전시 중에 걸쳐 일본 제국군은 5만에서 20만 명에 이르는 여성과 소녀에게 성노예가 될 것을 강요했다. 그중에는 11세의 어린 소녀도 있었다. 군은 이 사로잡힌 여성을 ‘위안부’라 칭했고, 진짜 목적과 박해도 숨겼다. 위안부는 일본군에 성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녀들의 문화와 언어에서 단절되어 전장의 최전선에서 정기적으로 능욕당하고 폭력을 당하고 있었다. 


[난징대학살(南京大虐殺)]

일제에 의한 난징침략의 와중에 일본군들에 의한 끊임없는 강간이 행해졌다. 흩어져 있는 매춘소는 부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서 군은 규모가 크고 보다 공적 성격이 강한 위안소 제도를 만들었다. 


[죄과(罪科)]

일본군은 수천의 여성과 소녀를 성노예로 만들기 위해 압송했다. 


[교과서에 의한 부정(教科書による否定)] 

오랫동안 국가주의자들은 일본의 전쟁 당시 기록을 왜곡해 여성을 성노예로 몰아넣은 사실을 부인했다. 이 2005년의 화상(画像)에서는 역사 교과서의 위안부 제도에 대한 언급이 미흡하다고 반 검열 조직의 대표인 다와라 요시후미(俵義文)가 지적하고 있다. 


[최초의 사진(最初の写真)]

이 사진이 발견된 1962년, 언론인 센다 가코(千田夏光)는 위안부 제도에 관한 조사와 집필의 제1인자가 되었다. 


[국제적 부정(国際的な否定)] 

증거 불충분한 일본의 위안부 제도에 대한 주장이 나오자 일본 지도자는 2007년 워싱턴포스트에 의견 광고를 냈다. 그 광고에는 전 세계를 향해 일본이 결코 여성을 성노예로 만들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자의적인 5가지 역사적 주장이 실려 있었다. 



 

첨부자료(添付資料)


전국 각지의 위안부 비문(全米各地の慰安婦碑文)


① 뉴저지 주 팰리세이즈 파크

“1930년대~1945년 일본 제국군에 의해 유괴된 20만 명 이상의 부녀자를 기립니다. 그녀들은 ‘위안부’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녀들은 인권 침해와 위법 행위를 참고 견디었습니다. 인간성에 반한 범죄의 공포를 결코 잊지 않도록 해십시오.”(2010년 10월 23일)


② 뉴욕 주 아이젠하워

“‘위안부’. 1930년대~1945년, ‘위안부’로 세계에 알려진, 일본제국 군에 의해 성노예의 용도를 위해 유괴된 20만 명 이상의 부녀자를 기리며. 그들이 당한 인간성을 저버린 가증스러운 범죄가 잊혀지면 안 됩니다. 그들이 견뎌낸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중대한 침해는 잊어선 안 될 것입니다.”(2012년 6월 20일)


③ 캘리포니아 주 가든글로브

“‘강제된 성노예’ 1930년대~1945년, ‘강제된 성노예’로 세계에 알려진, 일제에 의해 성노예의 용도로 유괴된 20만 명 이상의 부녀자를 추모하며. 그들이 당한, 인간성을 저버린 가증스러운 범죄가 잊혀지면 안 됩니다. 그들이 견뎌낸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침해는 잊어선 안 될 것입니다.”(2012년 12월 1일)


④ 뉴저지 주 해켄색

“제2차 세계대전 중 그리고 그 이전부터 일본제국 군에 의해 성노예 상태에 있도록 강요당한 한국, 중국, 대만, 필리핀, 네덜란드, 인도네시아의 수십만 부녀자를 기리며”(2013년 5월 8일)


⑤ 캘리포니아 주 글렌데일

“‘나는 일본군의 성노예였습니다.’ 헝클어진 머리는 일본 제국군에 의해 강제로 집에서 끌려가는 소녀를 상징합니다. 주먹은 정의 회복을 위한 굳은 의지를 보여줍니다. 맨발에 발뒤꿈치가 닿지 않은 다리는 차갑고 몰이해한 세계에 의해 계속 버려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소녀의 어깨에 앉은 새는 우리와 죽은 희생자들의 유대감을 상징합니다. 비어있는 의자는 정의를 아직 증언하지 못한 고령의 나이로 죽음을 맞고 있는 생존자를 상징합니다. 소녀의 그림자는 그 소녀와 늙은 할머니로, 말없이 소비된 시간의 경과를 상징합니다. 그림자 속의 나비는 희생자들이 어느 날 그들의 사과를 받고 되살아날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평화기념비. “1932년부터 1945년 사이 일제에 의해 강제로 성노예 상태가 된 20만 명 이상의 한국, 중국, 대만, 일본, 필리핀,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인도네시아의 고향에서 이송된 아시아와 네덜란드 여성들을 기립니다. 그리고 일본 정부가 이들 범죄에 대한 역사적 책임을 받아들이기를 권고하는 2007년 7월 30일의 합중국 의회의 하원 결의 121호의 통과와 2012년 7월 30일의 글렌데일 시에 의한 ‘위안부의 날’의 선언을 축하합니다. 이 부당한 인권침해가 결코 반복되지 않는 것이 우리의 거짓 없는 소망입니다.”(2013년 7월 30일)


⑥ 버지니아 주 페어팩스

“제2차 세계대전 중 인신매매의 희생자로서 기본적 권리와 존엄이 제거된 부녀자의 명예를 위하여. 20만 명 이상의 한국·중국·대만·필리핀·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네덜란드·동 티모르의 부녀자가 제2차 세계대전 중 일제에 의해서 성적 노예 상태 또는 완곡하게 칭한다면 ‘위안부’가 되기를 강요받았다. 우리는 그녀들의 아픔과 고통을 존중하며 기본적 인권의 결여를 애도한다. 이들 ‘위안부’가 그들의 의사에 반하여 넘겨진 범죄로부터의 영원한 평화와 정의를 찾으십시오. 이러한 부녀자의 기억이 여성 권리 보호의 중요성의 기억과 기본적 인권의 확증으로서 유익하기를”

이 비문의 이면. “합중국 의회는 2007년 7월 30일 하원 121호 결의안에서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내내 그 식민지와 아시아와 태평양의 섬들의 전시 점령 동안 ‘위안부’로서 세계에 알려진 젊은 여성을 성노예 상태에 둔 일제의 강제에 대해서,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 사죄하고, 그리고 명백하게 모호하지 않은 태도로 역사적 책임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만장일치로 결의했다. - 하원의원 마이크 혼다(CA15)(2007년 1월 31일 제출)”(2014년 5월 30일)


⑦ 뉴저지 주 유니언시티

“제2차 세계대전 중 그리고 그 이전부터 일본제국 군에 의해 성노예 상태가 되도록 강제된 한국·중국·대만·필리핀·네덜란드·인도네시아의 수십만 부녀자를 기리며”(2014년 8월 4일)


⑧ 미시간 주 사우스필드

“어깨에 참새가 앉아 있는 이 젊은 한국 여성은 한 노인의 그림자를 드리우며 일본땅을 응시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일본군이 저지른 무서운 성노예 범죄인 ‘위안부’ 문제가 미결인 것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존엄성과 전 세계 여성의 인권, 그리고 인류의 미래를 상징합니다.”(2014년 8월 16일)



 

맺음말(おわりに)

- 나카니시 테루마사(中西輝政)(위원장) -

대상으로 한 두 가지 문제(対象とした二つの問題)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 논란은 지난해 8월 5, 6일 아사히신문 지면에서의 ‘특집’ 이후 그때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국면으로 이행했다. 또한 동년 12월에 공표된 이른바 ‘아사히신문사 제3자위원회’(이하, 제3자위원회)의 보고서(및 부속문서-이하 생략)에 의해 한층 현저한 형태로 부상한 가장 중요한 논점은 대략 다음의 2가지로 수렴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나는, 아사히신문이 과거 30여 년간 보도해 왔고, 그리고 이번에 처음 그 신빙성을 부정하고 지금까지의 보도를 취소한 이른바 ‘요시다 증언’으로 대표되는 ― 본 보고서가 곳곳에서 지적하는 대로 그 외에도 있지만 ― 이 신문의 일련의 위안부 보도를 둘러싼, 언론으로서는 이례적이라고도 할 역사적 불상사의 배경에는 무엇이 있었느냐 하는 문제이다. 이 점에 대한 해명은 상술한 ‘특집’을 시작으로 한 일련의 아사히신문 자신에 의한 지면 취급에 있어서는 물론, 상기의 제3자위원회 보고서 등에서도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하기 어렵다. 바로 이 점에 대해서도, 미디어 혹은 기업체로서의 아사히신문사로서는 독립된 민간의 제3자적 입장에서 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며, 본 보고서는 다른 많은 여러 논점을 포함하여 이러한 관점에서 이 문제에 대해서도 기탄없이 고찰하였다. 

두 번째 논점으로서, 아사히신문에 의한 일련의 위안부 보도가 국제적으로 미친 영향을 어떻게 평가하느냐 하는 논점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의 초점이다. 그런데, 본 보고서가, 도처에서 분석·고찰해 평가를 내리고 있듯이, 상기 제3자위원회의 보고서는 스스로 인정하고 있는 대로, 이 점에서는 완전히 결론을 포기하고 있다. 즉, 아사히의 일련의 위안부 보도가 국제 사회에서 일본의 입장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왔는지 아닌지에 대해서 어떤 가능성도 있음을 승인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하면 아사히신문사 자사, 그리고 아사히가 설치한 이른바 제3자위원회를 대신하여 다른 주체가 독립한 입장에서 이 점에 대한 고찰과 평가를 하고 일정한 결론을 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보고서는 다방면에 걸쳐 이 점을 논증하고 통일된 결론을 얻게 되었다. 

배경에 있던 ‘아사히적 체질’로서의 역사관(背景にあった「朝日的体質」としての歴史観)

첫 번째로, 보도기관으로서는 미증유의, 혹은 극히 희소한 불상사의 배경에 도대체 무엇이 있었는가. 이 점에 대해서 제3자위원회의 보고서가 반복해 언급하고 있는 바로는, 기사의 취소나 사죄를 ‘지연’하려고 하는 회사의 체질이 배경으로서 컸다고 한다. 또 이는 아사히신문의 정기 기고자로서 언론인인 이케가미 아키라(池上彰) 씨 등도 이른바 일본 기업에 많이 있는 ‘지연’ 체질이야말로 이번 문제의 배경으로서의 중심적 요인이었음을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3자위원회의 보고서가 기사를 취소하고 이른바 ‘사과’를 하면, ‘이 문제를 방치해 온 역대 사람들에 대해서도 책임을 묻게 되어 버린다’고 두려워한 것도 기사 취소나 사죄를 이렇게까지 늦게 한 큰 원인의 하나였다고 지적하고 있다(제3자위원회보고서 43 페이지).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일본 사회에 흔해빠진 이른바 기업비리 사건이 터졌을 때 거의 단골처럼 지적되는 배경으로서의 기업체질론의 원용인 것처럼 보인다. 일반 사업회사의 ‘불미스러운 사건’과 같은 레벨에서, 많은 특권을 향유하며 커다란 사회적 사명을 표방하며, 특히 일본을 대표하는 매스미디어의 하나라고 일컬어지는 아사히신문이 저지른, 역사적 보도상의 스캔들의 원인과 그 배경이, “일본 기업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조직적 결함”이라고만 규정하고 그것으로 충분하다고 여겨져서는 안 될 것이다. 쉽게 추측할 수 있듯이 거기에는 미디어라고 하는 특수한 업태에 깊게 관련되어 있는, 더 지적이고 사상적인 조직체질이라는 것이 검증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점에서, 지극히 중요한 지적이 제3자위원회의 보고서 도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것은 만약 요시다 증언을 취소하거나 소위 ‘사과’를 하면, “위안부 문제 자체의 존재를 부정한 것으로 독자에게 받아들여지는 것 아닌가”하고 두려워한 것이다(예를 들면, 제3자위원회 보고서 43-44페이지). 이제 불필요하지만 만약 아사히가 요시다 증언을 취소하거나 그 일로 사과를 했다고 하더라도 8월 5, 6일 아사히의 ‘특집’기사가 실제로 그랬던 것처럼, 예를 들어 ‘논의  바꿔치기’(제3자위원회 보고서)라든가, 이른바 ‘광의의 강제성’론으로 밀고 간다면 아무도 아사히가 ‘위안부 문제 전체의 존재를 부정했다’고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추측할 수 있었고, 또 상기의 ‘특집’ 이후의 사태도 실제로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렇다면, 왜 아사히는 ‘위안부 문제 자체의 존재를 부정했다’고 오해받는 것을 그렇게 지나치게 두려워한 것일까. 그것은 아사히가 위안부 문제의 존재와 그것을 되풀이하여 보도하는 것이 스스로 역사관이나 정치사상의 무오류성을 담보하는 중요한 이념적 자산이라고 믿고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매우 시사적인 것은 역시 제3자위원회 보고서가 곳곳에서 언급하는 것처럼 아사히는 그러한 취소나 사과를 하는 것으로 “아사히신문 (위안부)기사에 대해서 ’조작‘이라고 비판하는 세력”의 비판을 더 키우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예를 들면, 제3자위원회보고서 43-44페이지). 즉, 만약 자신의 위안부 보도의 잘못을 조금이라도 인정하면 역사관을 둘러싼 논쟁 속에서 자신의 정치적 사상적 입장이 손상되고, 넓은 역사관 논란 전체 속에서 자신이 전략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빠지는 것을 강하게 두려워하고 있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역사관에 있어서도 아사히신문은 역시 “‘각도’를 너무 높게 설정했다”(제3자위원회 보고서 92쪽)고 볼 수 있는 보도를 의식적으로 중시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적어도 아사히(朝日)신문은 기사의 신빙성보다 각도 있는 역사관을 지키는 것이 언론이 우선시해야 할 목표였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번 아사히신문의 보도상 대형 불상사의 배경에 있는 이른바 ‘기업 체질’이라는 문제의 실체는 언론으로서의 아사히신문이 조직적으로 입각한 역사관에 가장 큰 원인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아사히신문 특유의 편향된 역사관이 있었기에 조금 생각하면 누구나 쉽게 알아차릴 수 있을 요시다 세이지 씨의 ‘만들어진 이야기(詐話)’를 진실로 믿고, 충분한 뒷받침도 없이 이에 달려들고, 간부 기자를 포함하여 다수의 기자가 그것을 반복하여 기사로 만들고, 보도 기관으로서 그 위에 입각한 ‘종군위안부’론 전체의 중요한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이번에는 그것을 유지할 필요상, 다른 신문은 일찍 알아채 정정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한 사람 30년의 장기간에 걸쳐서 요시다 증언의 기사 취소를 어떻게든 ‘지연’하지 않을 수 없는 자승자박적 상황을 자초했던 것이다. 

보도가 국제사회에 미친 영향과 일본의 도의적 입장 및 국익에 미친 부정적 효과(報道が国際社会に及ぼした影響と日本の道義的立場や国益に及ぼしたマイナスの効果)

이 점에 대해서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아사히가 스스로 설치한 제3자위원회 안에서조차 현저한 의견 분열을 볼 수 있어 그 보고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위원회 차원에서 결론을 보류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본 독립검증위원회는 이 보고서 몇 개 장의 분석과 평가에서 줄곧 아사히의 보도가 한국과 미국, 그리고 유엔 등 국제 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오늘날에도 없어지지 않는 사실에 반하는 오해나 일본의 부당한 책임 추궁의 움직임의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밝혔다. 굳이 여기서 되풀이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리고 이 점에서 아사히신문이 설치한 제3자위원회 보고서가 개별 의견 중 하나이지만 크게 경청해야 할 의견으로 기타오카 신이치(北岡伸一) 위원의 견해가 참고가 된다. 기타오카 신이치 씨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러한(아사히신문의-괄호 안은 집필자에 의한다. 이하 같다) 언설은 한국의 기대를 부풀렸다. 그 결과, 한국 대통령이 세계 정상에게 (위안부 문제에 관해) 일본의 잘못을 알리는 이례적인 행동을 하게 되었다. 그것은 또한 일본 일각의 반발을 초래하고 반한, 혐한 언설의 횡행을 초래했다. 이런 편협한 내셔널리즘의 대두도, 일한 화해의 어려움도, 엄격하게 보면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가져온 것이다”(제3자위원회보고서 94페이지). 이는 상기의 설문에 대한 극히 명확한 결론이다. 

또 미국과 쿠마라스와미 보고서 등 유엔에서의 위안부 문제의 이해 내지 오해에 아사히 보도가 행한 큰 역할과 일본의 입장과 국익에 ‘마이너스 기여’를 한 것에 대해서는 각각 본 보고서의 제3부 제1장 및 제3장의 논증으로부터 제대로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특히 강조하여 두어야 할 중요한 것은 아사히의 보도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러한 국제사회의 오해와 일본국민에 대한 커다란 불명예와 현실의 폐해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아사히신문사가 언론으로서, 또 기업으로서 앞으로 어떻게 사회적 책임을 완수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오늘날 일본 정부 안팎으로 많은 일본 국민의 세금을 들여서라도 국제홍보에 주력하여 이러한 일본의 훼손된 명예와 국익을 조금이라도 회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바로 이 일의 당사자이며, 또 스스로 큰 홍보기능을 가지고 있는 미디어 기관으로서 아사히신문이 누구보다 큰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끝)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에 관한 독립검증위원회 공청회 기록

(朝日新聞「慰安婦報道」に関する独立検証委員会 ヒアリング記録)



헤이세이 26년(2014년)


12월 11일 (목)

코모리 요시히사(古森義久) 씨

산케이신문 도쿄본사 편집국 워싱턴 주재 객원 특파원. 

국제 문제 평론가. 국제 교양 대학 객원 교수. 


12월 19일 (금)

시모카와 마사하루(下川正春) 씨

전 마이니치신문 서울지국장

오이타(大分) 현립 예술 문화 단기대학 정보 커뮤니케이션 학과 교수. 

(미디어, 코리아 연구)



헤이세이 27년(2015년)


1월 15일 (목)

마에카와 케이시(前川惠司氏) 씨

전 아사히신문 서울 특파원


1월 20일(화)

구로다 가쓰히로(黒田勝弘) 씨

산케이신문 서울주재 특별기자(서울지국장 특별기자) 겸 논설위원

저널리스트


1월 22일 (목)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씨

현대사가. 법학박사. 


1월 29일 (목)

최길성(崔吉城) 씨

도아(東亞)대 교수. 히로시마대 명예교수. 

도아대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소장



【공지】

1. 본 보고서 한국어판은 일본어판 마지막 대목의 정오표를 본문에 직접 반영하였습니다.

2. 본 보고서는 일본 역사인식문제연구회(歴史認識問題研究会)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http://harc.tokyo/


(한국어판)

번역 : 이우연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편집 : 황의원 (미디어워치 대표이사)






일본위키백과 위안부 문제 관련 항목 번역 소개 :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