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4차 협상이 제주에서 열리고 있는 가운데 ‘농민 생존권과 국민 먹거리 안전을 지키려는 사회학 관련 학자 101인’은 국회에서 23일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 FTA협상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한국농촌학자, 한국사회학자, 한국산업사회학자, 한국비교사회학자 회원으로 이뤄진 이 단체는 “경제 논리에 앞세워 국민건강과 농민, 농촌, 농업을 포기하는 한미 FTA 협상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 자리에서 강남대 김종덕 교수는 “정부는 한미 FTA 타결이 가져올 사회적 영향에 대한 사려 깊은 평가 없이 서둘러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협상 내용에 대한 정보도 제대로 공개하지 않은 채 일방적 홍보에만 귀를 기울이고 있다”며 명확한 근거 없이 긍정적 영향만을 과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한국의 농촌사회와 농민들은 한미 FTA의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 분명하지만, 정부는 국가 이익을 위해 농민들의 피해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 주장하며 농민들의 집회를 농민 집단의 이기주의로 몰아붙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정부는 농업을 농민들에게만 국한되는 협소한 문제로 호도하고 있지만, 모든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 및 식량주권과 직결되는 보편적인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미국 시민단체(Community Food Security Coalition) 회원 Mark Winne씨는 "한미 FTA가 특정분야에서 경제적인 혜택을 가져올지 모르지만 농민들의 희생에서 얻어져서는 안 된다“며 “식품 안전과 미국 농업관행에 대한 한국인들의 우려 특히 GMO, 광우병 문제가 제대로 다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캐나다 시민단체(Toronto Food Policy Council) 회원 Wayne Robert 씨는 “1988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맺은 후 비만이 10%에서 30%까지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는 “광우병이 발병했고, 40종이 넘는 유전자조작 종자가 승인됐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제주 중문단지 신라호텔에서는 농업,자동차 등 12개 분과에서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反 FTA 농민 시위대 등 200여명은 중문단지 입구까지 진입해 무력시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미 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와 시민.사회단체 등 원정시위대 1200명은 회의장을 진입을 시도 하며 이를 막는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는 등 시위가 격렬해 지고 있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