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현관문 교체비 1만5천달러도, 샹들리에 청소비 2천535달러도, 수영장 온수기 교체비 4천달러도 영수증 처리로 해결하고 산하 박물관 소장품들로 관장 사무실 안팎을 장식한다.
이는 19일 워싱턴포스트가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회계자료와 물품구입 청구서 등을 토대로 보도한 로런스 스몰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관장의 사치 행각 중 일부다.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취임한 스몰 관장은 주택과 사무실 유지비로 지금까지 200만달러를 청구했다.
스몰 관장이 이 같은 액수를 '지원'받은 것은 개인 주택의 일부를 업무 용도로 쓰는데 상응한 것이었다.
하지만 스몰 관장이 2005년 1월 청구한 지붕 수리비 5천700달러 등 몇가지 사례는 일반인들이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경우다.
지붕 수리비를 청구한지 석달 뒤 스미스소니언 산하 미국 국립 항공우주박물관 지붕에서 물이 새 초기 비행기 발명 부문에서 라이트형제와 경쟁했던 오토 릴리엔탈의 무동력 비행기에 빗물 얼룩이 생겼었다는 점은 스몰 관장의 행동을 더욱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더욱 어이없는 점은 스몰 관장을 위해 지출된 비용을 감사하는 과정에서 외부 감사인이 수백건의 거래를 누락시켰다는 점이 미국 상원의 감사 과정에서 드러난 것.
스몰 관장에 대해 감사를 진행중인 상원 재무위원회의 공화당 소속 찰스 그래슬리 의원은 "스몰 관장이 샴페인으로 치면 '돔 페리뇽'급의 사치를 즐겼지만 감사 자료 조작은 더 나쁜 일"이라고 비판했다.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운영위원회의 로저 산트 위원장은 스몰 관장이 자기 재산 50만달러 정도를 포함해 11억달러의 자금을 조달했고 재정 통제를 강화했으며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등 박물관 업무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래슬리 의원은 스몰 관장이 박물관 본관을 "자신의 성처럼 꾸며놓았다"고 비난했으며 스몰 관장의 전임자인 마이클 헤이먼은 자신이 재임 기간에 사무실 내부 장식을 전혀 바꾸지 않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smile@yna.co.kr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