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에서 추진중인 ‘희망 나눔 봉사재단’ 설립과 관련, 일부 언론에서 적절하지 못한 일이라고 보도했다.
지난달 30일 KBS광주방송총국은 보도를 통해 “광주시 자원봉사 센터와 재능기부센터 등 관련 기구들이 있음에도 출연금과 민간 지원금 각 50억 원으로 별도 봉사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광주시는 2일 “이는 명칭에서 초래된 오해”라고 밝히고 “기존 복지제도 밖에서 위기상황에 처해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해 여러 기관과 단체에서 편파적으로 지원하는 현재의 시스템을 효율성과 통합성에 바탕을 둔 복지서비스 체계로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추진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광주시는 “복지서비스의 전문성을 증진하여 다양한 복지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제3섹터의 시민참여형 사회안전망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주시는 사각지대의 복지 대상자를 찾아내고 민간 기부활동도 활성화하기 위해 시 출연금과 민간 지원금 각 50억 원으로 봉사재단을 설립하려는 것으로 “복지 대상자 발굴과 민간기부는 본 재단 기능의 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광주시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기능과 역할에 대해서는 향후 시의원, 시민단체를 포함한 전문가 집단과 워크숍・공청회 등 다양한 논의와 토론을 통한 여론 수렴 절차를 거쳐 시민참여형 사회안전망과 지역복지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재단을 설립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