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광주 제11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폐회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 국립5.18민주묘지 참배 통해 광주 이해


지난 18일부터 열린 제11차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의(IAC-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가 21일 순천 탐방과 오후 6시30분 5.18기념센터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백서 출판기념회’ 참석을 끝으로 모든 일정을 마쳤다.

이번 회의에서는 가나의 Helena R. Asamoah-Hassan(여.헬레나 아사모아 하산)을 국제자문위원장으로 선출하고, 세계기록유산 등재 심사회의 열어 54개국에서 제출한 심사대상 84건 중 54건을 등재 결정권고해 유네스코가 최종 승인했다. 우리나라가 제출한 ‘난중일기’와 ‘새마을운동기록물’ 2건 모두 등재돼 우리나라는 세계기록유산 총 11건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우리나라 보유 세계기록유산 11건으로 훈민정음 해례본('97), 조선왕조실록('97) 직지심체요절('01), 승정원일기('01)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07), 조선왕조의궤('07) 동의보감(′09) 일성록(′11), 5‧18민주화운동기록물(′11) 난중일기(′13), 새마을운동기록물(′13)등이다.

한편, 국제자문위원들과 옵저버 등 20여명은 둘째날인 19일 오후 5시회의를 마치고 국립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참배에 참여한 한 위원은 “5ㆍ18민주묘지 현장을 방문해 당시 상황은 물론, 광주의 5월정신과 그 계승에 대해 더욱 이해하게 됐다.”라며 국립묘지에 들어설 때 연주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듣고 “외국에 있을 때도 이 노래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는데 현장에서 직접 들으니 가슴이 벅차다.”라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 한국의 제안으로 설립한 유네스코 직지상 수상자는 멕시코의 비정부기구(NGO)인 ‘아다비(ADABI : Apoyo al Desarrollo de Archivosy Bibliotecas)’로 결정됐다.

국제자문위원들은 행사 기간 현장방문 등을 통해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았고, 회의 준비와 환대해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문화재청, 광주광역시에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Joie Springer(조이 스프링거) 유네스코 기록유산 담당관은 감사의 뜻을 담아 지난 18일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환영만찬에서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이 등재된 유네스코 발간 책자를 강운태 시장에게 전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