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폴리틱스워치 (정치/사회)


배너

[박한명 칼럼] 폭력이 된 유튜브의 노란딱지 정책

기준 모호한 유튜브 ‘광고주 친화적인 콘텐츠 가이드라인’ 시정해야

구글 유튜브의 노란딱지 정책으로 많은 보수우파 방송 채널이 신음하고 있다. 유튜브가 그동안 문재인 정권이 장악한 기성 언론미디어 대신 대국민 소통기구로 역할을 해왔는데, 어찌 보면 글로벌 플랫폼 기업의 작은 정책 하나가 사실상 언론탄압의 기능을 하고 있는 꼴이다. 많게는 백만에서 적게는 수만의 구독자와 열렬한 시청자들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들이 생산해 올리는 콘텐츠물마다 족족 소위 노란딱지가 붙어 광고수익을 내지 못한다고 한다. 수익이 없으니 시간과 노력을 들인 고품질 콘텐츠 생산에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유튜브는 노란딱지가 붙는 기준을 표면적으로 밝히고는 있다. 한 매체가 소개한 국내 유튜브 관계자 설명에 의하면 “광고 게재 여부는 정치적 입장과는 관계없이 광고주 친화적인 콘텐츠 가이드라인에 따라 결정된다”고 한다. 요컨대 광고주 친화적인 콘텐츠가 아닐 경우 노란딱지가 붙는다는 설명이다. 유튜브 콘텐츠 가이드라인은 노란딱지가 붙는 유형도 소개하고 있다. 

유튜브가 공식적으로 밝힌 광고주 친화적이지 않은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부적절한 언어, 폭력, 성인용 콘텐츠, 유해하거나 위험한 행위, 증오성 콘텐츠, 도발 및 비하, 기분전환용 약물 및 마약 관련 콘텐츠, 담배 관련 콘텐츠, 총기 관련 콘텐츠,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및 민감한 사건, 가족용 콘텐츠에 포함된 성인용 콘텐츠” 이 주제를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동영상 전체에서 과도한 욕설이나 천박한 언행을 빈번하게 구사하는 콘텐츠 △자신이나 타인에게 신체적 또는 정신적 위해를 가하겠다고 협박하거나 이러한 행위를 옹호하는 콘텐츠 △개인 또는 집단에 대한 증오, 차별, 비하, 모욕을 조장하는 콘텐츠 △개인 또는 단체에게 수치심을 주거나 모욕하는 것이 주목적인 콘텐츠 △특정인을 지목하여 학대 또는 괴롭힘을 조장하는 콘텐츠 △특정한 비극적 사건의 발생 자체를 부정하거나, 사건의 피해자 또는 그 가족이 연기를 하고 있다거나 사건의 은폐에 연루되어 있다고 시사하는 콘텐츠 △악의적인 개인 공격, 욕설, 명예 훼손 콘텐츠에는 노란딱지가 붙고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없다. 

유튜브 운영정책이 국가폭력이 돼버린 비정상적인 현실

유튜브가 밝힌 이 가이드라인이 문제인 것은 기준이 모호하다는 점이다.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및 민감한 사건’이라면 거의 모든 정치시사 이슈가 다 해당된다. 이 기준이라면 문재인 정권과 조국 사태를 비판하면 노란딱지가 붙을 수밖에 없다. ‘도발 및 비하’에서 광고가 제한되거나 배제되는 사례에서 “특정한 비극적 사건의 발생 자체를 부정하거나, 사건의 피해자 또는 그 가족이 연기를 하고 있다거나 사건의 은폐에 연루되어 있다고 시사하는 콘텐츠”로 설명돼 있는 것도 문제다. 이 기준에 의하면 세월호 사건이나 5·18 광주 등 과거 사건사고와 역사에 대해 다른 생각을 말하는 것도 제약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조국 가족에 대한 정당한 비판도 특정인을 비하하거나 괴롭히는 행위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그러한 주제들을 다룬 대부분의 유튜브 채널 방송 콘텐츠에 노란딱지가 줄줄이 붙고 있는 현실은 필자의 우려가 맞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요컨대 반문재인 정권을 표방하는 보수우파 채널은 아예 광고 수익은 포기하라는 뜻과 다르지 않다는 얘기다.  

언론 보도에 의하면 좌파 채널 역시 비슷하게 노란딱지가 붙는다고 한다. ‘좌파의 공격으로 보수우파 유튜브 채널에 광고가 붙지 않는다’는 말은 사실관계에서 정확한 설명이 아닐지 모른다. 그러나 구글 유튜브가 기준도 모호한 노란딱지 정책으로 사실상 정부 비판에 재갈을 물리고 의도이든 아니든 언론탄압의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태가 아닐 수 없다. 광고탄압은 독재권력의 흔한 언론탄압의 한 방법이다. 자본주의가 피운 꽃으로 글로벌 기업인 구글이 자기들의 운영정책으로 독재권력의 언론탄압처럼 악용되고 있고, 자유로운 시민들의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있다는 현실을 인지해야 하는 것 아닌가. 최근 국정감사장에 나온 구글 대표는 “유튜브는 다양한 의견이 공존하는 공간이고, 그 중에는 광고주들의 목소리도 있다”고 했다. 

또 “구글은 표현의 자유와 모든 크리에이터의 열정과 의지를 존중하고 있지만 광고주들의 뜻 때문에 콘텐츠에 광고가 제한적으로 붙는 것”이라면서 보수우파 유튜버 탄압이자 표현의 자유에 대한 탄압이라는 야당 국회의원들의 지적에 이렇게 반론을 했다. 표현의 자유 침해는 아니라지만 기준이 모호한 유튜브의 노란딱지 정책에 정부를 비판하는 시민들의 표현의 자유가 실질적으로 침해당하고 있다면 구글도 판단을 달리해야 한다.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광고주 이익이 보호받아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렇다하더라도 그것이 한 사회에서 불공정하고 정의롭지 못하게 집단에 대한 차별의 형태로 나타난다면 기업에게는 이것을 시정해야할 책임도 있다. 그것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지녀야 할 덕목이다. 구글은 알고리즘을 고치든 어떤 다른 방법이든 본래 의도와 다르게 다양한 의견이 공존하지 못하고 배제되는 유튜브의 폭력적인 노란딱지 정책을 재고하고 현재의 비정상을 반드시 시정해야만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