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언론중재위에서 만난 친포털 매체 편집국장

박근애 선배, "당신 같은 언론인의 삶을 살지 않겠습니다"

언론개혁의 상징적 인물인 전북대의 강준만 교수는 조선일보 김대중 전 주필에 대해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

“외신을 왜곡 번역하는 일, 김대중이 아니라 나 같은 사람이 하면 하루아침에 끝장난다”

개혁과 변화를 주장하는 사람은 남보다 더 도덕적이고 원칙적이어야하며, 왜곡보도와 같은 일을 저질렀을 때, 하루아침에 명성이 송두리째 날아간다는 것이다. 그만큼 개혁을 이끌어가는 사람의 책임은 막중하다. 대부분 개혁을 위해서 남을 비판해야 하므로 누구보다도 자기 성찰의 자세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노무현 정권 들어서, 이러한 언론개혁 진영의 도덕과 원칙은 거의 다 무너져가고 있다. 그들이 비판하는 조선일보보다 더 한 권언유착을 일삼고, 정권연장을 위해서라면 편파와 왜곡보도도 서슴지 않는다.

놀라운 사실은, 강준만 교수의 진단과 달리, 이런 집단이나 언론이, 하루아침에 끝장나지 않고, 오히려 더 뻔뻔하게 집단패거리를 이루어 자신들의 권력을 지켜나고 있다는 것이다.

미디어오늘이라는 매체가 있다. 강준만 교수와 함께 조선일보 비판을 선두에서 이끌었던 대표적인 언론개혁 매체이다.

필자는 2005년 1월 연예인 X파일 사건 때부터 포털 비판을 시작했고, 이상하게 그때부터 미디어오늘의 왜곡보도에 시달리게 되었다.

미디어오늘은 포털 비판자의 발언을 누락시키고, 포털 옹호자들의 주장만 지면에 할애했다. 특히 20005년 7월 필자가 대표가 되어 활동을 시작한 포털피해자모임 결성시, 미디어오늘은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는 악의적 추측보도를 보도를 하여 포털 피해자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이러한 미디어오늘이 필자가 속해있는 인터넷미디어협회와 인터넷기자협회가 공동으로 입법청원하고, 김영선 의원실이 발의한 검색사업자법과 신문법 개정안에 대해 또 다시 왜곡으로 전철된 해석을 내린 뒤, “정치권의 흥행만을 위한 발의”라는 결론을 내렸다.

인터넷미디어협회 측은 언론중재위에 조정신청을 냈고, 오늘 필자는 드디어 친포털 보도를주도하는 미디어오늘의 박근애 편집국장과 만날 수 있었다.

본 협회에서는 애초에 언론중재위의 중재가 가능하리라 보지 않고 있었다. 왜냐하면 법안에 대한 전문적인 내용이어서, 중재위원들이 2주만에 결정을 내리기 어렵고, 또한 언론계에서 미디어오늘의 퇴행권력이 여전히 작용하고 있어, 중재위가 부담을 가져가면서까지 한쪽 편을 들지는 않을 거라 판단했다. 지금도 미디어오늘 홈페이지를 보면 언론중재위 광고가 버젓이 걸려있다. 실제로 언론중재위는 중재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회가 언론중재위에 조정신청을 낸 이유는, 누가 봐도 악의적으로 법안을 왜곡해석한 기사를 내보낸 뒤, 협외의 두 차례의 항의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는 미디어오늘의 생각이나 한번 들어보자는 취지였다.

그간 뒤에 숨어있던 박근애 편집국장이 직접 나와 왜곡보도에 대해 해명했다.

옆 자리에서 박근애 국장의 해명을 듣고 있던 신청인 필자는 바로 강준만 교수의 지적이 상기된 것이다.

박근애 국장은 해명하는 와중에도 법안 내용에 대해 스스로도 헛갈리고 있었다. 본 협회의 신문법 개정안의 50% 이상 의무화는 뉴스면의 비율인데, 그것을 자꾸 자체기사 비율을 50% 이상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보다 못한 필자가 이를 즉석에서 바로잡아주기도 했다.

이밖에, 왜곡보도에 대해 해명한 내용은 도무지 매체비평 전문지의 편집장의 발언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수준이었다.

법안 내용에 여론형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정보와 관련된 보도와 논평은 얼마든지 할 수 있다고 조문에 나와있는데, 끝까지 뉴스유통이 금지된다고 주장을 굽히지 않았고, 한 기사에서 뉴스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문장과 없다는 문장이 뒤섞여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얼버무렸다.

또한 겸업금지 조항이 있는데도 겸업을 할 수 있다고 해석한 부분에 대해서는 광고매출액 대비 검색광고 매출 비율 30% 조항을 써먹는 놀라운 트릭을 보여주기도 했다. 본인 스스로도 말이 안 된다는 점을 느끼는지, 연달아 말을 더듬으며 안절부절하는 모습이었다.

마지막 부분에서, 정치권의 흥행만을 위한 발의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민주노동당 의원, 열린우리당 의원들로부터 거절당하고, 그래서 결국 한나라당 김영선 의원실로 법안이 가게 되었다는 부분에서는 허탈한 웃음까지 나올 지경이었다.

그냥 “잘못 해석해서 미안하다” 이렇게 한마디 해주면 될 것을, 억지로 변명하다보니, 계속된 왜곡된 사실을 늘어놓게 되는 것이다.

언론중재위 차원이 아니라, 같은 언론인, 어찌보면 한참 언론계 후배라 할 수 있는 필자가 박근애 국장에게 물어보고 싶다. 스스로 하늘을 향해 한점 부끄럼없냐고.

첫째, 박근애 국장은 자꾸 기자칼럼이기 때문에 주관적으로 써도 된다는 주장을 했다. 기자칼럼은 어떤 때 쓰는 것인가? 사실과 해석이 다 이루어졌을 때, 그것을 바탕으로 단상을 적는 데 가장 적합한 형식이다.

미디어오늘은 스트레이트로 공청회 소식을 보도한 뒤, 해설이나 분석 기사없이 그 내용을 그대로 기자칼럼으로 대체했다. 그래서 한국 언론계의 최장의 분량의 기자칼럼이 만들어졌다. 정밀하게 분석해야할 법안 해석을 기자칼럼으로 썼다는 건, 그 자체로 언론의 정도가 아니란 말이다.

둘째, 사전에 공개되었듯이 이 법안 본 협회가 청원했다. 그래서 법안 작성도 본 협회가 담당했고, 법안 내용을 필자가 발제했다. 그럼 법안에 대해서 취재를 한다면, 누구부터 취재해야하는가? 미디어오늘의 이선민은 필자에게 취재를 해온 적이 없다. 다른 걸 떠나서 이게 정상적인 취재인가? 왜 법안을 책임지고 설명해야할 취재원을 피해서, 빙빙 돌아 다른 곳만 취재해 기사를 쓰는가?

미디어오늘은 왜 당당하지 못한가? 필자와 전화 통화 한번 하는 게 그렇게 무서운가? 그 공포의 정체는 뭔가? 스스로 양심에 걸리기 때문은 아닌가? 필자한테 취재를 하지 않고 곁다리만 헤매고 다니니, 이 법안이 열린우리당과 민주노동당에 거절당했다는 또 다른 황당한 소설을 언론중재위에서도 새롭게 발표하게 되는 것이다.

셋째, 법안을 책임지는 당사자들이 항의를 했으면, 최소한 정정을 해주던지, 반론권을 보장해주는 것이, 상식 아닌가? 두 차례의 항의에 대해 미디어오늘은 권력자의 오만한 자세로 무시했다.

다시 강준만이다. 강준만 교수의 예측과 달리, 개혁을 말하는 사람들이 이러한 행태를 보여도, 전혀 무너지지 않고 있다. 이는 이미 언론개혁진영이 권력화 되었고, 권력을 보고 몰려든 어용들에 의해 패거리화가 되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들은 더 이상 개혁을 함께 할 대상이 아니라 척결해야할 구악으로 전락하고 있다.

그나마 한가지 위안은 박근애 편집국장과 이선민 기자가, 필자 앞에서는 바들바들 떨면서 답을 하는 등, 스스로의 양심의 가책은 느끼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국회 공청회에서 이선민 기자는 필자 앞에 왔을 때, 제대로 쳐다보지도 못하고 고개를 팍 숙인 채 질문을 더듬거리는 것을 보고 필자는 “나는 언론을 하면서 절대로 저렇게 살지 않겠다”는 다짐을 했다. 차라리 굶어죽을지언정, 스스로의 양심을 속이면서까지, 친권력의 편에 서서, 살와봐야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박근애 편집국장도 마찬가지이다. 박국장이 논리적인 사고만 할 줄 안다면 오늘 언론중재위에서 그가 해명한 것은 궤변에 억지라는 것쯤은 스스로도 알고 있을 것이다.

신청인인 필자와 본 협회의 전경웅 사무국장, 그리고 함께 한 빅뉴스의 기자는 박근애 국장의 최소 10년 아래의 언론계 후배들이다. 그 언론계 후배들 앞에서, 잘못된 보도를 시인하지 않기 위해, 스스로의 양심을 팔아버린 박근애 국장, 그러면서까지 남의 보도를 비판해야하는 언론비평 매체 편집장의 지위를 유지하고 싶을까?

아니, 언론계는 물론 인터넷 중소기업들, 더 나아가 정치권까지, 벌벌 떠는 거대 권력 포털에 맞서 한참 후배 언론인들이 법안까지 만들어 문제해결에 나서는 것에 대해 대견하다고 박수를 쳐줘도 모자랄 판에, 왜곡 기사로 해꽂이를 하면서까지, 챙겨야할 언론인으로서의 권력이 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최소한 필자는 박근애 국장과 같은 언론인의 삶은 살지 않겠다. 이 기사에 불만이 있으면 언론중재위에 조정신청하라. 하지만 이 기사도 당신들이 막 써도 된다고 주장한 바로 포커판의 조커, 기자칼럼이라는 것도 명심하라.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