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보 및 독자의견
후원안내 정기구독 미디어워치샵

기타


배너

인권위 정책본부장 맡아..`팍스 로마나' 사무총장 등 역임

"한국사회 모든 제도 국제인권기준에 맞게 업그레이드 목표"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국제 NGO 사무총장으로 세계 인권 무대를 누볐던 한국인이 국가인권위원회 정책 총괄 책임자로 11년만에 돌아왔다.

이성훈(47) 전 포럼아시아(FORUM-ASIA)사무총장이 28일 북한인권 문제를 포함한 국내외 인권 정책을 관장하는 인권위 정책본부장에 취임했다.

이 본부장은 1997년부터 올해 초까지 제네바에 본부를 둔 국제인권 NGO `팍스로마나', 타이에 본부를 둔 아시아인권 NGO `포럼아시아'의 사무총장을 잇따라 역임해 인권분야의 대표적인 국제통으로 통한다.

그는 인권 운동가로서 동티모르 독립 문제에서 미얀마 민주화, 티베트 독립 운동까지 전세계적 이슈의 한복판에 서 있었다.

이 본부장은 인권위에 새 둥지를 틀게 된 이유에 대해 "세계인권선언 60주년을 맞아 그동안 아시아와 유엔에서 쌓았던 경험을 한국에 풀어놓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주노동자, 이주결혼 문제 등 우리 사회에서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인권 과제들은 일국적 차원이 아니라 세계적인 틀 속에서 해결해야 되는 것으로 국제 인권 분야 전문가의 활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는 "한국사회의 모든 제도를 국제인권기준에 맞게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목표"라며 "한국이 인권선진국으로 갈 수 있도록 소수자ㆍ개인정보유출ㆍ신빈곤층ㆍ아동ㆍ노인ㆍ정신보건ㆍ스포츠성폭력 등 인권위가 현재 집중하고 있는 분야에서 최선을 다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 본부장은 올해 인권위가 6대 중점과제 중 하나로 꼽았던 `북한인권 개선을 위한 정책활동 강화'와 관련, "인권위가 북한 주민의 인권 문제를 직접 다룰 수는 없지만 탈북자와 새터정착민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개입한다는 것이 인권위의 기존 원칙"이라고 다시한번 강조했다.

그는 "태국, 중국, 베트남에 나와있는 탈북자들에 대한 조사가 올해 안으로 마무리 되면 권고안 등의 형태로 북한 인권 문제를 다룰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또 "탈북자의 인권 개선을 위해서 정부 부처 간에 `북한인권 협의체'를 만들어 인권 개선을 위한 역할을 분담해 나가겠다"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withwit@yna.co.kr

(끝)



배너

배너

배너

미디어워치 일시후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현대사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