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국민대통합위원장직을 직접 맡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한광옥 민주당 상임고문이 대통합위원장에 내정되면서 불거진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의 반발을 박 후보가 직접 맡고 가겠다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방안은 국민대통합-정치쇄신을 앞세워 대선을 치르겠다는 박 후보의 구상이 암초를 만난 상황에서 후보 본인이 국민대통합위원장을 맡아 국민에게 진정성을 과시하는 동시에 갈등 상황도 타개하겠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또 당초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내정됐던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은 신설이 검토되는 지역화합위원장이나 상임고문, 공동선대위원장 등의 하나를 맡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지난 9일 한광옥 전 민주당 상임고문의 내정에 반발하며 '사퇴'의 배수진을 친 안대희 정치쇄신특위 위원장의 요청을 경청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 위원장도 10일 오전 당사에 출근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한 전 고문이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임명되면 사퇴하겠다는 입장에 대해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기 때문에 박 후보가 이를 수용하는 차원서 적극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핵심 당직자는 한 전 고문의 기용 방안에 대해 "박 후보가 이 문제에 대한 복안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국민대통합이라는 취지는 유지하면서도 안 후보의 반발을 줄일 수 있도록 다른 직책을 맡기는 방안을 시사했다.
캠프 관계자는 "국민대통합위원장 대신 지역화합위원장 직책도 방안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고 말했다.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어제 접촉에서 안 위원장도 박 후보의 신뢰를 확인한 것으로 안다"면서 "이제 남은 문제는 박 후보가 안 위원장의 체면을 얼마나 살려주느냐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전 고문에게 다른 직책을 주는 방안도 검퇴되고 있을 것"이라면서 "현재 선대위 공동위원장을 10명 정도로 넓히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는데 한 전 고문을 그 중 한명으로 하는 방안 등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또한 안 위원장이 필요한 만큼 한 전 고문이 국민대통합위원장으로 임명되면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힌 그를 무시하고 인선을 강행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파장을 최소화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한편 이같은 방침이 전해짐에 따라, 한 고문에 이어 새누리당으로부터 입당 제의를 받았지만 분란 사태로 주춤했던 동교동계 인사들의 캠프 합류 가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 미디어워치 & mediawatch.kr